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특색의 자주혁신의 신 경로연구 : 모방혁신에서 전면적 혁신으로

중국특색의 자주혁신의 신 경로연구 : 모방혁신에서 전면적 혁신으로

쉬칭루이 (지은이), 동연, 고초 (옮긴이), 안유화 (감수)
차이나하우스
3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320원 -10% 0원
0원
31,32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특색의 자주혁신의 신 경로연구 : 모방혁신에서 전면적 혁신으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특색의 자주혁신의 신 경로연구 : 모방혁신에서 전면적 혁신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5882741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3-12-10

책 소개

쉬칭루이이 대표 저자로 기획된 도서로 “중국사회과학재단”에서 지원해서 번역·출판한 우수도서다. 번역은 산둥이공대학교의 동연 교수와 쯔보직업대학의 고초 교수가 맡았다. 이 책은 시대적 차원(중국 자주혁신의 지배적 경로진화)과 수평적 차원(기업, 산업, 지역, 국가 등)을 중심으로 중국 자주혁신의 길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목차

PART 1: 자주혁신에 관한 몇 가지 이론문제 연구 / 81
제1장 자주혁신의 발전경로, 의미와 목표 / 14
제1절 중국 자주혁신의 발전과정 / 14
제2절 자주혁신의 의미와 발전추세 / 34
제3절 중국특색의 자주혁신 경로의 특수성 / 44
제4절 중국 자주혁신의 전략적 목표 / 47
제2장 자주혁신 모델과 자주혁신 능력의 향상 경로 및 주체 진화 / 52
제1절 자주혁신의 모델 / 52
제2절 자주혁신 능력 향상 모델 / 62
제3절 중국의 산업 자주혁신의 혁신주체의 진화 / 73
제3장 기술표준과 자주혁신 / 83
제1절 산업혁신에서의 기술표준의 역할 / 83
제2절 기술표준 전략 및 그 능력기반 / 86
제3절 기술혁신이 기술표준을 높이는 메커니즘 / 91

PART 2: 기업을 혁신주체로 한 자주혁신 경로 연구 / 101
제1장 기업을 혁신의 주체로 / 104
제1절 기업이 혁신주체로서의 함의와 필연성 / 104
제2절 기업을 혁신의 주체로 만드는 중국의 노력 / 107
제2장 기업 기술혁신 모델의 동태적 발전 / 110
제1절 기업 기술혁신의 기본모델 / 110
제2절 모방혁신 모델 및 포스트 모방혁신 모델 / 114
제3절 조합혁신 모델 / 118
제3장 해외 대표 혁신기업의 혁신진입 경로와 시사점 / 122
제1절 해외 대표 혁신기업의 혁신경로 / 122
제2절 해외 혁신 대표기업의 혁신경로가 주는 시사점 / 136
제4장 중국 기업의 자주혁신 경로에 대한 실증적 연구 / 137
제1절 모방혁신에서 전면혁신으로 / 139
제2절 조합혁신에서 전면혁신으로 / 159
제3절 원천기술 혁신에서 전면혁신으로 / 163
제5장 중국 기업의 자주혁신의 주요 경로 / 167
제1절 중국 기업의 자주혁신의 주요 경로 선택: 모방혁신에서 전면혁신으로 / 167
제2절 기업의 전면혁신 관리의 필연성 / 173
제3절 전면혁신 관리의 의미, 특징 및 전통적인 혁신관리와 조합혁신 관리와 의 차이점 / 179

PART 3: 중국 산업의 자주혁신 능력 구축과 기술 추격 / 185
제1장 산업의 자주혁신과 기술 추격의 영향요인 / 188
제1절 기술격차와 시기가 산업의 자주혁신과 기술 추격에 미치는 영향 / 188
제2절 산업 기술 추격에서 국가혁신체계가 맡은 중요 역할 / 189
제3절 기술체제가 산업 기술 추격에 미치는 결정적인 영향 / 190
제2장 중국 산업의 자주혁신 능력의 척도 및 동태적 변화 추세 / 191
제1절 중국 제조업의 자주혁신 능력의 척도 / 191
제2절 산업별 제조업의 자주혁신 능력의 동적 변화 / 195
제3장 중국 산업의 자주혁신 능력 향상의 대표 사례 분석 / 201
제1절 중국 철강산업의 자주혁신: 바오강(寶鋼) 등의 기업을 예시로 / 201
제2절 중국 백색 가전제품 산업의 자주혁신: 세탁기 사례 / 209
제3절 중국 통신 제조업의 자주혁신: 다탕(大唐), ZTE(中興)와 화웨이(華為) 사례 / 216
제4장 FDI가 중국 제조업의 혁신능력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225
제1절 선행연구에 존재하는 쟁점 / 225
제2절 연구방법, 샘플 및 데이터 / 228
제3절 실증적 분석결과 / 235
제4절 연구결과의 정책적 의미 /246
제5장 산업의 자주혁신 능력 구축을 위한 모델 선택 및 향상 메커니즘 / 248
제1절 제조업의 자주혁신 모델의 선택 프레임 / 248
제2절 기업 주체의 산업 자주혁신 능력 향상의 메커니즘 / 251
제3절 중국 제조업의 자주혁신과 기술추격의 경험 정리 / 253

