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보철과
· ISBN : 9791185097039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0-06-15
책 소개
목차
PART 01-1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FOR FULLY-EDENTULOUS PATIENTS
: 두려움 없는 완전 무치악 수복, 이제는 나도 할 수 있다!
019 | 01 | 무치악 수복 방식의 대전환
021 고령자의 임플란트 수복
022 임플란트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수복 단계
023 Diagnostic phase
01 } Oral examination / 02 } 진단인상 채득 및 진단 모형 제작 /
03 } 악간 관계 채득 및 진단 마운팅 / 04 } 치아 배열 및 진단 장치 제작 /
05 } 최종 보철의 디자인과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수 결정
028 Surgical phase ? Surgical guide
030 식립 수술 시의 몇 가지 선택
032 Provisional phase
033 Final restorative phase
034 증례의 의미
035 E-Maintenance phase
036 즉시 부하를 위한 잠정 보철 제작법
즉시 부하 시 지대주와 임시 보철물의 디자인
037 기존 의치의 교합을 잠정 보철물로 이전하는 방법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에서 고정성 보철로 전환 시 의치 교합을 이용한 증례
039 상악 총의치의 기존 교합을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이전한 증례
043 | 02 | 무치악 수복을 위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의 디자인
043 고정성 vs. 가철성
044 무치악 수복을 위한 고정성 보철의 분류
046 fixed complete denture type, hybrid denture(고정성 레진 총의치 타입)
048 High water design
049 Fixed complete denture type _ ceramic(고정성 세라믹 총의치 타입)
050 Fixed bridge type _ segmented
052 Fixed bridge type with pink ceramics _ segmented
054 | 03 | 광범위한 수복을 위한 나사 유지형 보철과 시멘트 유지형 보철
055 시멘트 유지형 보철
056 시멘트 유지형 보철 사용시 주의해야 할 점
058 나사 유지형 보철/오리지널 타입의 나사 유지형 보철
060 나사 유지형 보철로 하악을 수복한 증례
063 일체형 나사 지대주 구조의 나사 유지형 보철
066 | 04 | 임플란트 수복의 난제 상악 무치악의 고정성 보철 수복
068 치조제의 흡수는 상악 전치부의 식립을 곤란하게 한다.
070 임플란트 위치와 세그멘트 부위의 관계
074 | 05 | 완전무치악의 고정성 보철을 위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수
075 완전 무치악 수복을 위한 임플란트 식립의 원칙
076 기본 디자인
079 전악 수복을 위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보철 디자인 증례
083 | 06 | Shortend Dental Arch(SDA) 임플란트 수복에서 단축악궁의 의미
084 Shortened Dental Arches(SDA) Concept
086 SDA의 한계점
저작 기능의 제한 / 안모의 변화와 사회활동의 제한 /
잔존 치아의 과부하 / 교합의 불안정
088 무치악 수복에 적용한 SDA
089 무치악 수복 시 제2대구치를 모두 생략한 증례
089 임플란트 전악 보철에서의 SDA Concept
090 | 07 |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을 이용한 완전 무치악 수복증례 모음
090 상악 무치악/하악 부분 무치악 증례
095 즉시 부하를 이용한 상악 무치악 수복
100 상하악 완전 무치악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
108 나사 유지형 보철물을 이용한 하악 전악 수복
PART 01-2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FOR FULLY-EDENTULOUS PATIENTS
: 두려움 없는 완전 무치악 수복, 이제는 나도 할 수 있다!
115 | 01 | 무치악 수복을 위한 임플란트 인상법
116 Fixture level impression and 1-step delivery
117 임플란트 레벨 인상으로 지대주와 최종 보철물을 제작한 증례
119 Fixture level impression + direct impression
120 임플란트 레벨 인상에서 최종 보철이 아닌 잠정 보철을 제작하는 이유
121 지대주의 직접 인상으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한 증례
122 Stock abutment : Direct abutment level impression
123 Stock abutment : Using plastic impression copings
124 Bite impression
127 | 02 | Jaw relation record 완전 무치악 수복을 위한 악간 관계 채득
129 완전 무치악 환자의 악간 관계 채득 방법
133 Half provisional bite method
134 1/3 provisional bite method
136 좀 더 안정적인 악간 관계 채득법 : Stabilizing bite
136 좌우 구치부 수복 시 교대로 구치부 stabilizing bite를 이용하는 방법
138 좌우 구치부 수복을 위한 전치부 stabilizing bite
140 편측 수복을 위한 전악 인상에서 stabilizing bite를 이용하는 방법
142 잠정 보철물을 그대로 주모형 마운팅에 사용하는 방법
PART 01-2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FOR FULLY-EDENTULOUS PATIENTS
: 두려움 없는 완전 무치악 수복, 이제는 나도 할 수 있다!
