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네트워크 구축
· ISBN : 979118589068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6-09-30
책 소개
목차
CHAPTER 1 클라우드 서비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1
1.1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과 운영 이야기 2
1.1.1 이 책의 주요 내용 2
1.1.2 이 책을 읽는 방법 3
1.2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4
1.2.1 클라우드 컴퓨팅 특징 6
1.2.1.1 온디맨드 6
1.2.1.2 탄력성 7
1.2.1.3 민첩성 8
1.2.1.4 셀프서비스 8
1.2.1.5 사용량 기반 과금 10
1.2.1.6 확장성 11
1.2.1.7 이용률 12
1.2.1.8 비용 절감 12
1.2.1.9 신뢰성 13
1.2.2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과 배치 모델 13
1.3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사용하는 용어들 15
1.3.1 클라우드 서비스 개념과 관련된 용어들 15
1.3.2 클라우드 플랫폼과 관련된 용어들 18
1.3.3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과 관련된 용어들 19
1.3.4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용어들 19
1.3.5 클라우드 기술과 관련된 용어들 21
1.4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해 23
1.4.1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구성 23
1.4.2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차이점 26
1.5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에 따른 변화 27
1.5.1 국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의 현황 27
1.5.2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에 따른 기업의 변화 28
1.5.3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에 따른 기술 변화 30
CHAPTER 2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33
2.1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전략 35
2.1.1 현황 분석 36
2.1.1.1 도입 기업 내부 환경 분석 36
2.1.1.2 도입 기업 외부 환경 분석 40
2.1.2 클라우드 서비스 설계 43
2.1.2.1 클라우드 서비스의 단계적인 도입 전략 43
2.1.2.2 클라우드 서비스 아키텍처 수립 45
2.1.2.3 클라우드 서비스 조직 체계 수립 48
2.1.3 클라우드 서비스 이행 계획 수립 49
2.1.3.1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관리 체계 수립 49
2.1.3.2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 보호 체계 수립 51
2.1.4 클라우드 서비스 투자 효과 분석 52
2.2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기획 53
2.2.1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정의 54
2.2.1.1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54
2.2.1.2 가상 머신 서비스 55
2.2.1.3 스토리지 서비스 64
2.2.2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구현 67
2.2.3 프라이빗 클라우드 SLA 정의 69
2.2.3.1 SLA의 개념 69
2.2.3.2 SLA 구성 요소 69
2.2.3.3 SLA 추진 단계 70
2.2.3.4 가상 머신 서비스 SLA 73
2.2.3.5 스토리지 서비스 SLA 75
2.3 프라이빗 클라우드 과금 모델 76
2.3.1 원가의 개념 77
2.3.2 과금 모델 수립을 위한 기본 개념 78
2.3.2.1 감가상각비 78
2.3.2.2 간접 원가 배부 개념과 사례 81
2.3.2.3 가상 머신의 가상화 비율과 사례 83
2.3.3 가상 머신 서비스 원가 85
2.3.3.1 직접 재료비 86
2.3.3.2 직접 인건비 88
2.3.3.3 운영 인건비 89
2.3.3.4 직접 경비 89
2.3.3.5 간접 원가 91
2.3.3.6 원가 산출 94
2.3.3.7 원가 기준 정책 97
2.3.3.8 가상 머신 서비스의 미터링과 과금 99
2.3.4 스토리지 서비스 원가 100
2.3.4.1 직접 재료비 101
2.3.4.2 직접 인건비 101
2.3.4.3 직접 경비 102
2.3.4.4 간접 원가 102
2.3.4.5 원가 산출 102
2.4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요건 103
2.4.1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설계 요건 103
2.4.2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소프트웨어 요건 106
2.4.2.1 클라우드 플랫폼 106
2.4.2.2 하이퍼바이저 109
2.4.2.3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 111
2.4.3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하드웨어 요건 112
2.4.3.1 서버 112
2.4.3.2 스토리지 113
2.4.3.3 네트워크와 보안 116
2.4.4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포털 요건 117
2.4.4.1 서비스 포털 요건 119
2.4.4.2 관리자 포털 요건 120
2.5 클라우드 서비스 마이그레이션 122
2.5.1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개념 122
2.5.2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유형 124
2.5.3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절차 127
2.5.4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대상 선정 129
CHAPTER 3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131
