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보건의료산업의 발전방향과 주요국의 의료서비스 정책현황

보건의료산업의 발전방향과 주요국의 의료서비스 정책현황

산업정책분석원 Rlsearch센터 (엮은이)
산업정책분석원
3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보건의료산업의 발전방향과 주요국의 의료서비스 정책현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보건의료산업의 발전방향과 주요국의 의료서비스 정책현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5782157
· 쪽수 : 537쪽
· 출판일 : 2016-03-21

책 소개

각 국가기관 및 국내외 연구 보고서와 정부의 정책 자료를 분석 정리하였다. 1편에서는 보건의료산업의 연구개발사업과 육성정책을, 2편에서는 의료서비스 혁신 방안과 주요국의 의료산업 동향을 수록하였다.

목차

제1편 보건의료산업

제Ⅰ장 보건산업의 육성정책과 발전전략
1. 보건산업의 개요
1) 보건산업의 범위 및 분류
(1) 보건산업의 범위
(2) 보건산업의 분류
2) 의료기관의 대내외 환경분석
(1) 의료공급자 측면 현황
가. 의료기관 병상 수급 현황
나. 의료기관 공급 및 경영 현황
(2) 의료수요자 측면 현황
가. 인구 및 질병구조 현황
나. 의료이용 진료비 현황
(3) 중소병원 관련 정책
가. 중소·중견 의료법인의 자법인 설립 지원
나. 해외진출 의료기관의 정책지원
다. 의료기관 관련 정책 현황
2. 보건산업의 육성정책
1) 개요
2) 미래 新성장동력산업으로서 보건산업의 중요성
(1) 차세대 유망산업
(2) 국내 보건산업의 성장 가능성
3) 보건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동향
(1) 주요국의 정책 동향
가. 일본
나. 중국
다. 싱가포르
라. 영국
(2) 국내 보건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방향
가. 보건산업의 현 주소 : 그동안의 성과와 한계
나. 보건산업 발전 방향
4) 보건산업의 국제 환경 변화
(1) 전 세계 FTA 동향의 특징
가. EU, 러시아의 구소련 지역 세력 확장
나. 아시아 지역 내 미국과 중국의 경쟁 (TPP vs. RCEP)
다. 중남미의 주도권 경쟁 (MERCOSUR vs. 태평양동맹)
라. 선진국 간 FTA 추진 본격화
(2) 우리나라 FTA 추진 동향
가. 우리나라 FTA 정책
나. 우리나라 FTA 추진현황
다. FTA 발효국과의 교역 비중 및 경제영토 변화 추이
3. 보건산업육성 발전전략
1) 보건산업 창조경제 리더십 확보
(1) 보건산업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연구 선도
(2) 보건산업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신규 사업 개발
2) 미래 보건산업 시장 선점
(1) 보건의료기술(HT) 선점을 위한 R&D 기획 강화
(2) 보건의료기술(HT) 창출을 위한 우수 연구과제 발굴 지원
3) 보건산업 성장기반 고도화
(1) 보건의료기술 사업화를 위한 기술제품화?거래 활성화
(2) 보건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통한 역량강화
(3) 보건산업 기술지원을 통한 산업체 경쟁력 강화
4)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1) 해외환자유치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의료 서비스산업 육성
(2) 보건산업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구축
(3) 의료수출 지원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5) 지속가능경영 체계 확립
(1) 책임경영을 통한 기관의 신뢰도 제고
(2) 경영효율화를 통한 조직경쟁력 강화