145 | 01 | 교합 고경의 정의와 임상적 의미
146 자연치열의 생리적 교모와 병적 교모
147 교합 고경 상실의 유형 
치열 전체의 교모 / 구치부 상실로 인한 수직 지지의 상실 /
치주 질환으로 인한 수직 고경의 상실
150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거상한다
151 교합 고경 거상으로 얻을 수 있는 것
151 교합 고경 변경의 임상적 결정
보철물 공간의 확보 / 전치부 교합 관계(overbite, overjet)의 개선
153 교합 고경 거상으로 전치부의 교합 관계와 심미성을 개선한 증례
155 치아의 심미성 개선 / 안모의 개선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면서 교합 고경을 높인 증례
157  교합 고경 거상 시 거상량을 결정할 때
159 부가적인 치료의 필요성 감소
160 교합 고경 거상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
160 교합 고경 거상의 측정 기준
162 교합 고경을 높일 수 있는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164 교합 고경 변화의 필요성과 거상량의 결정
164 교합 고경 거상량 결정의 기준
165 교합 고경 거상의 순서
전악을 한 번에 거상 / 상악과 하악 중 어느 한쪽 전체 악궁을 먼저 거상 /
전치부를 먼저 거상 / 구치부를 먼저 거상
169 원래의 교합 고경을 유지하고 전악 수복한 증례
171 언제 거상할 것인가? / 어떤 재료와 방법으로 거상할 것인가?
172 교합 고경의 회복과 안정적인 유지를 위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172 임상증례 : 임플란트와 복합 레진 축성을 이용한 교합 거상
175 교합 고경 거상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하여
177 증가된 수직 고경을 지지하는 임플란트의 예후
177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과 전치부 레진 충전으로 교합 평면과 심미성을 개선한 증례
179 교모된 자연치열의 교합 고경 거상 증례
182 왜곡된 교합 평면의 개선
182 임플란트로 교합 재건을 하는 동시에 왜곡된 교합 평면을 개선한 증례
185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모와 교합 고경 상실
186 교모가 심한 전악 임플란트 보철을 이중관을 이용하여 교합 고경을 증가시켜 수복한 증례
191 | 01 | 임플란트 피개의치 설계의 기본 원칙
192 Implant Overdenture에 대한 consensus reports
193 2012 EAO Consensus Report
194 임플란트 피개의치 디자인의 원칙 : 총의치와 똑같게
194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기본적 디자인 분류
196 One-implant supported IOD : 달랑 하나?
197 | 02 | 하악의 임플란트 피개의치 : 독립적 어태치먼트
199 부적절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가진 피개의치의 재수복 증례
202 상악 총의치 / 하악 피개의치 증례
205 임플란트 피개의치에서 고정성 보철로의 전환을 고려한 임플란트 식립위치 선정
206 | 03 | 하악의 임플란트 피개의치 : 바 어태치먼트
207 바 디자인의 원칙
208 부적절한 바 디자인의 예
210 바 어태치먼트 피개의치를 위한 임상 술식
인상 방법 ① 임플란트와 연조직 인상을 동시에 채득하는 방법
인상 방법 ② 바 어태치먼트 제작을 위한 인상과 의치용 인상을 별도로 채득하는 방법
214 | 04 |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한 어태치먼트의 선택과 적용
215 유지력이 가장 중요하다?
216 볼(spherical) 어태치먼트
218 로케이터 어태치먼트
220 유지력 단위의 환산
221 자석 어태치먼트
221 덴티움 자석 어태치먼트를 상악 ISRPD에 이용한 증례
222 Positioner Attachment
223 MegRhein Attachment
224 어태치먼트를 포함한 의치 인상 채득의 두 가지 방법
225 어태치먼트 유지 소켓 부착 방법 : 직접법 vs. 간접법
구강 내에서 자가 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의치에 소켓을 직접법으로 부착한 증례
226 직접법으로 소켓을 부착하는 시기
227 어태치먼트 공간을 의치 내면에서 확인하는 방법
Part 02 IMPLANT OVERDENTURES & ISRPDs
: OVERDENTURE, 알 수 없는 궁금증을 낱낱이 파헤치다!
