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음악고고학

중국 음악고고학

왕자초 (지은이), 장익선, 장민 (옮긴이)
채륜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음악고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음악고고학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9118609620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11-20

책 소개

동아시아 학술번역총서 1권. 중국 음악고고학이 형성되던 초기에는 일반 고고학계의 막내였지만, 중국 고고학의 비옥한 옥토를 두고 인문학 분야와 고고학 분야의 많은 자양분을 섭취하며 나름의 체계를 갖추며 성장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참고 그림 목록
1장 중국 음악고고학의 약사(中國音樂考古學小史)
2장 증후을의 음악전당(曾侯乙的音樂殿堂)
3장 멀리 사라진 골적의 소리(遠逝的骨笛聲)
4장 대풍가의 여운(大風歌的餘韻)
5장 불과 흙의 악무(火與土之樂舞)
6장 예악의 혼(禮樂之魂)
7장 금슬격고 사죽화합(琴瑟擊鼓 絲竹相和)
8장 굳어진 천당의 음악(凝固的天堂音樂)
9장 회화예술과 조각예술(丹靑寓樂斧工傳聲)
10장 음악고고학의 연구방법(音樂考古學方法?究)
11장 중요한 저서에 대한 소개(重要著作簡介)
맺는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왕자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중국강소성무석(江苏省无锡市)에서 태어났다. 남경사법학원 음악학부를 졸업하고 중국예술연구원 연구생부음악학부에서 중국악율사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음악가협회 회원, 중국음악사학위 부비서장 겸 중국음악고고학전문위원, 중국음악연구원음악연구소 소장, 동아세아음악고고학학회 회장 등 직을 겸하고 있다. 2005년 제2차 문화부 예술과학우수연구성과상 등의 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장익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연변대학교예술학원교수中國延邊大學藝術學院敎授, 한양대학교음악대학 음악학 박사 및 박사지도교수, 저서로는 『연변민요의 음악적 특성과 양상에 대한 연구』, 『조선민족민속음악』, ??중국조선족민간가요개론』, 『조선족음악연주이론』 등 10여부의 저서와 역저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중국조선족장단의 특성 연구?, ?전통악기의 개량에서 득과 실?, ?해금연구?, ?단소독주곡 ‘능수버들’에 대한 연구? 등 100여 편의 논문을 국내 외 및 국제 학술회의, 그 외 주요 잡지에 발표하였다. 프로젝트로는 〈화하음악문화가 조선반도에 대한 영향〉 등을 주최하거나 참여하였다. 현재 중국음악가 협회회원, 중국소수민족음악학회 상무이사, 연변민간문예가협회 부주석 등 직무를 겸하고 있으며 중국과 한국의 저명한 대학에서 십여 차례의 특강을 진행하였다. 또한 중국국가 교육부의 논문2등상과 길림성교육청의 논문1등상 등 다양한 상들을 받았으며 중국조선족전통악기 단소의 전승인이다.
펼치기
장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동대학원 석, 박사 졸업 중국 절강성 온주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교수 온주시최초문화특파원 절강성 음악가 협회회원, 호북성 음악가 협회회원
펼치기

책속에서

증후을무덤에 대한 발굴은 중국선진음악사(先秦音樂史)를 철저히 다시 쓰게 하고, 하남성(河南) 무양가호골적(舞陽賈湖骨笛)의 출토는 중화음악문명의 발원지가 어디인지 다시 인식하게 하였으며, 산동山東성 낙장 한나라무덤(洛莊漢墓)에 서 출토된 악기갱(樂器坑)의 진보(珍寶)는 안개 속을 헤매던 학자들로 하여금 한(漢)나라시기 음악 제도를 새롭게 인식하게 하였다. 반세기 넘는 동안, 문헌에만 기초하던 전통적인 역사연구방법으로 얻어진 대량적인 음악사학성과들은 시대를 구분하는 음악고고학의 발굴과 연구의 성과 앞에서 창백해지고 무기력해지게 되었다. 음악고고학의 중대한 과학적 의의는 학술계의 긍정과 인지를 받고 있다.


증후을무덤의 발견과 발굴은 중국에서 새로운 일대 음악고고학전문가 대오를 형성하게 하였고, 연구 사업은 실천 속에서 점차 성숙되어 갔다. 증후을무덤의 발굴과 연구에서 거둔 성과를 인정받아 중국 예술연구원연구생부에서는 중국의 첫 음악고고학 전공을 설치하였고 정식으로 학생을 모집하였으며 강의를 시작하였다. 이는 중국 음악고고학 사업에서 높은 차원의 인재를 양성할 수 있게 되었고, 무한음악학원(武漢音樂學院)에서 도 지속적으로 음악고고학 전공을 설치하였다. 이는 중국 음악고고학학과 건설에서의 역사적 의의가 있는 사건들이다.


인류는 음악예술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회화와 조각예술을 만들어 놓았다. 문화의 한 수단인 미술작품은 비교적 상세하게 고대사회 음악생활의 여러 측면을 기록하였다. 이런 미술작품들은 연구자들에게 비교적 상세한 관련정보를 제공해줬는데 이는 단순한 악기보다 더욱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는 그림과 같은 음악문물이 음악사학에 주는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