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91185467269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5-10-25
책 소개
목차
Intro_ 들어가며: 세대통합예배에대한 제안
① 신앙은 학습이 아니라 습득이다
② 분리예배는 공동체를 파괴한다
③ 맞춤형 예배는 예배의 본질을 훼손한다
④ 교회학교를 닫을 때, 교회가 산다
Chapter 1_ 신앙은 학습이 아니라 습득이다
존 웨스터호프 3세의 기독교교육론
신앙은 교실에서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습득’된다
‘학교-교수형 패러다임’을 버리고 성경의 가르침을 따르라
현대 기독교교육의 방향: ‘교재’가 아니다, ‘공동체’다!
카라 파웰의 ‘끈끈한 신앙’ 이론
제임스 스미스의 ‘의전적 인간’ 이론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이론
크레이그 다이크스트라의 ‘실천과 공동체’ 이론
마리아 해리스의 ‘교회의 오중적 사역’ 이론
정리와 요약: 관계와 습관을 통한 공동체 안에서의 신앙 형성
Chapter 2_ 분리예배는 공동체를 파괴한다
개인주의와 소비주의가 불러온 분리예배
유교의 영향으로 더 심각해진 한국교회의 분리예배
소비자 신앙에서 소명자 신앙으로 바꾸는 세대통합예배
Chapter 3_ 맞춤형 예배는 예배의 본질을 훼손한다
분리예배가 가져온 ‘예배 전쟁(worship warfare)’
수동적인 관객에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예배자로
16세기 종교개혁 전통에서 찾는 세대통합예배
개혁교회의 예배 핵심은 공동체의 교제와 연합이다
존 칼빈: “쇼를 감상할 게 아니라 예배를 드려야 한다.”
‘예배’의 본질: 엎드려 예배하는 자로 양육하라
청중이 아니라 제사장으로 양육하라
예배하는 공동체로서의 교회
Chapter 4_ 세대통합예배는 수평적 교회를 만든다
공동체 의식 전환을 통하여 이루는 세대통합예배
구조는 신학을 따른다: 수평적 교회 만들기
Chapter 5_ 세대통합예배를 위한 준비
부모와 같이 예배 드리는 게 세대통합예배가 아니다
삼위일체 교회론에서 보는 세대통합예배
하나의 메시지를 다양하게 실천하는 교회 공동체
첫 번째는 ‘그림언어’를 사용하는 비유이다
두 번째는 ‘질문’을 이용하는 설교의 방법이다
지상명령을 실천하는 교회의 신앙고백으로서의 세대통합예배
Chapter 6_ 세대통합예배를 드리는 교회
① 목포 창조교회
② 세대로교회
③ 금당 동부교회
④ 당진 동일교회
⑤ 미네소타주 베들레헴 침례교회
Chapter 7_ 우리예닮교회의 세대통합예배 사례
연구질문 1
RQ 1: ‘우리예닮교회’는 교회 공동체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
SQ1-1: 이상적 공동체와 현실의 교회 사이에는 어떤 차이와 문제가 있는가?
연구 질문 2
RQ2: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왜 세대통합예배를 선택하게 되었는가?
SQ2-1: 세대통합예배 프로젝트 이전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었는가?
SQ2-2: 실제 세대통합예배 프로젝트 후 기대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SQ2-3: 세대통합 예배에서 가장 의미가 있던 부분은 무엇인가?
연구 질문 3
RQ3: 세대통합예배 후 교회공동체에 대해 어떤 의식 변화가 일어났는가?
연구 질문 4
RQ4: 세대통합예배를 통해 중소형 교회 공동체에 줄 수 있는 통찰은 무엇인가?
세대통합예배는 교회 공동체의 회복을 가져온다
Chapter 8_ 한국기독교장로회 주원교회의 세대통합예배
세대통합예배 디자인에서 강조할 점
표 8-1 _ 세대통합예배의 구성 예시
그림 9-1 _ 세대통합예배를 통한 교회와 가정의 연결
그림 9-2 _ 교회와 소그룹과 가정의 삼위일체적 연결과 소통
Outro_ 나가며
수영도, 운전도 책으로 못 가르치는데, 신앙은 책으로 가르칠 수 있다고?
하나님은 머리로 아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체험하여 아는 것이다
예배의 횟수가 아니라, 선포된 말씀의 실천이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