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기계공학 > 자동차공학
· ISBN : 9791185224848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4-02-25
목차
제 1 장 자동차의 역사
Ⅰ. 자동차의 발달
Ⅱ. 미래의 자동차
1. 환경친화성을 높이는 기술
2.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기술
3. 2행정 사이클 기관을 이용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
4. 전기자동차를 사용하는 기술
5. 하이브리드 기관(hybrid engine) 자동차
6.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
제 2 장 자동차의 제원과 차체
Ⅰ. 자동차의 정의와 분류
1. 자동차의 정의
2. 자동차의 분류
Ⅱ. 자동차의 제원
1. 자동차 차체의 제원
2. 자동차 중량의 정의
Ⅲ. 프레임의 구조
1. 사다리꼴 프레임
2. 배골형 프레임(back bone type)
3. X형 프레임
4. 플랫폼 형 프레임(platform type)
5. 퍼리미터 형 프레임(perimeter type)
6. 트러스형 프레임(truss type)
7. 운전자 보호를 위한 프레임(truss type)
Ⅳ. 차 체(BODY)
1. 프레임 식
2. 단체구조
3. 차체의 안전설계
제 3 장 기관의 구조
Ⅰ. 피스톤식 기관
1. 기관본체의 구조
2. 실린더블록(cylinder block)과 실린더(cylinder)
3. 실린더헤드(cylinder head)
4. 연소실(combustion chamber)
5. 피스톤과 커넥팅로드
6. 크랭크축(crank shaft)
7. 플라이휠(fly wheel)
8. 자동차기관의 제원
Ⅱ. 직접분사식 오토기관
1. 직접분사식(GDI) 기관의 개요
2. 실린더내의 분무유동의 제어
3. 직접분사식 오토기관의 연료분사장치
4. 직접분사식 오토기관의 성능특성
제 4 장 기관의 흡배기장치
Ⅰ. 밸브기구(valve mechanism)
1. 오버헤드밸브기구(OHV, Over Head Valve train)
2. 사이드밸브기구(Side Valve train)
3. 오버헤드 캠축기구(OHC, Overhead Cam shaft Valve train)
4. 이중오버헤드밸브 캠축기구(DOHC train)
Ⅱ. 밸브의 구조와 동작
1. 밸브의 양정과 가스의 속도
2. 밸브의 개폐시기선도(open and close timing diagram of valve)
3. 밸브개폐장치
Ⅲ. 가변밸브타이밍 기구
1. 흡기밸브 캠의 위상을 바꾸는 방식
2. 캠의 윤곽곡선(profile)을 바꾸는 방식
Ⅳ. 흡기와 배기 다지관
1. 흡기다지관
2. 배기다지관
3. 가변흡기장치(V. I. S. Variable Inlet System)
4. 기관의 소음과 배기소음기(muffler)
5. 배기터보 과급기(turbo charger)
제 5 장 기관의 연료장치
Ⅰ. 오토기관의 연료분사장치
1. 연료펌프(fuel pump)
2. 연료압력조절기(fuel pressure regulator)
3. 연료분사기(injector)
4. 연료분사량의 제어
5. 흡입공기량의 검출
Ⅱ. 디젤기관의 연료분사장치
1. 열형연료분사펌프(in-line type fuel injection pump)
2. 분배형 연료분사펌프(axial piston distributor injection pump)
3. 커먼레일형(common rail type) 연료분사장치
Ⅲ. 연소생성물의 정화
1. 브로바이 가스(blow by gas) 및 증발가스의 정화
2. 배기가스 재순환(EGR) 밸브
3. 3원 촉매장치(three way catalytic converter)
4. 산소센서
5. 희박혼합기 운전의 질소산화물의 정화
6. 디젤기관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제 6 장 기관의 냉각장치
1. 공기식 냉각장치
2. 수냉식 냉각장치
3. 증발식 냉각장치
4. 냉각수와 부동액
제 7 장 기관의 윤활장치
1. 윤활작용
2. 윤활유의 기능과 성질
3. 자동차기관의 윤활방식
4. 윤활장치의 구성부품
5. 윤활유의 분류
제 8 장 기관의 전기장치
Ⅰ. 시동장치(starting systems)
1. 시동모터의 구조
Ⅱ. 충전장치(charging system)
1. 발전기(alternator)의 구조
2. 발전기의 충전작용
Ⅲ. 점화장치(ignition system)