제Ⅱ장 보건산업/보건의료 정책 현황
1. 보건산업 정책
1) 보건산업 육성 및 기반 강화
(1) 개요
(2) 보건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보건산업 육성정책
2)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보건의료 R&D 역량 확보
(1) 보건의료산업의 세계적 흐름
(2) 보건의료산업의 의의 및 현 위치
(3) 보건의료산업 발전을 위한 육성정책
3) 의료 수출 및 외국인 환자 유치
(1) 한국의료 해외 진출
가. 개요
나. 해외 진출 추진 현황
(2) 외국인 환자 유치
가. 개요
나. 2014년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
(3) 향후 계획
4)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사업
(1) 개요
(2) 사업 내용
(3) 추진 실적
(4) 향후 계획
5) 연구중심병원 육성
(1) 추진 배경
(2) 사업 내용
(3) 향후 계획
6) 제약, 의료기기 산업 육성
(1) 개요
(2) 추진 실적
(3) 향후 계획
2. 보건의료 정책
1) 개요
2) 주요 보건의료 정책 현황
(1) 의료서비스 공급체계 개선;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및 1차 의료 활성화
가. 추진 배경 및 경위
나. 주요 내용
다. 향후 계획
(2) 의료의 질 관리; 의료기관인증제도 시행
가. 추진 배경
나. 주요 내용
다. 의료기관인증제도의 시행
라. 의료기관인증제의 기대효과
마. 주요 성과
바. 향후 계획
(3) 전문병원제도 시행
가. 추진 배경 및 경과
나. 주요 내용
다. 기대 효과
라. 향후 추진 방향
(4) 원격의료제도 도입
가. 추진 배경 및 경과
나. 주요 내용
다. 향후 추진 방향 및 기대효과
3. 공공보건의료 정책
1) 수요자 중심 공공의료체계 구축
(1) 그간의 공공의료정책
가. 공공보건의료의 필요성
나. 공공보건의료 정책의 경과
(2)「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개정
(3) 공공보건의료기관 및 수행기관 현황
(4) 공공보건의료 정책 여건
가. 의료자원의 수도권 집중 및 의료 취약지 발생
나. 시장실패 영역의 전문 진료서비스 공급 부족
다. 공공의료기관의 경쟁력 저하
2) 주요 정책 추진 성과
(1) 지역별 의료불균형 해소 지원
(2) 전문진료분야에 대한 공급 기반 마련
(3) 공공의료기관 경쟁력 강화

제Ⅲ장 유망 보건의료산업 분석 현황
1. 의료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IT헬스 발전방향
1) 의료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1) 고객 측면
가. 치료에서 예방·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
나.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와 만성질환 증가
다. 소비자주의(consumerism) 확산
(2) 정책 측면
(3) 기술 측면
2) IT 헬스의 등장과 발전
(1) IT 헬스의 필요성과 전망
(2) IT 헬스의 영역과 시장 규모
가. IT 헬스의 영역
나. IT 헬스 시장규모
3) 국내외 현황 및 발전방향
(1) 국내 현황과 시사점
가. 국내 현황
나. 시사점
(2) 해외 현황과 시사점
가. 해외 현황
나. 시사점
2. ICT 헬스케어 융합 R&D와 산업융합(M&A) 특성 분석
1) 서론
(1) 연구 배경
(2) 융합의 개념 및 선행연구 현황
가. 융합의 개념
나. 선행연구
2) 연구의 틀 및 방법
(1) 연구의 틀
(2) 분석데이터 및 연구방법
가. 분석데이터
나. 연구방법
3) ICT 헬스케어 융합 R&D 및 산업융합 특성
(1) ICT 헬스케어 융합 R&D
가. ICT 헬스케어 융합 R&D 총괄 현황
나. ICT 헬스케어 융합 R&D 네트워크 특성
다. ICT 헬스케어 융합 R&D의 빈출 키워드 및 주요 이슈
(2) ICT 헬스케어 산업융합(M&A)
가. ICT 헬스케어 산업융합 총괄 현황
나. ICT 헬스케어 산업융합 네트워크 특성
3. 고령친화산업 시장 동향
1) 고령친화산업 현황
(1) 일반 현황
(2) 정책 현황
2) 고령친화산업 시장 규모 및 전망
(1) 전체 고령친화산업 시장 규모 및 전망
(2) 고령친화 세부 산업별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의약품산업
나. 의료기기산업
다. 식품산업
라. 화장품산업
마. 용품산업
바. 요양산업
사. 주거산업
아. 여가산업
3) 시사점

