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재무/금융
· ISBN : 9791186377116
· 쪽수 : 657쪽
· 출판일 : 2016-03-30
책 소개
목차
[제1편] 개요
제1장 서론 : 계리실무에 대한 개관
1.1 이 책의 목적
1.2 필요 사전지식
1.3 본 교재의 사용방법
1.4 계리업무와 계리사 직업
제2장 계리학과 계리사 직업
2.1 계리학과 계리사 직업의 역사
2.2 계리사 업무내용과 계리업무의 차별성
2.3 재정안정 제공기관
2.4 보험산업 개관
2.5 계리사의 업무 분야
2.6 계리사 핵심 역량
제3장 계리관리 사이클
3.1 서론
3.2 계리관리 사이클 버전 및 진화
3.3 관리 사이클에 관한 논의 심화
3.4 관리 사이클의 예
3.5 계리사 업무와 관리 사이클에 관한 결론
제4장 계리학의 원칙
[제2편] 투자
제5장 투자 개요 및 외부요인
5.1 투자 개요
5.2 투자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
제6장 이자론
6.1 이자율의 종류
6.2 이자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법
6.3 자본예산
6.4 연금
6.5 연습문제
제7장 자산의 종류
7.1 기초자산
7.2 파생금융상품
7.3 보험회사와 연금펀드의 투자에 활용되는 자산
제8장 투자 및 포트폴리오 관리
8.1 기초적인 투자 이슈
8.2 평균-분산 분석
8.3 기타 사항
8.4 연습문제
제9장 재무 모형과 데이터
9.1 자본자산 가격결정 모형
9.2 기타 재무 모형 체계
9.3 데이터와 추정
9.4 연습문제
제10장 이자율의 기간구조
10.1 이자율 개요
10.2 수익률곡선
10.3 연습문제
제11장 자산부채 관리
11.1 이자율 민감도
11.2 면역화
11.3 자산-부채 매칭 기법
11.4 보험회사의 자산-부채 관리 리스크 측정
11.5 연습문제
[제3편] 생명보험과 연금
제12장 개요
제13장 보험보장의 형태
13.1 생명보험
13.2 연 금
제14장 생명보험과 연금상품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
14.1 사회 및 문화적 요소
14.2 인구 통계적 추세
14.3 경제 및 경영 환경
14.4 정부 영향
제15장 가격산정
15.1 수익성 측정
15.2 수익성 측정기준
제16장 수익성분석
16.1 수익성분석 방법
16.2 가격산정 도구
16.3 자산기여도
16.4 장부상 순이익 분석
16.5 순이익 원천
16.6 회사 단위 모델
16.7 연습문제
제17장 수익성분석 입력자료
17.1 투자수익
17.2 주식투자수익률
17.3 사망률
17.4 유지율
17.5 사업비
17.6 연습문제
제18장 수익성분석에 미치는 규제의 영향
18.1 책임준비금
18.2 책임준비금 산출모델
18.3 해약환급금 요건
18.4 소득세
18.5 자기자본요구량
18.6 보험료
18.7 연습문제
제19장 결과 모니터링
19.1 경험치 모니터링 이유
19.2 경험치 모니터링 대상 5가지
제20장 종합결론
[제4편] 퇴직급여
제21장 퇴직급여제도 개요
21.1 은퇴소득체계를 필요하게 하는 외적 요인들
21.2 퇴직급여제도의 역사
제22장 퇴직급여보장제도의 개요
22.1 일반적인 퇴직급여제도의 종류
22.2 정부지원 사회보장제도
22.3 기업연금제도
22.4 미국 기업연금제도의 세금구조
22.5 퇴직급여제도에서 법원의 역할
22.6 캐나다 기업퇴직연금제도
22.7 영국의 연금제도
22.8 멕시코 연금제도
22.9 DB형 기업연금제도의 계리사 역할
22.10 다층 퇴직소득 체계의 장점
제23장 퇴직급여제도 설계(Retirement Plan Design)
23.1 확정급여형제도와 확정기여형제도
23.2 하이브리드형 설계
23.3 퇴직급여제도의 리스크 할당
23.4 미국 연금제도의 설계
23.5 캐나다 연금제도의 설계
23.6 근로자 관리를 위한 퇴직급여제도의 활용
제24장 기업퇴직급여제도의 기금적립
24.1 확정급여형제도의 기금적립 개관
24.2 확정급여형 평가를 위한 계리적 가정
24.3 연금적립에 사용되는 전문용어
24.4 적립방식
24.5 계리평가에 필요한 자산과 가입자 정보
24.6 기금적립금액의 결정
24.7 계리평가-이해관계자와 그들의 관점
제25장 미국의 연금회계(Pension Accounting in the United States)
25.1 미국 연금회계 요구사항의 정책적 이유
25.2 연금회계 요구사항
