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9425
· 쪽수 : 153쪽
· 출판일 : 2025-11-25
책 소개
18세기 증기 기관에서 시작해 AI·양자 컴퓨팅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기술과 맺어 온 긴 여정을 하나의 축으로 꿰어냈다. 산업 혁명이 인간의 근육·기억·속도를 대체해 왔다면, AI는 사고·판단·창조의 고유 영역까지 넘보며 문명의 방향을 다시 쓰고 있다. AI의 진화를 대화형에서 에이전트형, 그리고 궁극의 ‘조직형 AI’로 이어지는 다섯 단계로 설명하며, 인간이 자신이 만든 기계의 작동 원리를 더 이상 이해하지 못하는 시대?특이점?가 현실적 시나리오가 되고 있음을 짚어낸다. 과거의 기술 혁신이 ‘창조적 파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었다면, AI 시대의 파괴는 창조의 주체마저 기계에게 넘어가는 근본적 딜레마를 남긴다. 전문직의 소멸, 기술적 실업, 대량 자동화가 인간의 노동 정체성을 허물고 있는 지금, 우리는 ‘노동으로부터의 자유’가 해방인지, 구조적 실업의 이름을 바꾼 것인지 묻게 된다. 이 책은 케인스의 15시간 노동 예측, 슘페터의 기술 순환, 기본 소득·로봇세 논쟁을 통해 기술 발전의 과실을 사회 전체가 어떻게 공유할 것인지 묻는다. 동시에 AI 시대의 거짓·편향, 기술 권력의 집중, 비인간 행위자의 등장과 AI 정치의 가능성까지 이어지는 존재론적 질문을 던진다. 단순한 미래 예측서가 아니라 인간다움의 의미를 다시 사유하게 하는 문명적 성찰서로, 우리가 향후 무엇을 할 수 있는가보다 무엇을 인간이라 부를 것인가를 묻는 나침반이 될 것이다.
목차
AI 시대의 인간 존재와 그 의미
01 1차 산업 혁명, 자본주의 탄생
02 2차 산업 혁명, 대량 생산 시대
03 3차 산업 혁명, 인터넷과 정보 혁명
04 4차 산업 혁명, 핵심 기술과 발전 속도
05 AI 시대 인간 노동의 소멸
06 AI 보완 존재로서의 인간
07 AI 시대, 거짓과 진실의 경계
08 AI 로봇의 인격화, AI 정치인의 출현
09 AI 기술 격차와 윤리적 책임
10 AI 시대, 산업 혁명의 종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산업 혁명은 ‘공장 노동자’와 ‘산업 자본가’라는 새로운 사회 계층의 등장을 촉진하며 전통적인 신분 질서를 흔들어 놓았다. 공장과 생산 수단을 소유한 산업 자본가 계급은 막대한 부를 축적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반면, 노동력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공장 노동자 계급은 열악한 노동 환경과 낮은 임금에 시달리며 새로운 사회적 갈등의 주체가 되었다. (…) 농경 사회에서 공업 사회로의 전환은 단순한 경제 구조의 변화를 넘어 사회 구조, 도시 환경, 노동 방식, 국제 관계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고 심대한 영향을 미친 역사적인 변혁이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사회 문제는 이후 사회 개혁 운동의 중요한 배경이 된다.
-01_“1차 산업 혁명, 자본주의 탄생” 중에서
인터넷은 3차 산업 혁명의 핵심적 동력으로, 그 이전까지의 아날로그 세상을 디지털 세상으로 변화시켜 사이버 공간이라는 새로운 생활 공간을 창조하고 정보 혁명을 이룩했다. 정보와 지식의 생산·공유·소비 방식을 혁명적으로 변화시키며 인류 사회에 거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간과할 수 없는 역기능 또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었다.
-03_“3차 산업 혁명, 인터넷과 정보 혁명” 중에서
AI의 발전이 가져온 주체?객체 전도 현상은 인간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하며, ‘AI와 인간’ 관계를 재정립하기 위한 사회적·철학적 논의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I가 인간의 지적·창의적 노동을 대체하면서 인간은 자신의 존재 가치와 역할을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나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직면하게 되며, 이는 대량 실업과 함께 심각한 인간 소외와 정체성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06_“AI 보완 존재로서의 인간”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