제Ⅳ장 주요국의 보건의료산업 미래전략
1. 영국의 보건의료산업
1) 보건의료제도 현황
2) 보건산업의 주요 미래 전략
(1) 미래 보건산업 변화 동인
(2) 주요 보건의료 정책 방향
가. Strategy for UK Life Science
나. 합성생물학 로드맵 (A Synthetic Biology Roadmap for the UK)
다. Telehealth
라. 기타
2. 스웨덴의 보건의료산업
1) 보건의료제도 현황
2) 보건산업의 미래 전략
(1) 주요 보건의료 정책 방향
(2) The LEV project (Long-Term Demand for Welfare Services)
가. The Future Need for Care (2010.09)
나. Empathy and high tech - Interim results of the LEV project (2013.02)
(3) HT R&D 동향 및 전략
가. 스웨덴 R&D 혁신 전략
나. SSF (Swedish Foundation for Strategic Research)
다. SciLifeLab (Science for Life Laboratory)
3. 핀란드의 보건의료산업
1) 보건의료제도 현황
2) 보건산업의 주요 미래 전략
(1) 핀란드의 eHealth 현황
가. 핀란드 eHealth 산업 현황
나. 핀란드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 및 시장
(2) 중기적 의료-IT 융합기술 확대
가. 핀란드 인력감소에 따른 대책
나. 의료 IT 관련 법령 및 세부사항
다. 핀란드 eHealth 구축 및 사회복지로의 확산
4. 일본의 보건의료산업
1) 보건의료제도 현황
2) 보건산업의 미래 전략
(1) 일본부흥전략 내 보건산업
(2) 의약품산업 정책 방향
가. R&D 지원
나. 임상연구의 추진
다. 승인 심사의 신속화 및 질적 향상
라. 기타 정책 방향
(3) 의료기기산업 정책 방향
가. R&D 추진과 중점화
나. 의(醫)·공(工) 제휴 하에 실시하는 공동연구의 추진
다. 임상연구 중핵병원의 정비
라. 기타 정책 방향
5. 중국의 보건의료산업
1) 주요 보건의료제도 현황
2) 보건산업의 주요 미래 전략
(1) 의약품산업 제12차 5개년 발전 계획
가. 바이오의약품
나. 신종 화학의약품
다. 현대적 중국의약품
라. 선진 의료기기
마. 신형 약용보조재, 포장재 및 제약설비
(2) 의료기기 과학기술산업 12차 5개년 발전규획
가. 의료기기 과학기술산업 발전규획의 지도이념, 발전원칙 및 발전목표
나. 중점발전분야
다. 중점과제
라. 보장조치
(3) 중국 전통의약사업 발전 12차 5개년 계획
가. 중국전통의약사업의 지도이념 및 기본원칙
나. 12차 5개년 사업의 총체적 목표 및 주요임무 지표
다. 주요 과제
라. 보장정책 및 조치
(4) 전국 의약품유통업 발전계획요강 (2011-2015)
(5) 건강서비스산업 발전 전략
가. 총체적 요구사항, 지도이념 및 기본원칙
나. 주요 임무
다. 정책적 조치
(6) 바이오산업 발전규획
가. 바이오산업 현황에 대한 중국 정부의 시각
나. 지도이념, 기본원칙 및 발전목표
다. 중점분야 및 주요업무