PART 4: 지역 네트워크 기반의 클러스터 자주혁신에 관한 연구 / 257
제1장 다층적 다요소 개방식 지역 혁신체계의 이론 구축 / 262
제1절 머리말 / 262
제2절 지역경제에서의 산업혁신 발전의 3대 핵심문제 / 265
제3절 지역 혁신체계의 진화와 시스템 구축 / 270
제4절 개방식 지역 혁신체계가 혁신 능력 향상에 미치는 작용 / 276
제5절 다차원 개방식 지역 혁신체계에 대한 통합분석 / 280
제2장 다층적 다주체 네트워크 협동의 클러스터 자주혁신 능력 향상의 메커니즘 / 286
제1절 다층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개방형 클러스터 기업 네트워크 구축 / 286
제2절 클러스터 자주혁신과 다중 네트워크 협동 경로 연구 / 289
제3절 클러스터 자주혁신 능력의 구성 및 향상의 메커니즘 / 294
제3장 다층적 다요소 지식 네트워크 및 클러스터 자주혁신 / 301
제1절 생산성 서비스 자원 통합 및 클러스터 자주혁신 능력의 향상–벤처투자를 예시로 / 301
제2절 개방식 클러스터 혁신체계와 지식 네트워크의 관련 메커니즘 / 305
제4장 전면적 혁신에 기반한 클러스터 내 기업 자주혁신 역량 향상 대책 / 316
제1절 자주혁신 동력을 보장하기 위한 다층적 주체 참여 대책 / 316
제2절 클러스터 자주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주체 간 협력 대책 / 319
제3절 다중요소 통합플랫폼으로 클러스터 내 기업 자주혁신 촉진 대책 / 321

PART 5: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모방혁신과 추격 및 추월 / 323
제1장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추격 상황과 자주혁신 좌표 / 326
제1절 글로벌 밸류체인 분업의 도전과 기회 / 326
제2절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추격 시나리오 분류 / 331
제3절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자주혁신 좌표계 / 333
제2장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기업의 자주혁신 학습 메커니즘과 진화 경로 / 335
제1절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학습 메커니즘 / 335
제2절‘추격’에서‘추월’로 이어지는 자주혁신 진화 경로 / 341
제3절 자주혁신 실현체계와 경로의 대표 사례분석 / 345
제3장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DMS 통합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혁신 / 355
제1절 DMS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밸류체인 / 355
제2절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비즈니스 모델혁신 / 356
제3절 밸류체인에서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과 통합 / 360
제4장 대외 직접투자가 자주혁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및 진화과정 분석 / 363
제1절 대외 직접투자의 모델선택 / 363
제2절 대외 직접투자가 자주혁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 370
제3절 대외 직접투자와 자주혁신 능력의 진화과정: 하이얼(海爾)기업 사례 / 371
제5장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자주혁신과 기술 추월을 위한 전략적 대책 / 374
제1절 대외 직접투자의 정책과 서비스체계 / 375
제2절 자주혁신의 병목 및 전략적 대책 / 377

PART 6: 중국특색의 자주혁신의 경로와 정책연구 / 381
제1장 전면혁신에 기반한 중국특색의 자주혁신의 경로 / 384
제1절 자주혁신: 중국 경제성장의 질을 높이는 핵심 / 384
제2절 전면혁신에 기반한 자주혁신 경로의 본질 / 391
제2장 전면혁신을 촉진하는 기업의 혁신 생태체계와 국가혁신체계 / 405
제1절 전면혁신을 촉진하는 기업의 혁신 생태체계 / 405
제2절 전면혁신을 촉진하는 국가혁신체계 / 417
제3장 전면혁신을 촉진하는 정책체계 / 428
제1절 자주혁신에 대한 정부의 선도 역할 강화 / 429
제2절 혁신 창업 환경의 최적화, 기업의 자주혁신 능력 제고 / 438
제3절 자주혁신에 대한 대학의 기여도 제고 / 440
제4절 국가 과학기술 연구능력의 가일층 강화 / 456
제5절 합동혁신의 대대적 촉진 / 454
제6절 과학기술 성과의 이전과 전환의 가속화 / 460
제7절 벤처투자 정책과 메커니즘 완비화 / 462
제8절 기술혁신 고급 인재 육성 가속화 / 469