3.1 오픈스택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 설계 134
3.1.1 클라우드 플랫폼이란? 135
3.1.2 클라우드 플랫폼의 선택 138
3.1.2.1 클라우드 플랫폼의 종류 138
3.1.2.2 벤더 의존도 및 호환성 139
3.1.2.3 유지 운영 및 기술 지원 139
3.1.2.4 비용 효율성 139
3.1.2.5 개발 지원 140
3.1.2.6 에코 시스템 140
3.1.2.7 릴리즈 선택 140
3.1.3 오픈스택의 구조 140
3.1.4 오픈스택 서비스 컴포넌트 143
3.1.4.1 Horizon - Dashboard 서비스 148
3.1.4.2 Nova - Compute 서비스 148
3.1.4.3 Neutron - Networking 서비스 151
3.1.4.4 Swift - Object Storage 서비스 153
3.1.4.5 Cinder - Block Storage 서비스 154
3.1.4.6 Keystone - Identity 서비스 156
3.1.4.7 Glance - Images 서비스 157
3.1.4.8 Ceilometer - Telemetry 서비스 160
3.1.4.9 Heat - Orchestration 서비스 160
3.1.4.10 오픈스택 서비스 선택 161
3.1.5 오픈스택 관리를 위한 추가 서비스 컴포넌트 163
3.1.6 오픈스택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 설치 전략 167
3.1.6.1 공식 배포 버전의 설치 과정 167
3.1.6.2 TripleO 기반의 오픈스택 설치 170
3.2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아키텍처 설계 176
3.2.1 하이퍼바이저의 기술과 선택 179
3.2.2 서버 아키텍처 설계 186
3.2.3 네트워크 아키텍처 설계 198
3.2.3.1 인프라 중심 네트워크 설계 203
3.2.3.2 오픈스택 중심 네트워크 설계 217
3.2.4 스토리지 아키텍처 설계 234
3.2.5 보안 아키텍처 설계 254
3.2.6 가상 머신 아키텍처 설계 258
3.2.7 고가용 아키텍처 설계 264
3.2.8 백업 아키텍처 설계 271
3.3 클라우드 포털 구축 276
3.3.1 클라우드 포털의 기능 277
3.3.2 오픈스택 기반의 클라우드 포털 구축 279
CHAPTER 4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291
4.1 클라우드 운영 관리 293
4.1.1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294
4.1.2 클라우드 서비스 증설 301
4.1.3 클라우드 서비스 모니터링 304
4.1.4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을 위한 학습과 교육 308
4.2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 유형과 대응 308
4.2.1 서버의 장애 유형과 대응 308
4.2.2 네트워크의 장애 유형과 대응 309
4.2.3 스토리지의 장애 유형과 대응 310
4.2.4 기타 장애 유형과 대응 311
APPENDIX A TripleO를 이용한 오픈스택 설치 313
APPENDIX B 대시보드를 이용한 가상 머신의 생성 335
찾아보기 343
책속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중요성을 전기 서비스에 빗대어 설명할까 한다. 현대 사회에서 전기가 없다면 그 불편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전기나 네트워크와 같은 시설은 국가 기반 시설이다. 이런 맥락으로 보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반 시설이다. (중략) 국가의 기반 시설이 타국에 의존적이면 국가 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략 및 기술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기반 시설을 타국에 의존하기도 하는데, 위탁한 국가의 안보는 의존한 나라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기업의 기반 시설이 타사에 의존적이라면 기업의 생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해외에 의존하지 않고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은 국가 기반 시설의 독립성을 갖추고 국내 산업의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다. 기업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은 기업 기반 시설을 구축하고 자사 생존의 경제성과 독립성을 갖추기 위한 핵심인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가 과금이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가운데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또한 과금이다. 기존의 온프레미스 방식에서 온디맨드 서비스로 전환되면 CPU나 코어 단위로, 시간 또는 월을 기준으로 과금을 해야 한다. 하지만 IT 인력이 과금 모델을 수립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과금 모델은 IT 영역이 아닌 회계 영역이기 때문에 IT 인력이 클라우드 서비스 과금 모델 수립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서적은 기술 위주의 내용만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금에 대한 내용을 곁들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인 IT 기술과 연계된 과금 모델을 설계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고 신규 서비스 위주로 수용한다면 투자 대비 효과는 줄어들게 된다. 현재 사용 중인 서비스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마이그레이션시켜야 적절한 투자 대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모든 IT 서비스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마이그레이션할 수는 없다. 라이선스, 네트워크 구성, 지원 소프트웨어, 성능, 용량, 운영체제의 종류 등 다양한 이슈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슈는 내부 환경 분석 단계에서 미리 파악해야 한다. 파악된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적절한 마이그레이션 계획을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