제2편 의료서비스산업

제Ⅰ장 의료서비스 발전 비전과 혁신 방안
1. 국내 의료서비스산업의 현황
1) 의료서비스산업의 특성
(1) 의료서비스산업
(2) 의료서비스산업의 일반적 특성
(3) 의료서비스산업의 지속적 성장 추세
(4) 성장동력산업으로서의 의료서비스산업
(5)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형성
2) 국내 의료서비스산업의 특성
(1) 의료서비스산업의 높은 고용 창출 효과
(2) 의료서비스산업의 충분한 성장 잠재력
(3) 글로벌 헬스케어산업의 급속한 성장
가. 외국인환자 유치 사업
나. 의료기관의 해외 진출
다. 국제 사회 보건의료 지원 사업
3) 보건의료자원 현황
(1) 보건의료인력 현황
가. 보건의료인력 양성 현황
나. 보건의료인력 면허 등록 현황
다. 보건의료인력 현황
(2) 보건의료시설 현황
(3) 의료장비 현황
4) 보건의료 이용 현황과 국민의료비 규모
(1) 보건의료 이용 현황
가. 의료보장 적용인구 및 건강보험료 현황
나. 건강보험 요양급여실적
다. 의료이용 현황
(2) 국민의료비 규모
가. 국민의료비 규모
나. 국민의료비의 기능별 분류
다. 국민의료비의 재원별 분류
라. 국민의료비의 국가 간 비교
(3) 의료서비스산업 규모와 추이
가. 국내
나. 주요국
5) 정책동향
(1) 최근 보건의료동향 및 정책추이
(2) 향후 보건의료정책의 변화방향
2. 2020 의료서비스산업의 발전 비전과 전망
1) 변화의 흐름과 의료서비스시장의 변화
(1) 의료서비스산업에서의 변화의 흐름
(2) 우리나라 의료서비스 시장의 변화
2) 2020 의료서비스산업의 미래상
(1) 의료서비스산업의 경쟁력 분석
가. 의료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요인 분석
나. 의료서비스산업의 경쟁력 평가
(2) 시장전망
가. 의료서비스산업의 환경 변화
나. 의료서비스 시장 전망
다. 주요 질환별 시장성장 전망
3) 의료서비스산업 규모 예측 및 전망
(1) 의료서비스산업의 규모 예측
가. 분석절차 및 자료
나. 추정결과
(2) 미래 헬스케어 전망
가. 의료비 지출규모 증대
나.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지출부담 확대
다. m-Health 및 웨어러블 기기의 활용범위 확대
라. 의료정보의 보안문제 대두
마. 홈헬스(Home Health)시장의 성장
바. 빅데이터의 활용 증가
사. 의료 소비자주의(Consumerism) 확대
아. 환자의 국가 간 이동 증가와 의료기관?의료시스템의 해외진출 확대
3. 의료서비스 혁신 방안
1) 의료서비스 혁신의 유형
(1) 의료서비스 혁신의 개요
가. 의료서비스 혁신의 배경: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나. 의료서비스 혁신의 중재적 목표: 의료의 질 향상
다. 의료서비스 혁신의 유형: 전체적 그림
(2) 의료정보화: 디지털 병원
가. 처방전달시스템 (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
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다. 의무기록 전산화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3) 의료소비자 중심의 조직 혁신
가. 양질의 의료인력 및 의료기술의 확보와 소비자 신뢰 획득
나. 의료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프로세스의 개선
다. 의료기관의 시설 개선
(4) 의료제공자의 사업모델 혁신
가. 서비스 집중의 사업모델: 병원기능의 세분화 및 전문화
나. 시장집중의 사업모델: 통합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5) 의료서비스 혁신을 위한 제도개선
가. 혁신적 사업모델 창출을 위한 진입규제 완화
나. 혁신유도형 지불제도 개선
2) 의료서비스 혁신 사례
(1) 의료 정보화: 분당 서울대병원
(2) 조직혁신: 메이요 클리닉
(3) 사업모델 혁신(전문화): 국내 전문병원
가. 송도병원
나. 세종병원
다. 우리들병원
(4) 사업모델 혁신(통합진료): 케어모어(Care More)
3) 서비스혁신의 성공 요소
4. 의료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대응 방안
1) 원격의료 현안과 대응 방안
(1) 서론
(2) 원격의료 추진 현황
가. 정책 변화
나. 원격의료 시범사업
2) 의료서비스무역 현안과 대응 방안
(1) 의료서비스 무역의 특징
(2) 의료서비스 무역 모드 별 주요 쟁점
가. 의료서비스 국경 간 공급
나. 의료서비스의 해외소비
(3) 정책 방향
가. 국내 정책 현황
나. 향후 정책 방향