25.3 연금회계 산출의 필수요소
25.4 기업재무제표에 대한 책임
25.5 연금비용
25.6 연금공시
제26장 계리적 원가와 비용모형
26.1 계리예측모형 시스템
26.2 계리예측모형의 퇴직급여제도 활용
제27장 퇴직급여제도 지급능력
[제5편] 의료보험과 단체보험
제28장 단체보험 개요
28.1 피보험 단체의 원칙
28.2 단체보험 상품의 구매자
28.3 단체보험 상품의 판매자들
28.4 건강보험의 경제학 개요
28.5 보건의료 재원조달 방식의 주요 영향
28.6 소득보상보험 개요
28.7 장기개호보험 개괄
28.8 단체생명보험 개괄
제29장 외부요인들
29.1 복지제도의 니즈를 유발하는 원동력
29.2 문화 사회적 가치
29.3 인구통계
29.4 정책과 규제의 영향
제30장 단체 복지플랜의 가격산정
30.1 데이터와 가정들
30.2 네트워크 관리와 플랜 설계
30.3 보험금 비용의 추정
30.4 산정기간의 비용 예측
30.5 급여 인수의 계산
30.6 급여 변경의 영향
30.7 요율서 총보험료 계산
30.8 경험요율
제31장 준비금적립
31.1 기간의 정의
31.2 단기준비금
31.3 장기준비금
31.4 보험금 준비금 적정성 평가
31.5 준비금을 위한 지침과 실무기준
머리말
책속에서
머리말
글로벌 금융위기와 지속적인 금리 하락으로 인한 저금리 기조가 정착되면서 국내외 보험산업의 경영환경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경 도입 예정인 보험계약 국제회계기준 2단계(IFRS4 phaseⅡ)의 시행에 앞서 금융당국과 업계의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보험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보험계리사회는 계리사들이 이러한 보험산업의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습니다. 2014년 국제적 정합성을 갖춘 보험계리사시험 제도의 개편에 기여하였고, 계약자를 포함한 약 2천여 명의 국내외 계리업무에 종사하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서는 계리업무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Society of Actuaries(SOA, 미국계리사회)와 공동 기획 하에 보험업계 및 학계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Understanding Actuarial Practice”의 번역서입니다. 번역에 참여한 5인의 번역자들은 원저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함과 동시에 한국의 실정을 감안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본서는 앞서 출간된 “보험계리와 경영”(2013, 보험연수원)과 더불어 계리업무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의 전문성을 시사하는 가이드라인이 되어 줄 것입니다. 국내외 계리사를 비롯한 계리업무 종사자들과 미래의 계리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보험·퇴직연금 관련 금융분야 종사자와 금융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마지막으로, 원 저작권자인 미국계리사회(SOA)와 원 저자인 Jeffrey A. Beckley, Patricia L. Scahill, Matthew C. Varitek, Toby A. White 및 편집자 Stuart A. Klugman에게 감사드리며, 번역을 맡아 주신 박상래(제1편), 박경국(제2편), 여상구(제3편), 성주호(제4편), 전홍규(제5편) 님에게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감수를 진행해 주신 연세대 김현태 교수, 숭실대 신기철 교수, 상명대 이경희 교수님께도 감사드리며, 계리법인 써미트 김민호, 도서출판 신조사, 본회 사무국 임직원 및 그 외 출판 과정에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2015년 12월
한국보험계리사회장 박 상 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