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신경과
· ISBN : 9791185658766
· 쪽수 : 351쪽
· 출판일 : 2023-06-30
목차
1 신경학적 진찰의 소개
1.1 신경학적 진찰의 목적
1.2 신경학적 진찰의 계획과 준비
1.3 신경학적 진찰의 시행
1.4 진찰 결과의 정리
1.5 정리된 결과 검토
2 신경학적 진찰의 세부구성
2.1 의식계
2.1.1 의식의 수준
2.1.2 의식의 내용
2.1.3 뇌 손상 부위에 따른 이상 증후군
2.1.4 신피질의 부위에 따른 고위뇌 기능
2.1.5 의식의 변화 비교
2.1.6 의식계의 기술
2.2 뇌신경계
2.2.1 코
2.2.2 눈
2.2.3 안면
2.2.4 귀
2.2.5 입
2.2.6 목
2.2.7 뇌신경계 기술 예
2.3 운동계
2.3.1 운동계의 구조
2.3.2 운동계의 진찰과 기술
2.3.3 운동계의 진찰 방법
2.3.4 근력의 진찰 종류
2.3.5 운동계 기술
2.4 감각계
2.4.1 감각기능의 구분과 경로
2.4.2 감각장애 종류
2.4.3 감각기능 평가 방법
2.4.4 척수병변의 이상확인 방법
2.4.5 해부학적 수준에 따른 특수 감각장애 증후군
2.4.6 감각기능 기술
2.5 반사계
2.5.1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es: DTR)
2.5.2 표재성반사(superficial reflexes)
2.5.3 병적반사(pathologic reflexes)
2.5.4 반사기능 기술 예
2.6 기타
2.6.1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2.6.2 뇌척수액계(cerebrospinal fluid system)
2.6.3 근골격근계(musculoskeletal system)
2.6.4 신경혈관계(neurovascular system)
3 기본 신경학적 진찰 방법
3.1 신체구분에 따른 진찰
3.1.1 두부
3.1.2 얼굴
3.1.3 목과 몸통
3.1.4 팔 다리
3.1.5 기타
3.1.6 일반신경학적 진찰 기술
3.2 신경학적 진찰의 다양한 기술
3.2.1 단축형 신경학적 진찰
3.2.2 영문 약자 이용한 작성
3.2.3 국문으로 작성
3.3 신경학적 진찰에 고려할 사항
3.3.1 환자의 상태
3.3.2 환자의 진단계획
3.3.3 진찰의 기록
3.3.4 신경학적 진찰 전에 이루어지는 계통문진과 일반신체검진
3.4 신경학적 진찰 목록
3.5 신경계 진찰에서 잘못하기 쉬운 수기
3.5.1 눈에서의 검사
3.5.2 반사의 검사
3.5.3 감각의 검사
3.5.4 운동기능을 확인하는 법
3.6 신경계 진찰 긍벼
3.6.1 급여기준에 대한 고시
3.6.2 급여기준 충족한 신경계 진찰 template
4 환자에 따른 세부 진찰
4.1 혼수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1.1 혼수 환자 진찰전
4.1.2 혼수 환자의 진찰 방법
4.1.3 실전 혼수 환자 진찰 예
4.1.4 뇌사 판정 진찰
4.2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2.1 심혈관계 진찰
4.2.2 뇌졸중 척도
4.2.3 실전 뇌졸중 환자 진찰 예
4.3 치매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3.1 치매 정의와 진찰
4.3.2 치매 척도 검사
4.3.3 실전 치매 환자 진찰 예
4.4 뇌전증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4.1 뇌전증의 기본적 기술
4.4.2 실전 뇌전증 환자 진찰 예
4.5 파킨슨병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5.1 이상운동질환
4.5.2 파킨슨병의 중점을 둘 부분
4.5.3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4.5.4 실전 운동장애 환자 진찰 예
4.6 어지럼증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6.1 신경이과적 신경안과적 진찰
4.6.2 안구운동계 확인
4.6.3 전정척수계 확인
4.6.4 신경안과적 진찰
4.6.5 실전 어지럼 환자 진찰 예
4.7 척수병증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7.1 척수 구조와 진찰
4.7.2 척수 손상 정도에 따른 이상
4.7.3 실전 척수병증 환자 진찰 예
4.8 다발성경화증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8.1 Extended disability status scale (EDSS)
4.8.2 실전 다발성경화증 환자 진찰 예
4.9 손발저림 환자의 신경학적 진찰
4.9.1 실전 말초신경병 환자 진찰 예
5 특정 임상적 징후와 중요 해부학적 구조물
5.1 히스테리 증세 감별
5.1.1 히스테리성 감각장애(hysterical hemianesthesia)
5.1.2 Hysterical hemiparesis
5.1.3 Hysterical paraparesis(Hoover sign)
5.2 중요한 진단적 진찰
5.2.1 정중신경(median nerve)
5.2.2 Ulnar palsy
5.2.3 Radial palsy
5.2.4 peroneal nerve palsy
5.2.5 Winged scapula
5.3 암기말 해부학적 구조
5.3.1 경부의 plexus
5.3.2 팔의 plexus
5.3.3 팔 근육의 신경지배와 신경 압박으로 나타나는 증후군
5.3.4 허리의 plexus
5.3.5 다리의 plexus
5.3.6 다리의 신경지배
5.4 기타 진찰
5.4.1 Patrick test
5.4.2 SLR과 Lasegue's sign
6 흔히 사용되는 임상척도
6.1 Glasgow coma scale (GCS)
6.2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6.3 Movement disorder society - Unified Pakinson's disease rating scale (MDS-UPDRS)
6.4 Hoehn and Yahr staging
6.5 Osserman classification
7 감별진단
7.1 Conus medullaris와 cauda equina 병변 환자의 감별점
7.2 Upper motor neuron disease와 lower motor neuron disease의 감별점
7.3 Neuropathy와 myopathy의 감별점
7.4 Central nystagmus와 peripheral nystagmus의 감별점
7.5 Bulbar palsy와 pseudobulbar palsy의 감별점
7.6 Cerebral herniation (uncal, central, foraminal herniatikon)
7.7 Entrapment neuropathy
8 의사국가시험
8.1 임상수행시험(clinical perfomance examination: CPX)
8.1.1 신경학적 진찰 관련 항목
8.1.2 경련
8.1.3 두통
8.1.4 의식장애
8.1.5 팔다리 근력 약화와 감각이상
8.1.6 손떨림
8.1.7 기억력저하
8.1.8 어지러움
8.2 임상 표현에서 신경학적 진찰시행
8.2.1 신경학적 진찰과 관련된 항목
8.2.2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8.2.3 뇌신경검사
8.2.4 팔다리 운동-감각-반사검사
8.2.5 소뇌기능검사
9 보험청구
9.1 신경계 진찰
9.2 혼수 환자
9.3 뇌사 판정
9.4 기타 검사
9.5 MRI 청구 관련 신경학적 진찰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