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6 대비 법원직 형사소송법

2026 대비 법원직 형사소송법

(제6판)

이지민 (지은이)
학연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0,000원 -0% 0원
2,500원
47,500원 >
45,000원 -10% 0원
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6 대비 법원직 형사소송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6 대비 법원직 형사소송법 (제6판)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직군별 문제집 > 법원직
· ISBN : 9791174950093
· 쪽수 : 808쪽
· 출판일 : 2025-07-29

책 소개

2025년 법원직 형사소송법 시험은 그 난이도를 떠나서 법원직 시험이 다른 직렬의 시험과는 출제기관이나 출제의 point가 전혀 다르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우선 이번 2026년 개정판은 무엇보다 좀 더 법원직렬 시험에 적합하도록 하는데 focus를 맞추었다.

목차

제1편 서 론

제1장 형사소송의 기본 이론 3
제1절 형사소송법의 의의와 기초 3
1. 형사소송법의 의의 3
2. 형사소송법의 성격 4
제2절 형사소송법의 법원과 적용범위 5
1. 형사소송법의 법원 5
2. 형사소송법의 적용범위 8
제2장 형사소송의 이념과 구조 11
제1절 형사소송의 지도이념 11
1. 형사소송의 목적과 이념 11
2. 실체진실주의 11
3. 적정절차의 원리 13
4. 신속한 재판의 원칙 15
제2절 형사소송의 기본구조 19
1. 소송구조론 19
2.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내용과 장단점 19
3. 우리 형사소송법의 기본구조 20
4.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관계 22
5. 결 론 23


제2편 소송주체와 소송행위

제1장 소송의 주체 25
제1절 법 원 26
1. 법원의 의의와 구성 26
2. 법원의 구성 27
3. 법원의 관할 28
4. 법관의 제척ㆍ기피ㆍ회피 44
제2절 검 사 54
1. 의의와 성격 54
2. 검사의 조직과 구조 55
3. 검사의 소송법상 지위 56
제3절 피고인 58
1. 의 의 58
2. 피고인의 소송법상 지위 61
3. 무죄추정의 원칙 63
4. 진술거부권 67
5. 당사자능력과 소송능력 71
제4절 변호인 75
1. 변호인제도의 의의 75
2. 변호인의 선임 76
3. 변호인의 권한 93
제5절 보조인 97
제2장 소송행위기초 98
제1절 소송행위의 의의와 종류 98
1. 소송행위의 주체 99
2. 소송행위의 내용 101
3. 소송행위의 방식 101
4. 소송행위 일시와 장소 117
제2절 소송행위에 대한 가치판단 118
1. 소송행위의 해석 118
2. 소송행위의 성립ㆍ불성립 118
3. 소송행위의 유효ㆍ무효 119
4. 소송행위의 적법ㆍ부적법 124
5. 소송행위의 이유의 유무 124
제3절 소송조건 125
1. 소송조건의 의의 125
2. 소송조건의 종류 125
3. 소송조건의 조사와 흠결의 효과 126


제3편 수사와 공소

제1장 수 사 131
제1절 수사의 기본 이론 131
1. 수사의 의의 131
2. 수사의 구조 133
3. 수사의 조건 134
제2절 수사의 개시 139
1. 수사의 단서 139
2. 변사자의 검시 140
3. 불심검문 141
4. 고 소 143
5. 고 발 162
6. 자 수 164
제3절 임의수사 166
1. 수사의 방법 및 실행 166
2. 임의수사의 방법 178
제2장 강제처분과 강제수사 189
제1절 강제처분 189
제2절 체포와 구속 190
1. 현행법상 인신구속제도 190
2. 피의자의 체포 190
3. 피의자와 피고인의 구속 204
4. 피고인과 피의자의 접견교통권 219
5. 체포ㆍ구속적부심사제도 227
6. 피고인 석방 제도 236
7. 구속의 집행정지와 실효 245
제3절 압수ㆍ수색ㆍ검증 248
1. 대물적 강제처분 248
2. 압수와 수색 250
3. 수사상의 검증 287
4. 수사상 감정유치 292
제4절 수사상의 증거보전 294
1. 서 설 294
2. 수사상의 증거보전 294
제3장 수사의 종결 301
제1절 수사종결의 의의와 종류 301
1. 수사종결의 의의 301
2. 검사의 제2차적 수사종결권 301
3. 불기소처분의 효과 303
4. 불기소처분에 대한 불복 304
제2절 공소제기 후의 수사 305
제4장 공소의 제기 309
제1절 공소와 공소권 이론 309
1. 공소 및 공소권의 의의 309
2. 공소권남용이론 309
제2절 공소제기의 원칙과 규제 313
1. 공소제기의 기본원칙 313
2. 공소의 취소 316
3. 기소강제절차(재정신청제도) 318
제3절 공소제기의 방식 324
1. 공소장의 제출 324
2. 공소장의 기재사항 325
3. 공소장일본주의 337
제4절 공소제기의 효과 343
1. 의 의 343
2. 공소제기의 소송법상 효과 343
3. 공소제기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344
제5절 공소시효 347
1. 의 의 347
2. 공소시효의 기간 347
3. 공소시효의 정지 353
4. 공소시효의 완성 358


