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5882741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3-12-10
책 소개
목차
PART 1: 자주혁신에 관한 몇 가지 이론문제 연구 / 81
제1장 자주혁신의 발전경로, 의미와 목표 / 14
제1절 중국 자주혁신의 발전과정 / 14
제2절 자주혁신의 의미와 발전추세 / 34
제3절 중국특색의 자주혁신 경로의 특수성 / 44
제4절 중국 자주혁신의 전략적 목표 / 47
제2장 자주혁신 모델과 자주혁신 능력의 향상 경로 및 주체 진화 / 52
제1절 자주혁신의 모델 / 52
제2절 자주혁신 능력 향상 모델 / 62
제3절 중국의 산업 자주혁신의 혁신주체의 진화 / 73
제3장 기술표준과 자주혁신 / 83
제1절 산업혁신에서의 기술표준의 역할 / 83
제2절 기술표준 전략 및 그 능력기반 / 86
제3절 기술혁신이 기술표준을 높이는 메커니즘 / 91
PART 2: 기업을 혁신주체로 한 자주혁신 경로 연구 / 101
제1장 기업을 혁신의 주체로 / 104
제1절 기업이 혁신주체로서의 함의와 필연성 / 104
제2절 기업을 혁신의 주체로 만드는 중국의 노력 / 107
제2장 기업 기술혁신 모델의 동태적 발전 / 110
제1절 기업 기술혁신의 기본모델 / 110
제2절 모방혁신 모델 및 포스트 모방혁신 모델 / 114
제3절 조합혁신 모델 / 118
제3장 해외 대표 혁신기업의 혁신진입 경로와 시사점 / 122
제1절 해외 대표 혁신기업의 혁신경로 / 122
제2절 해외 혁신 대표기업의 혁신경로가 주는 시사점 / 136
제4장 중국 기업의 자주혁신 경로에 대한 실증적 연구 / 137
제1절 모방혁신에서 전면혁신으로 / 139
제2절 조합혁신에서 전면혁신으로 / 159
제3절 원천기술 혁신에서 전면혁신으로 / 163
제5장 중국 기업의 자주혁신의 주요 경로 / 167
제1절 중국 기업의 자주혁신의 주요 경로 선택: 모방혁신에서 전면혁신으로 / 167
제2절 기업의 전면혁신 관리의 필연성 / 173
제3절 전면혁신 관리의 의미, 특징 및 전통적인 혁신관리와 조합혁신 관리와 의 차이점 / 179
PART 3: 중국 산업의 자주혁신 능력 구축과 기술 추격 / 185
제1장 산업의 자주혁신과 기술 추격의 영향요인 / 188
제1절 기술격차와 시기가 산업의 자주혁신과 기술 추격에 미치는 영향 / 188
제2절 산업 기술 추격에서 국가혁신체계가 맡은 중요 역할 / 189
제3절 기술체제가 산업 기술 추격에 미치는 결정적인 영향 / 190
제2장 중국 산업의 자주혁신 능력의 척도 및 동태적 변화 추세 / 191
제1절 중국 제조업의 자주혁신 능력의 척도 / 191
제2절 산업별 제조업의 자주혁신 능력의 동적 변화 / 195
제3장 중국 산업의 자주혁신 능력 향상의 대표 사례 분석 / 201
제1절 중국 철강산업의 자주혁신: 바오강(寶鋼) 등의 기업을 예시로 / 201
제2절 중국 백색 가전제품 산업의 자주혁신: 세탁기 사례 / 209
제3절 중국 통신 제조업의 자주혁신: 다탕(大唐), ZTE(中興)와 화웨이(華為) 사례 / 216
제4장 FDI가 중국 제조업의 혁신능력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225
제1절 선행연구에 존재하는 쟁점 / 225
제2절 연구방법, 샘플 및 데이터 / 228
제3절 실증적 분석결과 / 235
제4절 연구결과의 정책적 의미 /246
제5장 산업의 자주혁신 능력 구축을 위한 모델 선택 및 향상 메커니즘 / 248
제1절 제조업의 자주혁신 모델의 선택 프레임 / 248
제2절 기업 주체의 산업 자주혁신 능력 향상의 메커니즘 / 251
제3절 중국 제조업의 자주혁신과 기술추격의 경험 정리 / 253
PART 4: 지역 네트워크 기반의 클러스터 자주혁신에 관한 연구 / 257
제1장 다층적 다요소 개방식 지역 혁신체계의 이론 구축 / 262
제1절 머리말 / 262
제2절 지역경제에서의 산업혁신 발전의 3대 핵심문제 / 265
제3절 지역 혁신체계의 진화와 시스템 구축 / 270
제4절 개방식 지역 혁신체계가 혁신 능력 향상에 미치는 작용 / 276
제5절 다차원 개방식 지역 혁신체계에 대한 통합분석 / 280
제2장 다층적 다주체 네트워크 협동의 클러스터 자주혁신 능력 향상의 메커니즘 / 286
제1절 다층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개방형 클러스터 기업 네트워크 구축 / 286
