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취업/진로/유망직업 > 국내 진학/취업
· ISBN : 9791186256442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6-11-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강사의 문을 두드리는 당신에게 5
1장- 강사란 무엇인가: 행복하다, 강사로 살아갈 수 있어서
매력 있는 삶이다 17 / 요일은 상관없다 23 / 나이 때문에 늙지 않는다 28 / 일과 생활이 하나다 33 / 틀에 갇혀 살지 않는다 39 / 아침마다 여행을 떠난다 45 / 사람들이 나를 알아본다 51
2장- 성공하는 강사의 일곱 가지 법칙: 오래, 잘하려면 이것만은 지켜라
때가 되어야 유명해진다 59 / 허세가 아니라 ‘스웩’이다 65 / 쓴소리도 달게 삼켜낸다 71 / 버리지 않으면 버려진다 77 / 시간에 쫓기지 않는다 83 / 말하는 대로 산다 89 / 미래를 만들어간다 94
3장- 가르치기 전에 강사가 배워야 할 것들: 청중보다 강사부터 실천하라
세상만사가 그럴 수도 있지 103 / 사람을 즐겁게 하는 행복 바이러스 109 / 혼자만 먹으면 배부르지 않다 115 / 똑같이 생각하지 않기 120 / 변화를 읽어내는 감각 126 / No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132 / 결코 마르지 않는 ‘긍정의 힘’ 138
4장- 강사도 마케팅에 강해야 한다: 억대 강사는 어려워도 오래 벌기는 쉽다
송해 부럽지 않을 만큼 많이 버는 강사도 있지만 147 / 강사, 누구나 할 수 있어도 아무나는 안 된다 154 / 강의도 고객 만족이다 159 / 징크스를 만들지 않는다 164 / 느낌 좋은 사람이 된다 170 / 강사의 첫걸음은 이렇게 떼라 176 / 강의 주제가 중요하다 182
5장- 매력적인 강의 콘텐츠, 이렇게 만든다: 나를 알리기보다 전할 메시지에 집중하라
깨질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189 / 경험만 늘어놓지 않는다 194 / 재미, 내용, 다음은 무엇? 200 / 가족을 활용한다 205 / 화룡점정이 필요하다 210 / 이야기를 만드는 여섯 가지 방법 215 / 표현에 필요한 여섯 가지 방법 221
6장- 명품 강의를 만드는 일곱 가지 기술: 머리만이 아니라 마음과 몸으로 듣게 하라
강의는 ad lib가 아니다 229 / 청중부터 파악하자 234 / 초반 10분이 골든타임이다 240 / ‘있어빌리티’가 필요하다 246 / 징검다리를 놓자 251 / 흥미는 계속되어야 한다 256 / 일방통행은 안 된다 262
에필로그- 프로 강사는 돈보다 아름답다 27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강사에게는 어느 정도의 시행착오가 필요하다. 그래야 청중과 호흡하기가 수월하다. 미혼자가 기혼자의 고민에 공감하기란 쉽지 않고, 실패한 경험이 없는 사람이 좌절한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는 것도 어렵다. 모든 것을 경험으로부터 얻지 못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의 삶을 관찰하고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간이 적지 않게 필요하다. 인생 100세 시대 ‘Homo Hundred’는 현실이다. 취업에 성공하여 60세까지 정년을 무사히 채운다고 해도 남은 40여 년을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다.
-‘1장 강사란 무엇인가’에서
강사의 삶은 마치 일본만화 〈심야식당〉과 같다. 이 식당은 밤 12시부터 아침 7시까지 운영하는데 샐러리맨, 스트리퍼, 깡패, 게이 등 다양한 손님이 찾아온다. 서로 모르는 사이지만 ‘허기도 마음도 채워드립니다!’라는 식당의 캐치프레이즈처럼 음식을 먹으며 서로의 고민을 나누고 힘든 마음을 위로받는다. 식당과 강사가 다르다면, 음식 대신 강의로 기쁨과 좌절을 공유한다는 정도일 테다. 강사는 많은 사람을 만난다. 다른 상황에서, 다른 형편의 사람을 만나게 된다. ‘세 사람이 길을 가면 그중에는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三人有行 必有我師’는 공자의 말씀대로 강사에게는 배움의 기회가 널려 있다.
- ‘3장 가르치기 전에 강사가 배워야 할 것들’에서
강사료 이전에 강의 저변을 넓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끔 젊은 담당자가 내게 “한 달에 몇 시간 강의하세요?”라고 묻는 경우가 있다. 자신들이 지급하는 강사료에 시간을 곱하면 그것이 내 수입이니 질문 의도를 모를 리 없다. 잘못 말하면 담당자는 자괴감을 느끼거나 환상을 가질 수 있어 조심스럽게 말한다. “돈보다 귀한 것이 없으면 강의를 하면 안 된다”고.
- ‘4장 강사도 마케팅에 강해야 한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