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AI와 역사학

AI와 역사학

이상국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360원
14,1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00원 -10% 480원 8,160원 >

책 이미지

AI와 역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AI와 역사학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73073298
· 쪽수 : 130쪽
· 출판일 : 2024-12-20

책 소개

AI가 역사학의 수집, 해석, 기록 방식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탐구한다. AI는 방대한 역사적 데이터를 분석하고 새로운 사실을 발굴하며, 기존의 해석 방식을 넘어서 역사적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AI의 해석은 인간의 주관적 경험을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도 있다. AI와 협업을 통한 역사학의 미래 가능성과 그 본질에 대한 재조명을 제시한다.

목차

AI와 역사학의 조우

01 문자에서 숫자로: 기록의 진화
02 숫자에서 데이터로: 빅데이터의 수치화
03 데이터에서 정보로: 의미의 탐색
04 정보에서 지식으로: 해석의 방향
05 지식에서 통찰로: 시대정신
06 인공지능의 성찰과 사유: 가능성과 한계
07 인공지능 기반 역사학
08 인공지능, 역사 연구의 도구
09 인공지능, 역사 교육의 도구
10 역사학의 새로운 미래

저자소개

이상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중세 사회경제사 분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가족사와 역사인구학, 그리고 디지털역사학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국제 학술지 《TheHistory of the Family》의 편집위원, 학술지 《Digital+Humanities》 의 공동 편집인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과거제는 “위대한 균형자(the Great Equalizer)”였는가? ? 《문과방목》을 통한 조선시대 지배엘리트의 관직 이동 분석〉(2023), 〈Quality over Quantity: A Lineage-Survival Strategy of Elite Families in Premodern Korea〉(2019), 〈Strategizing Marriage: A Genealogical Analysis of Korean Marriage Networks〉(2017)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역사 빅데이터’의 구축은 1999년 전후 시작된 역사 자료의 전산화 사업에 의해 본격화되었다. 기존에는 연구자가 책에 담긴 활자화된 자료를 하나하나 읽어 가며 필요한 근거를 찾아내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민간에서 『국역 조선왕조실록』 시디롬(CD-ROM)에 이어 『삼국사기』, 『고려사』 등 한국사 연구의 기초 사료들의 전산화가 이루어진 이후, 이제는 관심 있는 키워드를 전산화된 시디롬에 입력해 대규모로 다양한 관련 사료를 신속하게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료 읽기에 들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장기 시계열 자료의 수집을 통해 역사적 사건의 장기적인 추세를 분석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01_“문자에서 숫자로: 기록의 진화” 중에서


브로델의 ‘장기 지속(Longue duree)’ 개념은 사회적·경제적 구조가 오랜 시간에 걸쳐 큰 변화 없이 지속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구조적 지속성이 단기적 사건보다 더 중요하다는 그의 주장은 디지털과 인공지능 시대에도 매우 유효하다. 현대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우리는 과거의 장기적 패턴을 훨씬 더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브로델의 이론을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하는 데 이바지한다.

-03_“데이터에서 정보로: 의미의 탐색” 중에서


결국 인공지능과 인문학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놓여 있다.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그 방향성을 정하는 것은 인간의 철학적·윤리적 성찰에 달려 있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인류는 더욱 깊이 있는 질문을 던져야 하며,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를 통해 기술의 발전을 인도해야 한다. 인류가 이러한 성찰을 지속하지 않는다면, 인공지능의 진보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희생시키며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인류는 기술 발전과 더불어 인간의 본질과 가치를 끊임없이 탐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인문학적 성찰을 계속 이어 나가야 한다. 인문학이 제시하는 성찰은 단순한 과거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미래를 준비하고 기술이 인간다운 미래를 가능케 하는 데 필수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06_“인공지능의 성찰과 사유: 가능성과 한계”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3073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