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교정과
· ISBN : 9791185097091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9-08-01
책 소개
목차
COMPOSITE RESIGN
Chapter 01 ■ MINIMUM INTERVENTION
01 젊고 예뻤던 엄마, 그러나 지금은 늙어버린 어머니... 017
02 이렇게 될 줄 미리 알았더라면... 018
03 첫 단추 019
04 앞니 크기가 너무 작아서 생긴 전치부 공간 020
05 교정치료 후 생긴 black triangle space 024
Chapter 02 ■ SEALANT
01 실란트만 하면 치아는 우식에서 자유로울까? 027
02 실란트는 쉬운 치료? 028
03 실란트 주위에 발생한 이차우식의 재치료 030
04 실란트 치료를 받으러 내원했으나 치아우식이 발견되어 레진으로 수복한 증례 031
05 실란트에 관한 일반적인 질문들 032
Chapter 03 ■ 구치부 레진
01 1급 와동 - 매우 작은 초기 우식의 수복 041
02 중간 크기의 레진 수복 046
03 보다 큰 와동에서의 레진 수복 047
04 2급 와동의 레진 수복 050
→ 구치부 2급 와동의 단계적 수복 과정
→ 구치부 레진 수복시 고려해야할 점들
→ 구치부 레진 수복의 자세한 술식, 그리고 자연스럽게 groove와 ridge를 형성하는 방법
Chapter 04 ■ 전치부 레진
01 3급 와동의 레진 수복 067
→ 3급 와동의 치료에서 고려해야할 사항들
→ 3급 와동의 수복 과정에 대해 단계별로 알아본다.
02 3급 와동 레진 수복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문제점들과 그 해결방법 073
→ 1) 3급 와동 레진 치료 후 인접 접촉면의 외형적인 어색함
→ 2) 수복 부위의 어두운 shadow
→ 3) 인접면 수복 후 여전히 남아있는 어두운 변색치질
03 3급 와동의 다양한 레진 증례들 (1) 081
→ 변색을 동반한 오래된 레진의 재치료
04 3급 와동의 다양한 레진 증례들 (2) 086
→ 전치부 다발성 치아우식의 레진치료
05 3급 와동의 다양한 레진 증례들 (3) 088
→ 범위가 큰 3급 와동을 Resin Veneer로
06 4급 와동의 레진 수복 091
→ 4급 와동 수복 과정에 대한 단계적 술식 소개
07 골유착으로 인해 절단면 높이가 서로 다른 중절치의 수복 098
08 4급 와동의 다양한 레진 증례들 (1) 103
→ 교정치료를 위해 절단된 치아의 레진수복
09 4급 와동의 다양한 레진 증례들 (2) 106
→ 넘어져서 부러진 앞니의 레진수복
10 4급 와동의 다양한 레진 증례들 (3) 107
→ 크라운을 할 것인가? 레진을 할 것인가?
11 5급 와동의 레진 수복 110
→ 5급 와동 수복의 기본 전략
→ 단계별 자세한 술식 소개
→ 5급 와동 치료 모식도
→ 5급 와동 수복에 대한 요약
Chapter 05 ■ DIASTEMA CLOSURE
01 레진을 이용한 Diastema 수복 120
→ Diastema closure 치료술식에 대해 단계별로 소개한다.
02 Diastema closure 치료의 임상증례 (1) 136
→ 앞니 사이의 벌어진 공간이 매우 작았던 증례
03 Diastema closure 치료의 임상증례 (2) 137
→ 앞니 사이가 중간 정도 벌어진 증례
04 Diastema closure 치료의 임상증례 (3) 138
→ 너무나도 큰 공간의 수복
05 Diastema closure 치료의 임상증례 (4) 140
→ 처음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06 Diastema closure 치료의 임상증례 (5) 144
→ 숨을 쉴 수가 없어요.