1. 배터리 점화장치(battery ignition system)
2. 자석발전기식 점화장치
3. 트랜지스터식 점화장치(transistorized ignition system)
4. 점화플러그(spark plug)
5. 노크센서(knock sensor)
Ⅳ. 디젤기관의 예열장치
1. 예열 플러그(glow plug)
Ⅴ. 배터리(battery)
1. 배터리의 구조
2. 배터리의 화학반응
3. 배터리의 비중과 기전력
4. 배터리의 용량과 방전율
5. 배터리의 종류
6. 배터리의 충전
제 9 장 동력전달장치
Ⅰ. 클러치(clutch)
1. 마찰클러치
2. 전자 클러치
3. 클러치의 용량과 동력전달효율
Ⅱ. 기어식 변속기
1. 변속기(transmission)의 종류
2. 수동변속기의 변속비
Ⅲ. 자동변속기
1. 유체클러치(fluid clutch)
2. 토크컨버터(Torque Converter)
3. 자동변속기의 구조와 동작요소
4.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와 변속선도
5. 유성기어식 변속기
6. 자동변속기의 동력전달경로(power flow)
7. 자동변속제어장치
8. 유압제어장치
Ⅳ. 연속무단변속기
1. 연속무단변속기의 동력전달
2. 연속무단변속기의 변속레버와 역할
3. 유압제어장치
4. 자동변속기오일
Ⅴ. 추진축과 자재(?:)이음
1. 추진축(??, propeller shaft)
2. 자재(?:)축 이음(universal joint)
Ⅵ. 종감속과 차동기어장치
1. 종감속( M減?기어장치
2. 차동장치(differential gear system)
Ⅶ. 앞기관 앞바퀴 구동차의 동력전달
제 10 장 차체의 현가장치
Ⅰ. 앞 차축과 앞 차축현가장치
1. 일체식차축(rigid axle type)
2. 독립현가식 앞차축(front independent suspension or divided axle)
Ⅱ. 뒤차축과 뒤차축 현가장치
1. 일체식 뒤차축(rigid rear axle type)
2. 독립식 뒤차축 현가장치
Ⅲ. 섀시 스프링
1. 판스프링(leaf spring)
2. 코일스프링(coil spring)
3. 비틀림봉 스프링(torsion bar spring)
4. 고무 스프링(gum spring)
5. 공기스프링(air spring)
Ⅳ. 진동과 감쇠장치
1. 자동차 진동의 종류와 전달경로
2. 쇽업소버(shock absorber) 감쇠장치
Ⅴ. 전자제어 현가장치
1. 감쇠력가변식 현가장치
2. 감쇠력과 차고조절 복합식 현가장치
3. 반( )-동적감쇠력 가변현가장치(semi-active ECS)
4. 동적감쇠력 가변식현가장치
제 11 장 자동차의 조향장치
Ⅰ. 조향장치
1. 조향장치의 기구(mechanism)
2. 조향기구의 설계조건
3. 조향장치의 구조
4. 동력조향장치(PS, Power Steering system)
5. 조향장치의 진동
Ⅱ. 바퀴정열(wheel alignment)
1. 앞바퀴 정열(front wheel alignment)
제 12 장 자동차의 제동장치
Ⅰ. 제동장치의 구성
1. 제동장치(brake system)의 종류
2. 유압회로의 분배방식
3. 제동장치의 제동부
4. 자기배력제동
Ⅱ. 감속제동장치(retarder)
1. 배기제동장치(exhaust gas brake)
2. 와전류제동장치(eddy current)
Ⅲ. 브레이크 배력 장치
1. 제동배력장치(brake booster)
2. 압축공기 제동장치(air brake)
Ⅳ. 제동력의 계산과 제동특성
1. 제동력의 계산
2. 제동동작 중에 일어나는 현상
Ⅴ. 앞뒤바퀴의 제동력 배분
1. 제동토크와 점착력에 의한 노면제동력
2. 제동시의 중심이동(weight transfer)과 바퀴의 고정
3. 제동토크의 배분과 자동차의 방향안정성
4. 제동력 배분장치
5. 전자제어제동력분배(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Ⅵ. ABS(바퀴고착방지 제동장치)
1. ABS의 구성
2. ABS(ABS)의 동작
3. 바퀴 ABS(ABS)의 분류
4. TCS(노면마찰력 제어장치, Traction Control System)
5. VDC(차체자세제어장치, Vehicle Dynamic Control system)
Ⅶ. 브레이크 액(brake fluid)
제 13 장 바퀴와 타이어
1. 바퀴(wheel)
2. 타이어(tire)
3. 타이어의 종류와 구조
4. 타이어의 규격과 표시
5. 주행 중인 타이어의 특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