제2절 클러스터 자주혁신과 다중 네트워크 협동 경로 연구 / 289
제3절 클러스터 자주혁신 능력의 구성 및 향상의 메커니즘 / 294
제3장 다층적 다요소 지식 네트워크 및 클러스터 자주혁신 / 301
제1절 생산성 서비스 자원 통합 및 클러스터 자주혁신 능력의 향상–벤처투자를 예시로 / 301
제2절 개방식 클러스터 혁신체계와 지식 네트워크의 관련 메커니즘 / 305
제4장 전면적 혁신에 기반한 클러스터 내 기업 자주혁신 역량 향상 대책 / 316
제1절 자주혁신 동력을 보장하기 위한 다층적 주체 참여 대책 / 316
제2절 클러스터 자주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주체 간 협력 대책 / 319
제3절 다중요소 통합플랫폼으로 클러스터 내 기업 자주혁신 촉진 대책 / 321
PART 5: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모방혁신과 추격 및 추월 / 323
제1장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추격 상황과 자주혁신 좌표 / 326
제1절 글로벌 밸류체인 분업의 도전과 기회 / 326
제2절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추격 시나리오 분류 / 331
제3절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자주혁신 좌표계 / 333
제2장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기업의 자주혁신 학습 메커니즘과 진화 경로 / 335
제1절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학습 메커니즘 / 335
제2절‘추격’에서‘추월’로 이어지는 자주혁신 진화 경로 / 341
제3절 자주혁신 실현체계와 경로의 대표 사례분석 / 345
제3장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DMS 통합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혁신 / 355
제1절 DMS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밸류체인 / 355
제2절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비즈니스 모델혁신 / 356
제3절 밸류체인에서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과 통합 / 360
제4장 대외 직접투자가 자주혁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및 진화과정 분석 / 363
제1절 대외 직접투자의 모델선택 / 363
제2절 대외 직접투자가 자주혁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 370
제3절 대외 직접투자와 자주혁신 능력의 진화과정: 하이얼(海爾)기업 사례 / 371
제5장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자주혁신과 기술 추월을 위한 전략적 대책 / 374
제1절 대외 직접투자의 정책과 서비스체계 / 375
제2절 자주혁신의 병목 및 전략적 대책 / 377
PART 6: 중국특색의 자주혁신의 경로와 정책연구 / 381
제1장 전면혁신에 기반한 중국특색의 자주혁신의 경로 / 384
제1절 자주혁신: 중국 경제성장의 질을 높이는 핵심 / 384
제2절 전면혁신에 기반한 자주혁신 경로의 본질 / 391
제2장 전면혁신을 촉진하는 기업의 혁신 생태체계와 국가혁신체계 / 405
제1절 전면혁신을 촉진하는 기업의 혁신 생태체계 / 405
제2절 전면혁신을 촉진하는 국가혁신체계 / 417
제3장 전면혁신을 촉진하는 정책체계 / 428
제1절 자주혁신에 대한 정부의 선도 역할 강화 / 429
제2절 혁신 창업 환경의 최적화, 기업의 자주혁신 능력 제고 / 438
제3절 자주혁신에 대한 대학의 기여도 제고 / 440
제4절 국가 과학기술 연구능력의 가일층 강화 / 456
제5절 합동혁신의 대대적 촉진 / 454
제6절 과학기술 성과의 이전과 전환의 가속화 / 460
제7절 벤처투자 정책과 메커니즘 완비화 / 462
제8절 기술혁신 고급 인재 육성 가속화 / 469
요약과 전망 /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