228 | 05 | 상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 또 하나의 난제
230 상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쓸 만하지 않다
233 계획하지 않은 피개의치는 실패한다
234 | 06 | 임플란트 피개의치 증례모음
234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무치악을 수복한 증례
238 기존의 총의치를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변환한 증례
240 기존 의치를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변환할 때 내면 삭제를 최소화하는 방법
242 보존 불가한 치아들을 발거하고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한 증례
246 | 07 | Implant overdenture의 교합
249 양측성 균형 교합 형성 증례
252 | 08 |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병발증 해결과 유지 관리
253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병발증
254 Biologic complications
Peri-implant mucositis and hyperplasia / Sore spots /
연조직의 퇴축과 의치 하방 치조제의 흡수 / Peri-implantitis, bone loss and implant loss
258 Mechanical complications
유지 부품의 마모와 손상 / 어태치먼트 지대주의 마모와 손상 /
의치상, 인공치와 프레임의 손상
262 의치 하방의 치조제 흡수(총의치 vs. 임플란트 피개의치)
266 | 09 | Combination Syndrome in Implant Porsthodontics
266 Classical Combination Syndrome 원문을 찾아서 / 제살 깎아먹는 틀니
268 전형적인 combination syndrome을 보이는 증례
269 어디서부터 잘못되었을까?
Evidence의 잣대로 바라보기
Combination syndrome의 다양한 형태 :
Combination syndrome-like localized severe bone resorption
Part 02 IMPLANT OVERDENTURES & ISRPDs
: OVERDENTURE, 알 수 없는 궁금증을 낱낱이 파헤치다!
272 오래 전에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combination syndrome이 임플란트 보철에까지 전해져서 고착된 증례
273 Combination syndrome 발생의 위험인자가 있는가?
275 Combination syndrome 환자의 보철치료를 위한 접근 원칙
275 Combination syndrome의 수복 양식
276 전통적 가철성 보철
278 서로 교합되지 않는 소수 잔존치에 의한 비대칭적 치조제 흡수 증례
281 임플란트 피개의치
Combination syndrome을 보이는 환자의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282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역설 : 임플란트가 combination syndrome을 유발한다?
284 임플란트 지지 RPD
285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286 상실 부위와 교합 관계에 따른 분류와 수복 방법 ;
Combination syndrome의 치료와 예방적 관점
상악 무치악, 하악 Kennedy Class 1 / 엇갈린 교합(non-occluding teeth) /
Non-occluding teeth and bite collapse / Non-occluding teeth
294 | 10 | 임플란트로 국소의치 기능을 보조한다
Implant-Supported RPDs
296 ISRPD 증례
ISRPD 환자의 만족도와 삶의 질 변화 / ISRPD의 예후 / 유지관리
299 ISRPD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수
304 ISRPD의 디자인
304 ISRPD의 디자인 요소
305 어태치먼트 혹은 지대주 부품의 선택
306 임플란트 지지 surveyed crown을 이용한 국소의치
306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의 장점
307 디자인
308 파절된 국소의치 지대치를 임플란트 크라운으로 대체한 증례
309 임플란트 크라운과 클래스프를 조합한 ISRPD 증례
310 임플란트 크라운을 이용한 국소의치 제작의 임상 순서
Part 03 BIOLOGY,MECHANICS&TECHNOLOGY
: SHORT IMPLANT에서 FOOD IMPACTION까지 모든 걸 해부하다!
315 | 01 | 길이로부터의 자유 Short Implants
315 최적의 임플란트 길이와 지름 선택 고전이 된 Ante의 법칙
Ante’s Law for Dental Implants
319 Short Implants
임플란트 길이에 대한 개념의 변화 ; 비적응증을 적응증으로 바꾸다.
그토록 긴 임플란트를 선호했던 나름의 이유
322 짧은 임플란트의 적응증
323 짧은 임플란트로 대구치부를 수복한 증례
 짧은 임플란트의 성공률에 대한 문헌들
Biomechanics ; 짧아도 되는 이유
Crown-to-Root Ratio(C/R ratio) and Crown-to-Implant Ratio(C/I ratio)
330 C/I ratio보다 Crown Length가 더 중요한 요소다!
짧은 임플란트는 죄가 없다.
임플란트의 디자인도 짧은 임플란트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까?
333 악골 부위별 임플란트의 길이 선택
333 하악 구치부
334 상악 구치부
335 상악 구치부에 두 개의 임플란트로 브리지 수복한 증례
337 어디까지 짧아질 수 있을까?