제Ⅱ장 주요국의 의료서비스산업과 보건의료정보화 현황
1. 주요국의 의료서비스산업 동향 및 정책
1) 미국의 의료서비스산업
(1) 서론
(2) 의료시설과 자원 현황
가. 의료 인력과 주요 설비 현황
나. 미국의 의료서비스 분야 일자리 전망
다. 병원
(3) 의료비 지출 현황
(4)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5) 보건의료개혁과 의료서비스 산업정책 동향
가. 보건의료개혁법안(Affordable Care Act)의 전체 추진 일정
나. 의료서비스 산업 관련 ACA 세부조항의 시행 및 추진 현황
(6) 건강보험거래소(HIX)의 추진 현황
가. 개요
나. 주별 보험가입 현황
(7) 의료서비스산업 동향
가. 의료서비스 산업의 핵심이슈와 전망
나. 의료개혁 이후 의료서비스 분야 관련 조직들의 변화
다. 직장가입자의 민영 건강보험거래소(HIX) 참여 확대
라. 가격 투명성 요구의 증가
마. 정보기술과 의무기록의 통합에 따른 새로운 의료서비스모델 출현
바. 원격의료의 확대 및 의료인력의 IT 활용능력 제고의 필요성 증가
사. Medicaid Managed Long-Term Care의 확산
아. Managed Care 2.0 시대의 의료서비스 산업
자. 책임의료: Managed Care 2.0의 토대
차. Managed Care 2.0의 특징
(8) 결론
2) 영국의 의료서비스산업
(1) 보건의료제도의 특성
가. 영국 NHS의 특성
나. 영국 NHS 조직 및 운영
다. 영국 NHS의 재원
(2) 영국 의료 이용의 시대적 특성
가. 19세기 영국의 의료 이용
나. 1911년 국민건강보험(National Health Insurance)의 도입
다. 1948년 국가보건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의 시행
라. 1962년 병원 계획의 수립
마. 대처 정부의 병원서비스 개혁
바. 블레어 정부의 NHS 변화
(3) 보건의료 개혁 및 의료서비스산업 동향
가. 영국 NHS 개혁의 배경
나. 영국 NHS 개혁의 내용
(4) 의료서비스산업의 동향
가. 의료서비스 관련 동향
나. 의료서비스산업 관련 고용 동향
다. 의료산업 관련 동향
(5)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산업 발전에의 시사점
가. 결론
나. 시사점
3) 캐나다의 의료서비스산업
(1) 의료시장 현황
가. 개요 및 보건의료체계
나. 캐나다 보건의료체계의 특성
다. 캐나다의 의료보장제도
라. 약가제도 (Pharmacare)
마. 보건의료자원 현황
바. 보건의료지출 현황
(2) 의료제도 현황
가. 의료수가 현황
나. 의료보험 및 의료제도 특징
다. 의료정책 이슈
(3) 의료산업 현황
가. 제약산업
나. 의료기기산업
(4) 시사점
4) 중국의 의료서비스산업
(1) 의료서비스 시장 개요
(2) 의료서비스 산업 동향
(3) 지역별 의료서비스 현황
가. 감숙성·섬서성
나. 쓰촨성
다. 헤이룽장성
5) 인도의 의료서비스산업
(1) 의료서비스 시장 개요
(2) 의료서비스 시장 동향
(3) 병원산업 시장
가. 의료 전달 체계 혁신 안
나. 주요 성장 동력
다. 의료서비스 산업 동향과 기회
라. 주요 업체
마. 병원 산업의 한계
(4) 진단 시장
가. 시장 개요
나. 시장 동향 및 성장 동력
다. 진단 업계의 한계
6) 홍콩의 의료서비스산업
(1) 의료서비스 시장
가. 의료서비스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의료서비스 산업 부가가치
다. 주요보건지표
(2) 보건의료체계
가. 보건의료체계
나. 의료보험제도
다. 의료기관 현황
라. 의료인력 현황
7) 기타 주요국의 의료서비스산업
(1) 몽골의 의료서비스시장
가. 일반 현황
나. 보건의료 인적자원 및 주요 질병
다. 병원진출 현황
(2) 인도네시아의 의료서비스시장
가. 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장제도)
나. 의료비
다. 의료기관
2. 주요국의 보건의료정보화 현황
1) 주요 선진국의 보건의료정보화 현황
(1) 미국
가. 주요 추진 조직
나. 추진 목표
다. 추진 전략
라. 주요 추진 정책 흐름
마. 추진 계획 (2010 ? 2015)
바. 주요 추진 경과 및 성과 (2010 ? 2015)
(2) 영국
가. 주요 추진 조직
나. 추진 목표
다. 추진 전략
라. 추진 계획
마. 주요 추진 경과 및 성과
(3) 캐나다
가. 주요 추진 조직
나. 추진 목표
다. 추진 전략
라. 추진 계획
마. 주요 추진 경과 및 성과
(4) 덴마크
가. 주요 추진 조직
나. 추진 목표
다. 추진 전략
라. 추진 계획
마. 주요 추진 경과 및 성과
(5) 스웨덴
가. 주요 추진 조직
나. e-Health 발전 배경
다. 추진 목표
라. 추진 전략
마. 추진 계획
바. 주요 추진 경과 및 성과
(6) EU
가. 주요 추진 조직
나. 추진 목표
다. 유럽 국가 의료 정보화 현황
라. 유럽 국가 의료 정보화 사례
2) 주요 아시아권의 보건의료정보화 현황
(1) 일본
가. 주요 추진 조직
나. 추진 목표
다. 추진 전략
라. 추진 계획
마. 주요 추진 경과 및 성과
바. 우수 사례
(2) 호주
가. 주요 추진 조직
나. 추진 목표
다. 추진 전략
라. 추진 계획
마. 주요 추진 경과 및 성과