07 Contact을 보다 tight하게 만들어 보자! 149
→ 극강의 tight contact 만들기 1, 2, 3
→ Wire를 이용하여 보다 tight한 contact을 만드는 다양한 예
■ 교정치료에 관한 알토란 같은 Q&A
01 많은 bracket의 종류중 선택기준은? 160
02 전치부 치아에 bracket을 부착할 때 치근평행과 절단면 기울기 중 우선권은? 161
03 전치부 치아에서 bracket 부착 높이는 어떻게 결정하나요? 163
04 구치부에서 bracket 부착 높이의 기준을 알려주세요. 164
05 크라운 수복물 위에 bracket을 접착시 필요한 접착과정을 정리해 주세요. 165
06 교정치료 도중 탈락된 bracket을 재부착할 때 표면처리는? 166
07 동일한 부위에 bracket이 반복적으로 떨어질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168
08 하악에서 6번과 7번에 bracket을 부착한 이후 오히려 틀어지는 경우 원인과 대처방법은? 170
09 골격성 2급 부정교합의 치료는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요? 171
10 2급 부정교합 치료시 헤드기어와 미니스크류 사용의 차이점은? 172
11 Headgear의 종류가 많은데 유독 cervical H/G를 선호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173
12 H/G 사용시 힘의 크기는 어느 정도로 적용하시는지요? 175
13 H/G를 사용할 때 매번 방문시 마다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조절해 주어야 하나요? 176
14 3급 부정교합의 치료 시기는 언제쯤이 좋을까요? 177
15 RPE+FM을 이용한 1차 교정치료 후 유지장치로 악기능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견해는?179
16 하악골 과성장으로 인한 3급 부정교합 환자의 경우도 Facemask를 사용하시나요? 180
17 Hyrax type과 Haas type의 선택 기준은? 182
18 RPE를 사용했을 때 정중구개봉합이 벌어질 수 있는 나이는? 183
19 RPE를 사용하여 상악골을 확장할 때 얼마나 확장을 해야 하나요? 184
20 안면 비대칭 환자가 수술 없이 교정만으로도 해결될 수 있을까요? 185
21 Fixed retainer사용시 어떤 wire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186
22 교정 환자에서 유지장치의 선택과 방법을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88
23 하악 3전치일 때는 상/하 교합은 어떻게 마무리 해야 하나요? 191
24 Finishing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92
25 교정치료 중 혹은 교정 마무리 시기에 교합조정은 필수적으로 해야 하나요? 193
26 Interproximal stripping에 대한 필자의 견해 194
27 사용하는 장치가 매우 단순한데 이것만으로도 복잡한 교정증례를 다 해결할 수 있을까요? 196
28 Wire는 어떤 순서로 사용하는지요? 197
29 Wire에 COS 혹은 R-COS를 부여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198
30 Expansion spring을 만드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200
31 Wire의 종류가 많은데 상황에 따라 각각 어떤 때 어떤 wire를 사용하고 계신지요? 202
32 주로 사용하는 cephalo 수치는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203
33 혀 내밀기 습관 환자에서의 Tongue exercise 교육방법 206
34 교정환자의 구강위생관리는 어떻게 관리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207
35 GP인데 교정에 입문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208
ORTHODONTICS
Chapter 01 ■ 교정치료를 꼭 해야 하나?
01 돌출입 수술 후 남겨 놓은 어중간한 발치 공간 213
02 돌출입 수술후 발생한 부작용 - 치근 노출 216
→ 치근 노출의 단계적 수복 과정
→ 전방분절골 수술(ASO)과 양악 수술의 모식도
Chapter 02 ■ 교정치료를 하고나면 무엇이 달라지나요?
01 1급 부정교합에서 교정치료 후 개선된 안모 224
02 성장 잠재력이 많은 아동의 2급 부정교합에서 교정치료 후 개선된 안모 225
03 성장이 거의 종료된 시점의 2급 부정교합에서 치료 후 달라진 안모 226
04 발치 교정 후 안모개선이 불만족스러운 환자의 재치료 후 달라진 안모 227
05 성장기 3급 부정교합에서 교정치료 후 개선된 안모 228
06 성인의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양악수술) 치료 후 달라진 안모 229
Chapter 03 ■ 교정치료는 언제 하는 것이 좋은가요?
