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91186222287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0-05-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물리학과 화학
지게 | 등잔 | 포석정 | 화약 | 자격루 | 석빙고 | 조총 | 화포 | 망해도술 | 상평통보 | 자승차 | 전기등소 | 물레방아
2부 생명 과학
소로리 볍씨 | 옹기 | 김치 | 시루 | 전통 장 | 용문사 은행나무 | 농서 | 《자산어보》 | 《동의보감》 | 죽방렴
3부 지구 과학
공룡 화석 | 첨성대 | 관천대 | 수표교 |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 측우기 | 시헌력 | 혼천의 및 혼천시계 | 풍기대
4부 기술과 공학
통나무배 | 철갑옷 | 신라 금관 | 자물쇠 | 베틀 | 목선 | 성덕대왕신종 | 봉수대 | 거북선 | 신기전 | 두정갑 | 거중기
5부 건축과 토목
고인돌 | 온돌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황룡사 구층 목탑 | 문무 대왕릉 | 왕궁리 유적 화장실과 동궁 화장실 | 홍예교 | 한옥과 기와 | 김제 벽골제 | 서울 풍납동 토성 | 경주 불국사 | 무령왕릉 | 경주 석굴암 석굴 | 창덕궁 인정전 | 남한산성 | 조선 왕릉 | 수원 화성
6부 예술과 문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옻칠 | 정문경 | 강릉단오제 | 가야금 | 상감 |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단청 | 고구려 고분군 | 모시 | 한복 | 자기 | 《직지심체요절》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편경 | 《조선왕조실록》 | 한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삼각비의 원리를 이용한 망해도술.” 망해도술은 ‘바다에서 섬을 바라보며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라는 뜻이에요. 조선 시대 산술서 《구일집》에는 망해도술의 원리가 나오는데, 바다에서 섬을 바라보면서 거리를 계산해요. 망해도술은 삼각비의 원리를 이용해요. 삼각비는 직각삼각형에서 세 변 중 두 변의 길이 비를 말해요. 기준이 되는 각이 같으면 크기가 다른 직각삼각형이라도 삼각비는 같아요. 직각삼각형의 크기와 상관없이 각도가 같으면 삼각비는 같아요. 각도와 한 변의 길이를 알면 다른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어요. 삼각비를 활용하면 높은 빌딩의 높이도 계산하고,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도 측정할 수 있답니다.
“‘김치’라는 이름에는 삼투 현상이 나타나 있어요.” 김치는 채소에 소금물을 뿌리면 숙성되어서 수분이 빠져나와 물에 잠기는 모습을 표현한 침채라는 말에서 유래했어요. 침채가 팀채, 짐채, 김채, 김치로 변했어요. 김치를 담근다는 뜻인 침장이 팀장, 딤장, 김장으로 변했답니다. 삼투 현상은 막을 사이에 두고 물이 이동해 농도가 같아지는 현상이에요. 물은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해요. 이때 생기는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해요. 생물의 세포에는 막이 있어서, 막 사이로 삼투 현상이 일어난답니다.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세포 안에 있던 물이 농도가 높은 소금 쪽으로 이동하면서 배추에서 빠져나와요. 절이지 않고 양념을 하면, 나중에 물이 빠져나와 간도 안 맞고 질척거리는 김치가 돼요. 바닷물을 마시면 세포 속 물이 빠져나와 목이 더 마르고, 물속에 오래 있으면 손이나 발이 쭈글쭈글해지는 것도 삼투 현상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