제Ⅲ장 의료산업의 IT융합기술 비전
1. IT융합산업의 개요
1) IT융합산업의 정의와 분류
(1) 정의
(2) 분류
2) IT융합산업의 중요성
(1) 주력산업 고도화
(2) 신산업 창출
(3) 경제적 산업파급효과
2. IT융합산업의 환경 분석
1) IT융합산업의 현황 및 전망
(1) 시장 현황
(2) 발전 전망
(3) 미래 전망
가. 신 주력산업 등장
나. 융합 신산업 창출
2) 의료 IT융합산업의 기술개발과 정책동향
(1) 의료 IT융합산업의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IT융합산업의 정책 동향
3. 의료 IT융합산업 내부역량 분석과 비전
1) 의료 IT융합산업 내부역량과 분석
(1) 의료 IT융합산업의 Position 분석
(2) 의료 IT융합산업의 핵심역량별 경쟁력
2) IT융합산업의 2020 비전 및 목표
(1) 비전 및 목표
(2) 섬유IT 산업 목표
4. 의료 IT융합 산업 및 기술 전략
1) 산업 전략
(1) 전략적 분석
(2) 의료IT 산업 전략
가. 제품 전략
나. 시장 전략
다. 사업화(BM) 전략
라. 인력양성 및 인프라 전략
2) 의료IT 기술 전략
(1) 의료IT 전략기술
(2) 의료IT 전략기술 확보 전략

