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소프트웨어 공학
· ISBN : 979118589076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7-03-27
책 소개
목차
권두기획 DevOps와 Infrastructure as Code 개요 - 비즈니스에 공헌하는 IT _ 1
1장 DevOps란? _ 3
DevOps의 본질을 이해하고 실천하자
2장 Infrastructure as Code란? _ 17
코드에 의한 인프라 구축의 자동화
특집 1 가장 빠른 공략! Ansible 2에 의한 서버 구축 - 복잡한 태스크를 멱등성을 유지하며 자동화하는 툴 _ 31
1장 Ansible의 기본 _ 33
대상 호스트를 지정해서 태스크를 실행한다
2장 Playbook의 기본 _ 47
대상 호스트에서 실행할 태스크를 기술한다
3장 실전 Ansible _ 77
LAPP 서버를 구축해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한다
4장 Playbook의 올바른 접근 방법 _ 93
Playbook을 분할해서 구조화한다
특집 2 CircleCI를 이용한 지속적 통합 입문 - 테스트 주도 인프라의 기초부터 지속적 통합까지 _ 115
1장 인프라 테스트 입문 _ 117
테스트 주도 인프라와 인프라CI
2장 로컬에서의 테스트 주도 인프라 _ 123
VirtualBox, Vagrant, knife-solo, Serverspec의 설정
3장 인프라CI의 준비 _ 149
GitHub, CircleCI, DigitalOcean의 설정
4장 CircleCI를 이용한 지속적 통합 _ 171
실전 인프라 코드 작성
5장 지속적 통합에서 지속적 인도로 _ 181
운영 환경에 인프라CI 적용
특집 3 Docker를 이용한 가상 환경 구축과 Kubernetes에 의한 Docker 클러스터 관리 - 컨테이너 기술이 실현하는 새로운 세계 _195
1장 Docker의 기본 197
데몬과 명령에 의한 컨테이너 관리
2장 Docker를 사용해보자[기본편] 203
Docker 컨테이너의 기본 제어
3장 Docker를 사용해보자[응용편] 215
Docker 컨테이너의 실행 옵션, Dockerfile의 활용
4장 클러스터 관리 도구란? 223
복수의 Docker 컨테이너 관리
5장 Kubernetes의 기본 229
기본 개념과 구성 요소를 이해하자
6장 Kubernetes 퀵스타트 235
검증 환경 구축과 샘플 실행
7장 Kubernetes를 자세히 살펴보기 267
고도의 클러스터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
찾아보기 _ 28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종래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자주 사용되던 것은 폭포수(waterfall) 방식이었다(그림 1-1의 위). 이는 최초에 요구를 수집하고 그 요구가 올바르다는 것을 전제로 해서 설계, 개발, 테스트와 같은 단계로 분할해서 진행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최종 테스트가 끝난 단계에서 처음으로 이용 가능해진다.
Ansible을 이용하면서 알아둬야 할 것은 두 종류, 즉 Ansible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호스트와 태스크를 실행하는 대상 호스트가 있다는 점이다. 그림 1-1에 이용 방식을 도식으로 나타냈다. 실행 호스트에는 Ansible을 설치해야 한다. 대상 호스트에는 Ansible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SSH로 접속 할 수 있어야 하고 Python 2.x(2.4 이상)가 설치되어 있으면 동작한다. OpenSSH나 Python 2.x는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특별한 미들웨어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defaults 디렉터리와 vars 디렉터리에는 main.yml에 변수와 그 값을 딕셔너리로 기술한다. 둘 다 비슷한 내용이지만 정의한 변수의 우선도가 다르다. defaults 디렉터리는 모든 변수 정의 중에서 가장 우선도가 낮다. vars 디렉터리나 앞서 말한 host_vars 디렉터리, group_vars 디렉터리, 인벤토리 등에서 동명의 변수가 정의되어 있으면 해당 값이 이용된다. 즉, 이름 그대로 디폴트값을 정의할 때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