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곱구나! 우리 장신구

곱구나! 우리 장신구

박세경 (지은이), 조에스더 (그림)
한솔수북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6,650원 -10% 330원 5,650원 >

책 이미지

곱구나! 우리 장신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곱구나! 우리 장신구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한국전통문화
· ISBN : 9791185494678
· 쪽수 : 100쪽
· 출판일 : 2014-11-27

책 소개

작은 것의 큰 역사 시리즈. 장신구를 그저 사진으로만 보여 주지 않고 그림과 함께 사람의 몸 위에서 어떻게 쓰였는지를 정확하게 보도록 구성했다. 뒤꽂이, 첩지, 떨잠, 남바위, 여러 가지 댕기 등 대표적인 전통 장신구들을 모두 만나 본다.

목차

들어가는 말 4

조상들과 장신구_재미있는 옛이야기, 멋있는 장신구 이야기
물거품으로 만든 장신구 10 | 옥잠화로 피어난 옥비녀 12
댕기 노래 14 | 얼레빗과 거울 16 | 가체 올린 어린 신부 18
장신구! 그것이 더 알고 싶다_장신구를 만드는 재료 20

장신구로 보는 오천 년 우리 역사_장신구에 담긴 반짝반짝 우리 역사
선사 시대의 장신구 28 | 삼국 시대의 장신구 32
고려 시대의 장신구 38 | 조선 시대의 장신구 41
개화기와 현재의 장신구 44
장신구! 그것이 더 알고 싶다_조선 시대 여인들의 필수품 46

전통 장신구의 종류와 쓰임_멋 내고, 뽐내고! 다양한 우리 장신구
머리에 하는 장신구 50 | 몸에 하는 장신구 64
발과 팔에 하는 장신구 70 | 갖고 다니는 장신구 75
장신구! 그것이 더 알고 싶다_장신구에 새긴 여러 가지 무늬 80

사람의 일생과 장신구_특별한 날, 더욱 특별한 장신구
돌잔치 때의 차림과 장신구 84 | 어린이의 차림과 장신구 86
장원 급제 때의 차림과 장신구 88 | 혼례 때의 차림과 장신구 90
장례 때의 차림과 장신구 92
장신구! 그것이 더 알고 싶다_조상들의 장신구를 직접 만날 수 있는 곳 94

마무리 퀴즈 97

저자소개

박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인은 기록하는 민족’이라는 자부심을 심어 준 조상들에게 한없는 존경을 보내며, 옛사람들이 이 땅에 아로새긴 발자취를 좇아가는 작가입니다. 숙명여대 독문과와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을 졸업했고 출판사에서 일하며 대학에서 출판 강의를 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독립운동가가 된 박자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 권기옥》, 《곱구나! 우리 장신구》, 《택리지》, 《바른생활 상식》, 《놓치면 안 될 우리 아이 책》(공저)이 있고,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는 《악어가 안경을 썼어요》, 《밤은 무섭지 않아》가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살랑살랑 봄바람이 부는 어느 날, 동무들과 꽃구경 가기 위해 잘 차려입은 신부는 방 안에 앉아 머리를 이리저리 돌리면서 거울을 들여다보고 있었어. 머리에는 얼굴보다 몇 배나 큰 가체가 올려져 있었지. 가체 한가운데에는 선봉잠, 양쪽에는 떨잠이 세 개씩이나 꽂혀서 머리를 돌릴 때마다 파르르 파르르 떨리고 있었고. 방에는 이 밖에도 가체를 장식하는 장신구가 잔뜩 놓여 있었어.
신부는 자기도 모르게 기분이 좋아져서 살짝 미소를 지었어. 무거운 가체 때문에 목을 가누기가 힘들었지만 예뻐 보이는데 그게 무슨 상관인가 했지.
그런데 바로 그때, 밖에서 시아버지 기침 소리가 들리는 거야. 신부는 시아버지에게 들킬세라 방에 널린 떨잠들을 주워 담고 일어나다가 그만 뒷목을 잡고 방바닥에 나동그라지고 말았어. 높이 올린 가체가 너무 무거워서 목을 가눌 수가 없었던 거야.
“아이고! 어머니!”
그 뒤로 오랫동안 신부는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누워 있어야만 했대. 물론 그때까지 사들인 가체와 선봉잠, 떨잠은 모두 되팔아야 했지. 가체 때문에 자리에 누운 신부는 두고두고 마을 사람들 입에 웃음거리로 오르내렸대.


패랭이는 남자들이 쓰는 모자로, 역졸(관리가 부리던 하인)이나 보부상(이리저리 떠돌며 물건을 팔던 상인처럼 신분이 낮은 사람 들이 주로 썼어. 역졸은 패랭이에 검은색을 칠했고, 보부상은 큼직한 목화송이를 얹기도 했단다. 당시 패랭이를 쓴 사람이 길에서 양반을 만나면 패랭이를 벗고 엎드려 예를 드려야 했대.
이처럼 패랭이는 신분이 낮은 사람들만 썼기 때문에, 조선 시대 임진왜란 때 왜군들이 갓 쓴 사람은 벼슬아치라며 잡아갔고, 패랭이 쓴 사람은 별 볼 일 없는 사람이라고 잡아가지 않았대. 그래서 당시 양반들도 패랭이를 썼다는 이야기가 있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