요약과 전망 / 477

저자소개

쉬칭루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공정원(中國工程院) 학술 원사이자 중국 기술혁신관리 분야의 저명한 전문가이며, 저장대학(浙江大學) 경영대학 선임교수이다. 중국 장쑤 창저우(江蘇常州) 출신으로 오랫동안 기술혁신경영연구에 종사했다. 1951년 상하이교통대학을 졸업하고 1955년 중국인민대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80년대에 2년동안 미국 MIT 및 스탠포드대학을 방문하여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경영’ 및 ‘시스템 역학’을 이수했다. 귀국 후 중국의 신기술혁신경영 분야를 개척하고 기업을 주체로 하는 ‘모방혁신―조합혁신―전면혁신’ 혁신이론 시스템을 제안하여 국제혁신 전문가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기업에서 널리 검증되고 적용되었다. 중국 하이얼(海爾), 항산소(杭氧) 등 기업에서 국가기술혁신프로젝트 및 기업혁신실천을 제창하고 참여하며 큰 효과와 이익을 냈다. 중국 국무원학위위원회와 자연과학기금회경영학과 평가위원을 역임했다.『종합혁신경영』,『경영관리의 기본규칙 및 모델』,『경영학』,『연구·개발 및 기술혁신관리』등 10여 부 저서와 대학교재를 출판했고 250여 편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국가우수 교재 1등상을 수상하였다. 우수한 혁신연구팀과 실업계의 걸출한 인재를 많이 양성하였다. 중국 최초의 관리공학 학술지『관리공학보』를 창간하였다.
펼치기
고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쯔보직업대학(淄博職業學院) 응용한국어전공 부교수이다. 중국 옌타이대학교(煙臺大學) 한국어학과를 졸업했다. 그리고 중국 옌볜대학교(延邊大學)에서 아세아-아프리카언어문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고, 단국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한중 한자어 뜻풀이 사전』등이 있다.
펼치기
동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산둥이공대학교(山東理工大學) 한국어학과 부교수이다. 중국 옌타이대학교(煙臺大學) 한국어학과를 졸업했다. 중국 옌볜대학교(延邊大學)에서 아세아-아프리카언어문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단국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는『중국의 직업목적 한국어 교육과정』등이 있다.
펼치기
안유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지린화공대학교 화학공정학과를 졸업하고 연변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한국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 옌볜대학 경제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아시아기업지배구조연구소(AICG) 실장, 법무법인 율촌중국팀 고문, 한국예탁결제원과 한국자본시장연구원 등 국가연구기관의 연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2016년부터 2023년 2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금융학과 교수였고, 현재는 미국 어바인대학교(University of lrvine) 이사장, 연세대학교 디지털금융, 가상자산 최고위과정 교육원장, 삼성글로벌경영포럼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장기간 중국증권행정연구원(CSAI) 원장을 겸임하면서 주로 한중 양국 정부의 경제와 금융협력에 대한 연구와 자문 역할을 많이 해왔으며, 대통령 직속 지식재산위원회와 외교부 경제분과 자문위원으로도 오랫동안 활동하였다. 또한, 한국 대기업들 중심으로 중국투자 관련 컨설팅과 현장 자문역으로 장기간 활동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금융, 기업재무(IPO, M&A, PEF)와 자산투자, 핀테크, 블록체인과 메타버스 금융 등의 영역이다. 주요 저서로는『더 플로』(단독 저자), 『중국발금융위기, 어디로 갈 것인가』 등이 있다. 특히,『더 플로』는 2023년 7월 출판 후 대형서점과 인터넷서점에서 베스트셀러로 선정되었다. 그 외에도 연합인포맥스 <안유화 쇼>를 진행했으며, 안유화독서투자클럽 온·오프라인 강연을 5년간 진행하고 있다. <안유화 경제투자론> 유튜브도 운영하면서 어려운 경제 지식을 쉽게 설명해주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