01 1급 부정교합 234
02 2급 부정교합 235
03 3급 부정교합 236
Chapter 04 ■ 교정치료의 기본 원리
01 작용-반작용의 원리 239
02 구외 장치 240
03 미니스크류(Miniscrew) 241
04 악교정 수술 242
→ 3급 부정교합
→ 2급 부정교합
Chapter 05 ■ 상식에 뿌리를 둔 치료 VS 상식이 잠자는 치료
01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한 생각의 여행 245
→ 치아가 제 위치로 배열되는 과정
02 고정관념에서 탈피해야. . . 254
03 반대교합을 넘기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 263
Chapter 06 ■ 치료의 한계와 가능성 사이에서의 줄다리기
상악골 확장의 한계는? 272
02 골격성 2급의 성장기 아동에서 헤드기어의 효과 284
Chapter 07 ■ 악정형치료와 악교정수술 사이에서
01 사춘기 성장을 앞둔 심한 골격성 2급 부정교합 296
02 성장기 아동에서의 3급 부정교합 306
Chapter 08 ■ 발치와 비발치 사이에서...
01 성장기 2급 부정교합에서의 교정 치료 (1) 318
→ Cervical Headgear와 Lip bumper를 사용한 비발치 1
02 성장기 2급 부정교합에서의 교정 치료 (2) 324
→ Headgear와 Lib bumper를 사용한 비발치 2
03 성장기 2급 부정교합에서의 교정 치료 (3) 329
→ Asymmetric cervical headgear를 사용한 비발치
Chapter 09 ■ 교정치료를 통한 안모의 개선
01 성인에서의 1급 부정교합 338
02 성장기 아동에서의 골격성 2급 부정교합 345
03 성장이 거의 종료되어가는 단계에서의 2급 부정교합 354
04 성장이 종료된 성인에서의 2급 부정교합 363
Chapter 10 ■ 성장기의 2급 부정교합
01 2급 부정교합, 심한 돌출 376
02 2급 부정교합, 돌출된 입, 그러나 절단교합 384
03 2급 부정교합, deepbite 392
Chapter 11 ■ 성인에서의 골격성 2급 부정교합
01 deepbite in adult (1) - 오목한 입 401
02 deepbite in adult (2) - 돌출된 입 410
03 deepbite in adult (3) - straight profile 422
→ 성인에서 사용된 헤드기어의 효과
Chapter 12 ■ 성장기 3급 부정교합
01 성장기 아동의 반대교합 치료 증례 (1) - deepbite 435
02 성장기 아동의 반대교합 치료 증례 (2) - edgebite 443
03 성장기 아동의 반대교합 치료 증례 (3) - prominent chin 452
Chapter 13 ■ 3급 부정교합-성인에서의 CAMOUFLAGE
01 성인에서의 반대교합 - 460
Chapter 14 ■ OPENBITE
01 Openbite in child - 돌출된 입 472
02 Openbite in adult (1) - 좁은 상악골, 돌출된 입 478
03 Openbite in adult (2) - 돌출된 입 485
04 Openbite in adult (3) - 좁은 상악골, 돌출된 입 490
Chapter 15 ■ TRANSVERSE를 알아야 교정이 보인다
01 Asymmetry 498
→ Unilateral crossbite + midline shift (1)
→ Unilateral crossbite + midline shift (2)
→ Unilateral crossbite + midline shift (3)
→ Unilateral crossbite + midline shift (4)
02 Crossbite 505
→ Crossbite in deciduous dentition (phase 1 tx with RPE + Facemask)
→ Crossbite in mixed dentition (1) (phase 1 tx with RPE + Facemask)
→ Crossbite in mixed dentition (2) (phase 1 tx with RPE + Facemask)
→ Crossbite in late mixed dentition (RPE + Facemask)
→ Crossbite in early permanent dentition (RPE + Facemask)
→ Crossbite in adult (RPE + Extraction)
03 Openbite 517
→ Openbite in adult (매우 좁은 상악골)
→ Openbite in growing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