제Ⅳ장 의료/헬스케어 산업동향과 트렌드
1. 헬스케어의 패러다임과 변화 방향
1)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전환
(1)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시대별 구분
(2) 헬스케어 패러다임별 특징
가. 헬스케어 1.0: 공중보건의 시대
나. 헬스케어 2.0: 질병치료의 시대
다. 헬스케어 3.0: 건강수명의 시대
2) 4大 변화 방향과 비즈니스 기회
(1) 헬스케어 3.0 시대의 변화 키워드
(2) 4大 변화 방향
가. 대증(對症) 치료에서 일상 건강관리로
나. 개인맞춤 치료의 확산
다. 진단ㆍ치료의 미세화
라. 환자 중심화
2. u-Health 및 디지털/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동향
1) u-Health의 기대효과와 필요성
(1) u-Health의 정의 및 분류
가. u-Health의 정의
나. u-Health의 분류
(2) u-Health의 편익?비용 및 기대효과
가. u-health의 편익 및 비용
나. u-health의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3) u-Health 활성화의 필요성
가. 고령화에 따른 보건의료비의 증가에 대비
나. u-Health 산업의 높은 성장가능성 및 일자리 창출효과
다. 의료산업의 효율화를 통한 의료비용의 절감
라. u-Health 산업은 신성장동력으로서 국가산업발전에 기여
마. 의료서비스의 지역 간 격차 해소 및 서민복지 향상
2) 디지털/스마트 헬스케어산업 동향
(1)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과 주요기업 동향
가. 디지털 헬스케어의 개요
나. 주요 기업의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 동향
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새로운 기회와 도전
(2)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동향
가. 스마트 헬스케어 주요 기술 및 서비스
나.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와 기술격차
다. 주요기업 참여 현황
라. 스마트 헬스케어 국내외 동향
(3) 웨어러블 기기 산업 동향
가. 웨어러블 기기 개요
나. 시장 전망
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글로벌 메가트렌드
3. ICT를 활용한 의료/헬스케어 현황
1) 의료/헬스케어와 ICT
(1) 시공간 제약 없는 원격진료 건강관리 서비스
(2) ICT 신기술을 적용한 진단·치료·투약관리
(3) 창의융합형 의료 신산업 창출
2) 헬스케어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1) 헬스케어서비스의 트렌드
(2) 고령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헬스케어서비스 트렌드
가.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나. 홈케어 서비스
다. 스마트 의료기기
3) ICT를 활용한 의료/헬스케어 해외 사례
(1) 시공간 제약 없는 원격진료 건강관리 서비스
가. 교도소 재소자 원격진료 서비스 - Telemedicine in Prison
나. 키오스크형 무인 원격진료 시스템 - HealthSpot
다. 보험이 인정되는 원격 홈케어 시스템 - Bosch’s Health Buddy
라. 처방으로 인정받는 당뇨 원격관리 프로그램 - WellDoc's Bluestar
마. 로봇을 이용한 의료 시설 내의 원격진료 - InTouch Health's RP-VITA
바. 전문 의료팀 원격지원 서비스 - PhoneDOCTORx
(2) ICT 신기술을 적용한 진단·치료·투약관리
가. 로봇을 이용한 수술 - 다빈치(Da Vinci)
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으로 전문적인 의료 조언 - IBM's Watson
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간 수술
라. 콜체스터 종합병원 M2M 시스템
마. 싱가포르, QR 코드 적용 투약관리 시스템
(3) 창의융합형 의료 신산업 창출
가. 청각 장애우용 골전도 기반 모자 - MaxVirtual社 Cynaps
나. 뇌졸중 환자용 원격지원 서비스 - REACH's Telestroke Application
다. 마인트 컨트롤로 움직이는 로봇 팔 장치 - Mind-controlled Robot Arm
라. 일본의 노약자 간병로봇 - CYBERDYNE HAL(노약자용)
마.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약품 사용기록 파악 - NHI-PharmaCloud
4.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전문인력 수요전망
1)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개요와 범위
(1) 개요
(2) 연구 범위
2)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유형과 미래
(1) 산업 유형
(2)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
3)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인력의 수요전망과 개선방안
(1) 전문인력 유형과 정책방향
가. 전문인력 유형
나. 전문인력 범주
다. 전문인력 육성관련 정책방향
(2) 전문인력 수요전망
가. 전망방법
나. 전망결과
다. 한계점
(3) 전문인력 수급현황과 개선방안
가. 수급현황과 개선방안
나. 수급모니터링을 위한 제언
5. 바이오융합을 통한 헬스케어 신시장 창출 전략
1) 추진 배경
2) 헬스케어 신시장 현황
3) 그간 정부투자 성과·평가 및 개선 방향
4) 1차 융합바이오 육성 전략
(1) 기본 방향
(2) 세부 추진 전략
가. 헬스케어 신산업 육성 지원
나. 헬스케어 신시장 환경 조성 지원
다. 헬스케어 성과 확산 및 추가 시범사업 지원
라. 헬스케어 글로벌 신시장 진출 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