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하기 쉬운 신경유발전위검사와 수술중신경계감시

하기 쉬운 신경유발전위검사와 수술중신경계감시

(개정판)

서대원 (지은이)
우리의학서적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000원 -0% 0원
1,200원
38,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7,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하기 쉬운 신경유발전위검사와 수술중신경계감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하기 쉬운 신경유발전위검사와 수술중신경계감시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신경과
· ISBN : 9791185658698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22-05-30

책 소개

개정판에서는 유발전위면에서 피질-피질유발전위를 추가하였다. 수술중신경계감시에서 추적감시면에서는 extraocular motor monitoring, vocal cord monitoring, bulbocavernous reflex monitoirng을 추가하였고, 기능평가면에서는 피질-피질유발전위검사를 추가하였다.

목차

1. 신경계 구조와 기능 1
1.1 삼차원적 구조에 따른 기능 구분·5
1.1.1 앞쪽의 운동기능(motor function)·7
1.1.2 뒤쪽의 감각기능(sensory function)·8
1.1.3 안쪽의 내장기능(visceral function)·10
1.1.4 바깥쪽의 체성기능(somatic function)·10
1.1.5 아래쪽의 상행기능(input function)·12
1.1.6 위쪽의 하행기능(output function)·13
1.2 신경계의 주요기능과 기타 구조·14
1.2.1 운동계(motor system)·14
1.2.2 체성감각계(somatosensory system)·18
1.2.3 청각계(auditory system)·21
1.2.4 시각계(visual system)·23
1.2.5 혈관계(vascular system)·25
1.2.6 척수(spinal cord)·28
1.2.7 말초신경(peripheral nerve)·31
1.3 신경생리학적 검사와의 관계·33
1.3.1 뇌혈류 검사(transcranial Doppler)·34
1.3.2 뇌파(electroencephalography)·36
1.3.3 유발전위(evoked potentials)·39
1.3.4 근전도(electromyography)·44

2. 신경생리 45
2.1 파형형성과 기록·45
2.1.1 파형 종류·45
2.1.2 필드전위(field potentials)·49
2.1.3 근위필드(near field)와 원위필드(far field) 파형·50
2.2 뇌혈류와 신경생리학적 이상·52
2.2.1 자동조절(autoregulation)·52
2.2.2 혈관내경과 뇌혈류·53
2.2.3 허혈역치·54
2.3 신경전도와 전도장애·55
2.3.1 신경전도의 이상·55

3. 신경계 구조와 기능 57
3.1 검사 종류와 역사·57
3.2 검사 방법과 파형·59
3.3 파형 분석과 보고·61

4. 유발전위검사 63
4.1 장비와 인력·63
4.2 유발전위검사 종류·63
4.3 유발전위검사 방법·65
4.3.1 시각유발전위(visual evoked potentials: VEP)·65
4.3.2 청각유발전위(auditory evoked potentials: AEP)·70
4.3.3 전정유발근전위(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VEMP)·76
4.3.4 체성감각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EP)·78
4.3.5 운동유발전위(motor evoked potentials: MEP)·85
4.3.6 기타·88
4.4 유발전위검사 응용(질환별)·89
4.5 유발전위검사 판독과 보고·90
4.6 유발전위검사의 문제점·97
4.6.1 환자 협조 문제점·97
4.6.2 검사 기술 문제점·98

5. 수술중신경계감시 105
5.1 용어·108
5.2 마취·110
5.3 신경감시 기술적 고려·115
5.3.1 방법·115
5.3.2 장비·119
5.3.3 인력·120
5.3.4 네트워크 방식·120
5.4 추적감시·123
5.4.1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EEG)·124
5.4.2 시각유발전위(visual evoked potentials: VEP)·126
5.4.3 청각유발전위(auditory evoked potentials: AEP)·126
5.4.4 체성감각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EP)·130
5.4.5 운동유발전위(motor evoked potentials: MEP)·133
5.4.6 자발근전도(free-running electromyography: fEMG)·136
5.4.7 신경전도(nerve conduction study: NCS)·139
5.4.8 초음파(ultrasonography)·139
5.5 기능지도와 기록·140
5.5.1 직접피질전기자극법(direct cortical electrical stimulation: DCS)·142
5.5.2 유발전위법(evoked potentials: EP)·146
5.5.3 피질뇌파(electrocorticography: ECoG)·149
5.5.4 유발근전도(triggered EMG: tEMG)·151
5.6 신경계감시 질환별 임상적 응용·154
5.6.1 뇌혈관계·155
5.6.2 종양·156
5.6.3 척추와 척수병변·157
5.6.4 기능적 수술·158
5.6.5 기타수술·161
5.7 Cortical mapping·168
5.8 판독과 보고·176

부록 1 유발전위검사
1.1 상역전시각유발전위검사(phase reversal visual evoked potentials: PRVEP)·186
1.1.1 정상 상역전시각유발전위검사·186
1.1.2 비정상 상역전시각유발전위검사·189
1.2 플래시시각유발전위(Flash visual evoked potentials: FVEP)·198
1.2.1 정상 플래시 시각유발전위·198
1.2.2 비정상 플래시 시각유발전위·200
1.3 청각유발전위검사(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BAEP)·201
1.3.1 정상 청각유발전위검사·201
1.3.2 비정상 청각유발전위검사·203
1.4 전정유발근전위(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VEMP)·209
1.4.1 정상 전정유발근전위·209
1.4.2 비정상 전정유발근전위·211
1.5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EP) ·212
1.5.1 정상 정중신경체성감각유발전위(median nerve SEP)·212
1.5.2 정상 후경골신경체성감각유발전위(posterior tibial nerve SEP)·214
1.5.3 비정상 체성감각유발전위·218
1.6 신생아(neonate) ·232
1.7 혼수환자(coma patient)·233
1.8 뇌사환자(brain death patient)·236

부록 2 수술중신경계감시
2.1 천막상부병변(supratentorial lesion)·240
2.1.1 중심부주변종양(perirolandic tumor) ·240
2.1.2 뇌하수체종양(pituitary adenoma)·247
2.2 후두와수술(posterior fossa surgery)·257
2.2.1 소뇌뇌교각종양(cerebellopontine angle tumor)·257
2.3 척수수술(spinal cord surgery)·264
2.3.1 경추 전방전위(cervical spondylolisthesis)·264
2.4 심혈관수술(cardiovascular operation)·269
2.4.1 흉복부 대동맥류(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269
2.4.2 동맥류결찰술(aneurysm clipping) ·279
2.5 기능적수술(functional surgery)·288
2.5.1 전내측두엽절제술(anteromesial temporal lobectomy)·288
2.5.2 미세혈관감압술(microvascular decompression)·294
2.6 기타·302

저자소개

서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198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1998년) 경력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전공의 수료(1994년)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전문의(1994년부터 2013년 현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現) 미국존스홉킨스 신경과 수술중신경계추적감시 단기연수(1994년) 미국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신경과 간질연구소 장기연수(2003-2005년)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수술중신경계감시위원회 위원 및 학술이사(現) 대한뇌전증학회 학술위원 및 간행위원장(現)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육부학장보(現)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 학술이사(現) 대한신경과학회 고시선택위원(現)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現) 저술 알기쉬운 뇌파(2010년) 하기쉬운 신경유발전위와 수술중신경계감시(2011년) 실전 신경학적 진찰(2012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