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왜 빌라는 애물단지 주거지가 되었나?](/img_thumb2/979117318292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ISBN : 9791173182921
· 쪽수 : 117쪽
· 출판일 : 2024-10-31
목차
□ 추천사
제1장 저층주거지의 빌라는 왜 애물단지가 되었나?
제2장 빌라가 입지한 저층주거지의 공간분포와 특성
제1절 저층주거지의 개념 및 주택 특성
1. 저층주거지의 주택유형 분류
2. 저층주거지의 공간적 특성
제2절 저층주거지 거주 환경 특성
1. 저층주거지 거주 특성
2. 저층주거지 주거환경 특성
제3장 저층주거지 공간변형과 주거하자 유형
제1절 저층주거지 공간변형 패턴
1. 저층주거지 공간의 시대적 변화 양상
2. 저층주거지 공간변형 사례 검토
제2절 저층주거지 특성을 고려한 주거하자 평가
1. 저층주거지의 공간변형 문제와 이슈
2. 저층주거지 특성을 고려한 주거하자 평가지표
제4장 저층주거지, 애물단지에서 보물단지로
제1절 저층주거지의 지속 가능한 재정비
제2절 스마트시티 기술과 주택하자 관리
□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언제부터인가 한국에서의 빌라는 고급 주거지라는 이미지가 아닌 아파트로 가기 위한 전 단계 주거 형태, 일종의 서민을 위한 주거 사다리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 주택경기 악화와 더불어 빌라는 애물단지 또는 싸구려 주택이라는 이미지로 각인되어 내 집 마련 준비자에게 기피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다세대·다가구 소위 말하는 빌라가 밀집한 저층 주거지는 점점 더 사람들에게 낮은 주거환경의 질로 대변되는 열악한 빌라촌으로 되어가는 실정이다. 저밀도 정주 여건과 지역의 커뮤니티가 갖추어져야 할 살기 좋은 저층 주거지가 어쩌다 이런 애물단지가 되었을까?
본서에서는 저층 주거지가 안고 있는 이러한 문제를 저층 주거지의 공간변형과 주택하자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풀어나가고자 한다.
저자 장윤정 박사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학술연구 교수로서 오랜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주거환경에 대한 시야를 넓혀줄 수 있는 책 『왜 빌라는 애물단지 주거지가 되었나?』를 집필하였다. 이 책은 우리나라 도시에서 취약한 주거 환경으로 대표되는 저층주거지 다세대/다가구 주택, 흔히 ‘빌라’로 대표되는 주거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저자는 사회와 제도의 변화를 거쳐 지금의 저층주거지를 형성하게 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여 저층주거지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지금의 저층주거지가 형성된 배경을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해 정주 공간의 질을 희생시켜 온 규제 완화의 역사”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 이해를 토대로, 저자는 향후 주거환경의 향상을 위해 물리적·비물리적 환경의 향상뿐만 아니라 주택하자 관리 측면에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주택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지표 및 제도의 보완, 더 나아가 다양한 스마트시티 기술을 주택하자 관리에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하자 관리 기술은 신축 아파트단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입주와 거래가 일어나는 저층주거지에도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큰 의미를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 추천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