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눈/코/입/귀
· ISBN : 9791173181351
· 쪽수 : 466쪽
· 출판일 : 2025-01-0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
제1장 난청: 소음성 난청과 직업성 난청
1. 청각계의 구조 및 소리 전달 경로
2. 소음성 난청
가. 소음성 난청의 발생기전
나. 소음에 의한 청력손실 유형
다. 소음성 난청의 특성
라. 소음 노출수준과 기간에 따른 영향
마. 소음성 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적 감수성
바. 소음성 난청의 증상
3. 직업성 난청
가. 산업화학물질에 의한 난청
나. 음향외상성 난청
다. 외상성 고막천공 및 이소골연쇄 단절
라. 압력손상에 의한 이질환
마. 진동에 의한 난청
바. 직업성 돌발성 난청
사. 직업성 난청 사례
제2장 소음성 난청의 현황
1. 소음성 난청 발생의 증가 배경
가. 소음 노출
나. 인구학적 변화 - 평균수명의 증가와 고령화
다. 장해급여 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한 해석
라. 비전형적인 소음성 난청의 업무상질병 인정
2. 소음 노출 규모와 소음 노출 수준
가. 소음 노출 규모
나. 소음 노출 수준
3.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와 업무상질병자의 추이
제3장 청력평가: 순음청력검사
1. 인간 청력의 특성
2. 청각도 표시 방법
3. 순음청력검사의 준비
4. 순음청력검사의 방법
가. 공기전도 검사
나. 골전도 검사
5. 역치 변화의 반응 요인
가. 거짓반응
나. 기능적 청력손실
다. 역치 동요
6. 순음청력검사에서 음차폐의 원리와 적용
가. 차폐
나. 이간감쇠
다. 폐쇄효과
라. 차폐음의 종류
마. 차폐 시기
바. 차폐량 결정방법
사. 차폐 역치 결정방법
아. 차폐 시 유의 사항
제4장 소음성 난청의 청각학적 평가
1. 난청의 진단방법
2. 난청의 유형
3. 난청의 특성
가. 전음성 난청
나. 감각신경성 난청
다. 혼합성 난청
라. 중추성 난청
4. 난청의 청각도 특성 및 청력손실 평가
5. 소음성 난청의 사례
가. 난청 판정기준 적용상의 판단 문제 - 일측성 난청 등
나. 사회성 난청 - 군 경력을 중심으로
다. 혼합성 난청
라. 기타 - 소음 노출수준의 규정에 따른 문제점 등
제6장 청력보존 프로그램
1. 우리나라의 청력보존 프로그램
2. OSHA의 청력보존법
3.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한 지침
가.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구축
나.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5단계
다.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검토를 위한 점검표
4. 산업보건관리자를 위한 소음성 난청 예방 지침서의 개요
5. 소음 측정 및 평가
가. 소음 노출기준
나. 소음 측정방법
다. 소음 노출 평가방법과 기준 및 단위
라. 소음 노출기준과 측정 평가의 문제점
마. 건설업종의 소음 노출과 소음성 난청
6. 청력보호구
가. 청력보호구의 종류와 특성
나. 청력보호구의 차음 기전과 차음 수준
다. 청력보호구의 성능: 밀착검사
제7장 난청의 원인으로서 연령/노화
1. 연령 증가에 따른 청력 영향
2. 우리나라의 기준 청력과 연령에 따른 청력 영향
3. 국제표준기구(ISO)가 제시한 기도 청력
가. 정상 건청인의 기도 청력역치
나. 소음 노출 시의 추정되는 청력역치
4. 소음과 연령의 영향에 따른 청력평가 -O SHA의 연령보정 적용
5. 소음성 난청의 장해보상
가. 외국의 소음성 난청 장해보상
나. 미국의 소음성 난청 장해보상
6. 업무상질병으로서 소음성 난청에서 노인성 난청의 검토와 고찰
가. 연령 관련 청력손실: 노인성 난청
나. 소음성 난청과 노인성 난청의 특성
다. 소음과 연령에 따른 청력손실
라. 노인성 난청의 소음성 난청 업무상질병 인정 판단
마. 소음과 노화가 복합된 난청의 청력손실 평가 적용
7. 소음성 난청의 인정/장해 평가의 문제
부록
1. 유해인자별 특수건강진단 - 소음
2. 업무상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인정기준 - 소음성 난청
3. 신체부위별 장해등급 판정 세부기준 - 귀의 장해
4. 순음청력검사지침
5. 소음 및 진동에 관한 건강장해의 예방
6.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수립·시행지침
7.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
8.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