제4편 공 판

제1장 공판절차 363
제1절 공판절차의 기본원칙 363
1. 공판절차의 의의 363
2. 공판중심주의의 채택 363
3. 공판절차의 기본원칙 366
제2절 공판 심리의 범위 369
1. 심판의 대상 369
2. 심판대상에 관한 이론 370
3. 공소장변경 370
제3절 공판절차의 진행 391
1. 공판준비절차 391
2. 공판기일 전의 절차 391
3. 공판 전 준비절차 395
4. 증거개시제도(discovery) 399
제4절 공판정의 심리 403
1. 공판정의 구성 403
2. 소송지휘권 409
3. 법정경찰권 411
제5절 공판기일의 절차 413
1. 모두절차 413
2. 사실심리절차 415
3. 판결의 선고 423
제6절 증인신문ㆍ감정과 검증 425
1. 증인신문 425
2. 감정ㆍ통역ㆍ번역 448
3. 검 증 451
제7절 공판절차의 특칙 453
1. 간이공판절차 453
2. 공판절차의 정지 458
3. 공판절차의 갱신 460
4. 변론의 병합ㆍ분리와 재개 462
5. 국민참여재판 463
제2장 증 거 478
제1절 증거의 의의와 종류 478
1. 증거의 의의 478
2. 증거의 종류 478
3. 증거능력과 증명력 480
제2절 증명의 기본원칙 481
1. 증거재판주의 481
2. 거증책임(입증책임) 488
3. 자유심증주의 493
제3절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503
제4절 자백배제법칙 517
제5절 전문법칙 523
1. 전문증거와 전문법칙 523
2. 형사소송법상 전문법칙의 예외 526
3. 진술의 임의성 562
4. 사진과 녹음테이프의 증거능력 562
5. 거짓말탐지기 검사결과의 증거능력 568
6. 전자기록 등 특수매체기록의 증거능력 570
제6절 당사자의 동의와 증거능력 572
제7절 탄핵증거 581
제8절 자백과 보강증거 587
제9절 공판조서의 증명력 595
제3장 재 판 598
제1절 재판 일반 598
1. 재판 일반 598
제2절 종국재판 605
1. 유죄판결 605
2. 무죄판결 610
3. 면소판결 614
4. 관할위반의 판결 617
5. 공소기각의 재판 618
6. 종국재판의 부수효과 623
제3절 재판의 효력 625
1. 재판의 확정 625
2. 재판의 확정력 626
3. 기판력(일사부재리의 효력) 627
제4절 소송비용 633


제5편 상소ㆍ비상구제절차ㆍ특별절차ㆍ재판의 집행

제1장 상 소 637
제1절 상소 일반 637
1. 상소의 의의와 종류 637
2. 상소권 638
3. 상소의 이익 643
4. 상소의 제기와 포기ㆍ취하 646
5. 일부상소 648
6.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653
7. 파기판결의 구속력 665
제2절 항 소 669
1. 항소의 의의와 구조 669
2. 항소이유 672
3. 항소심의 절차 673
제3절 상 고 685
1. 상고의 의의와 구조 685
2. 상고이유 = 상고이유는 모두 상대적 상고이유로 본다. 686
3. 상고심의 절차 687
4. 비약적 상고 693
5. 상고심 판결의 정정 695
제4절 항 고 697
1. 항고의 의의 697
2. 항고의 종류 697
3. 항고심의 절차 700
4. 준항고 702
제2장 비상구제절차 707
제1절 재 심 707
1. 재심의 의의와 구조 707
2. 재심이유 710
3. 재심개시절차 719
4. 재심심판절차 726
제2절 비상상고 731
1. 의 의 731
2. 비상상고의 대상 731
3. 비상상고의 이유 732
4. 비상상고의 절차 733
제3장 특별절차 738
제1절 약식절차 738
1. 의 의 738
2. 약식명령의 청구 739
3. 약식절차의 심판 739
4. 정식재판의 청구 742
제2절 즉결심판절차 745
1. 즉결심판절차의 의의 745
2. 즉결심판의 청구 745
3. 즉결심판청구사건의 심리 746
4. 즉결심판청구사건의 재판 747
5. 정식재판의 청구 748
제3절 형사조정제도, 배상명령제도 750
1. 형사조정제도 750
2. 배상명령 751
제4절 소년에 대한 형사절차 757
제4장 재판의 집행과 형사보상 등 761
제1절 재판의 집행 761
1. 재판집행의 일반원칙 761
2. 형의 집행 763
3. 재판집행에 대한 구제방법 770
제2절 형사보상 772
1. 의 의 772
2. 형사보상의 요건 772
3. 형사보상의 내용 774
4. 형사보상의 절차 775
제3절 형사공탁제도 778
제4절 형사전자소송 780

판례색인 781

저자소개

이지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학과, 가천대 법과대학원 (전) ㈜베리타스 에듀 형소법 전임 (전) 윌비스 법학원 형법. 형소법 전임 (전) 서울법학원 형소법 전임 (전) 노량진 메가 경찰학원 형소법 전임 (전) 노량진 이그잼 법학원 법원. 경찰 형소법 전임 (현) 부평 공경단 경찰학원 형소법 전임 (현) 수원 국가 경찰 학원 형소법 전임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서강대, 부산대, 전북대, 충남대 고시특강, 한국사이버대학교 강사 [주요저서] ⦁ easy 형사소송법 2015(도서출판 배움) ⦁ 형사소송법 판례특강(도서출판 배움) ⦁ 형법 특강 (도서출판 마에스터) ⦁ 공감 형사소송법(도서출판 이든북스) ⦁ 객관식 형사소송법의 종결(학연, 2019) ⦁ 형사소송법 법령집(학연, 2020) ⦁ 민법, 민사소송법, 형법, 형사소송법 최신 판례(학연, 2020) ⦁ 법원직 핵심지문 OX 형사소송법(학연, 2023) ⦁ 법원직 형사소송법(학연, 2024)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