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성악/가곡
· ISBN : 9791185908625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16-03-15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책을 펴내며
1강 좋은 지휘자
1. 지휘자의 네 가지 방향
1) 지도자로서의 지휘자(Conductor as Leader)
2) 음악인으로서의 지휘자(Conductor as Musician)
3) 스승으로서의 지휘자(Conductor as Teacher)
4) 목회자로서의 지휘자(Conductor as Minister)
2. 지휘자의 여섯 가지 사명
1) 합창단원(찬양대원)을 사랑하는 지휘자
2) 인내력, 의지력, 긍정적, 객관적인 지휘자
3) 친절하고 믿음직한 지휘자
4) 목표를 세우는 능력을 갖춘 지휘자
5) 단체를 이끄는 통솔력(Leadership) 있는 지휘자
6) 평생토록 기억되는 지휘자
2강 합창 지휘자의 자질(The competence of a conductor)
1. 음악적 귀(Knowledge of Ear training)
2. 음악적 능력(Musical Ability)
3. 성악에 대한 지식(The knowledge of Vocal training)
4. 지휘자의 성격(Objectivity, Composed Patience)
5. 음악이론(Music Theory)
6. 피아노/오르간 실기능력(The Ability to play Piano/Organ)
7. 합창문헌(The Knowledge of Choral Literature)
8. 음악적 능력과 지도력(Musicianship and Leadership)
3강 합창지휘자가 갖추어야 할 네가지 전문요소(Category)
1. 지휘의 시작과 표현의 기술(Beating Technique)
2. 합창 연습 방법(Rehearsal Technique)
3. 합창 지도 방법(Choral Pedagogy)
4. 합창문헌(Choral Literature)
4강 성공적인 리허설(연습) 방법(Rehearsal Technique)
1. 실패하기 쉬운 리허설의 예(보기)
2. 성공하는 효과적인 리허설 방법
5강 합창곡을 선택하는 방법(Repertoire Selection)
6강 합창 지도방법(Choral Pedagogy)
1. 발성법(Vocal Technique)
2. 구절법(Phrasing)
3. 발음법(Choral Diction)
4. 균형(Balancing)과 조화(Blending)
5. 웜업(Warm-Up)
6. 음정과 리듬의 효율적인 지도방법
7. 표현법(Expression)
7강 합창곡을 분석하는 8가지 방법
1. 곡에 대한 정확한 빠르기와 그 곡에 대한 분위기(감정 및 곡의 흐름)에 대한 연구
2. 곡의 형식(Form-Structure)과 구절법(Phrasing)에 대한 분석
3. 가사(Text)의 내용과 선율의 연관성에 관한 분석
4. 선율(Melody)의 특징에 대한 분석
5. 박자(Meter)와 리듬(Rhythm)에 관한 분석
6. 곡에 대한 조성(Tonality)과 화성(Harmony)에 관한 분석
7. 합창구조(Texture)에 대한 분석
8. 지휘(Conducting), 동작(Gesture)과 표현 기술에 관한 연구
8강 합창지휘를 위한 합창곡을 분석하는 방법
1. 초급
2. 중급-고급
3. 합창지휘연구
9강 마킹(Marking) 하는 방법
10강 합창연주회 프로그램 작성법(Programing)
11강 시대별 합창곡 해석 방법과 문헌에 의한 지휘 실기곡
부록
Video 실기평가서(Self-Evaluation)
끝 맺는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휘자는 합창단원과 한마음이 될 수 있어야 하고 서로가 신뢰하고 마음과 마음이 전달될 수 있도록 강한 응집력이 생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합창단원은 지휘자의 지시나 음악에 순종하고 적응하도록 노력해야한다. 사람의 목소리는 생명과 감정이 살아있는 악기이기에 인격적인 면에서 지휘자의 책임은 매우 중요하며 크다고 생각한다. 또한 지휘자는 음악적인 면에서도 합창단원이 신뢰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 합창단원들이 지휘자를 인격적으로 또한 음악적으로 신뢰하도록 하기 위한 조건들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자질은 다음과 같다.
_‘2강 합창 지휘자의 자질’중에서
지휘 동작을 연습할 때 지휘자는 스스로의 beating이 그 음악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거울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지휘하고 있는 매순간을 확인하며 지휘하기는 실제로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본인이 지휘하는 영상을 촬영한 후에 이것을 재확인(Review)하며 스스로의 지휘를 평가하는 일은 지휘 표현의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위한 자체평가(Self Evaluation)서 양식을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_‘3강 합창지휘자가 갖추어야 할 네가지 전문요소’중에서
7) 곡의 처음과 마지막 부분을 충분히 연습한다.
곡의 대부분을 잘 연주한다 할지라도 시작과 마지막 부분을 잘 연주하지 못하면 성공적인 연주가 될 수 없다. 곡의 시작과 끝 부분을 항상 충분히 연습해두면 곡 중간 부분의 약간의 실수는 크게 기억에 남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휘자들은 끝부분을 가장 강조하지만 실제로 가장 음악적으로 완성도가 낮은 부분이기도 하다.
_‘4강 성공적인 리허설(연습) 방법’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