338 | 02 | 목이 잘록해야 좋다 Platform Switching Concept
339 우연으로 시작된 플랫폼 스위칭 개념
340 플랫폼 스위칭의 효과
341 플랫폼 스위칭과 변연골 반응의 관계
342 플랫폼 스위칭이 변연골과 연조직의 유지에 도움을 주는 이유에 대한 몇 가지 가설
346 플랫폼 스위칭의 조건과 정의
348 플랫폼 스위칭의 임상적 의의와 한계
349 | 03 |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치부 다수 치아 수복
350 임플란트 사이의 적정 거리가 필요한 이유
보철물의 적절한 emergence profile과 embrasure 부여
보철과정의 용이성
임플란트 사이의 변연골과 연조직 유지
351 임플란트 사이 골의 조직 생리학적 측면
353 다수 임플란트 식립 시 피판 형성 전 거리 표시 방법
354 임플란트 사이의 거리와 전치부 심미 : Tarnow’s 5mm Rules
355 Rule 01-자연치-자연치 사이의 치간유두
356 Rule 02-자연치-임플란트 사이의 치간유두
발치 및 임플란트 식립 후 11개월이 경과한 증례
359 인접 접촉점은 어디인가?
360 Rule 03-임플란트-임플란트 사이의 치간유두
361 공정하지 못한 게임
sub-crestal biologic width vs.supra-crestal biologic width
362 전치부 수복에서 연조직 심미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363 상악 전치부 다수 치아 임플란트 수복 시 임플란트 사이의 거리 확보
364 상악 4전치의 수복
364 01 } 좌우 측절치에 하나씩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
상악 좌우 측절치부 임플란트로 4전치를 수복한 증례
368 02 } 중절치와 측절치에 하나씩 식립하는 방법
중절치와 측절치에 식립하고 상악 4전치를 수복한 증례
370 03 } 좌우 중절치에 하나씩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
370 04 } 미니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방법
371 중절치와 측절치의 수복
01 } 두 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 / 02 } 중절치에만 식립하는 방법
03, 04 } 중절치 혹은 측절치 부위에 하나를 식립하고 자연치와 연결하는 방법
374 견치와 소구치의 수복
375 전악 수복 : Crowded Implants
377 | 04 | Biologic Width in Implant Dentistry 임플란트에서 생물학적 폭경의 의미와 임상적 고려
377 자연치의 생물학적 폭경
378 생물학적 폭경에 대한 의외의 사실들
379 수복 치과학에서 생물학적 폭경의 의미
380 임플란트에서 생물학적 폭경의 의미
382 Horizontal Biologic Width
384 편리한 도그마와 불편한 진실
385 | 05 | 임플란트 보철 주위의 인접면 접촉 소실과 식편압입
385 그 원인과 예방
“임플란트 보철 주위에 음식물이 안끼게 하는 것이 가능할까?”
388 보철물 주위의 적절한 인접 접촉 강도는 어느 정도이며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389 자연치열의 식편압입
390 임플란트 보철 주위의 인접면 접촉 소실과 식편압입에 대한 문헌 고찰
391 인접 접촉 소실과 식편압입의 원인과 예방
391 자연치의 생리적 근심 이동
391 자연치열 혹은 임플란트 수복물 주위에서
인접 접촉 소실 혹은 식편 압입을 일으키는 요인
392 인접 자연치의 동요도
393 임플란트의 저위 교합 (infra-occlusion)
395 부적절한 보철물 혹은 자연치의 형태와 교합
397 Escape way ; 교모된 치열의 대안
399 Embrasure의 어원과 치과적 용어
400 인접치와 대합치의 교합 조정
401 인접한 치아와 대합치열의 부적절한 형태와 교합
405 음식물 낌 발생 시 대처와 해결
406 | 06 | New Restorative Materials ; PMMA and Zirconia
407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대구치 임플란트의 잠정 보철물의 제작에 사용된 PMMA 크라운의 예
상악 무치악을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수복한 증례
411 All Zirconia Material
하악 전치부 임플란트에 올 지르코니아 수복물을 사용한 증례
자연치 지대치 위에 제작한 올 지르코니아 브리지 증례
415 올 지르코니아 재료의 미래
416 Ceramic-veneered zirconia
상악 전악 수복 증례 / 상악의 세라믹-비니어 지르코니아 브리지 증례
420 지르코니아 재료에 대한 의문점
426 새로운 재료와 디지털 테크닉을 이용한 무치악 임플란트 수복 증례
430 | 07 | References
PART 04 TAKE A QR VIDEO
Occlude로 의치 내면 간섭 부위 확인하는 방법
Flowable temporary resin으로 attachment 하방 blockout하는 방법
Overdenture 캡을 의치에 레진으로 연결하는 방법
Revotek LC를 이용한 임시 보철물의 제작
Overdenture 인상 채득법 : 인상 코핑을 이용하는 방법
Overdenture 인상 채득법: 메탈 캡 낀 채로 인상
기존 의치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를 마킹하는 방법
지르코니아 보철 내면 적합도 확인 방법
와이어로 임시 치아 보강하는 방법
교합 조정 후 지르코니아의 연마 방법
저자소개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