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활용능력 > 정보기기/정보통신
· ISBN : 9791187180104
· 쪽수 : 554쪽
· 출판일 : 2017-11-20
목차
2015년 105회 1교시
1. WDM-PON 12
2. MPEG-21 14
3. VPPM(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과 PWM(Pulse Width Modulation) 16
4. QPSK와 QAM 비교 19
5. 전파의 회절손실 21
6. 안테나의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파라미터 23
7. Z-Wave 26
8. Carrier Aggregation과 Channel Bonding 28
9. 캐리어 이더넷 30
10. 블루투스 LE (low energy) 32
11. BACnet (Building Automation Control Network) 프로토콜 34
12. Coherent 광전송 기술에 사용되는 편광 다중화 기술 37
13. FTN (Fast Than Nyquist) 전송기술 38
2015년 105회 2교시
1. 옥외 CCTV 감시카메라의 낙뢰피해 유형과 대책에 대해 기술하시오. 40
2.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인증 1등급 기준으로 설계할 때 배관, 배선, 구내통신실 요건 44
3. 웹(Web) 보안 취약점 5가지를 기술하고 그에 대한 각각의 대책을 설명하시오. 48
4. 아이패턴(Eye pattern)에 대해 기술하고, 심볼간 간섭 해소방안을 설명하시오. 51
5. GPS 측위오차 발생원인과 대책을 설명하시오. 54
6. STM-1급의 MSPP 장비를 채택한 M/W 전송시스템을 설계할 때 신호처리를 포함한
시스템 계통도 및 주요기술을 설명하시오. 58
2015년 105회 3교시
1. EMC, EMI, EMS를 설명하고, 대책방안을 기술하시오. 63
2. loT(internet of Things) 컨소시엄 동향과 활성화 방안을 기술하시오. 67
3. 5G 이동통신의 기술적 목표 5가지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해당 무선통신호 후보기술 71
4. PS-LTE(Public Safety LTE) 국가 재난 안전 통신망의 필수요구기능 5가지를 기술하고,
PS-LTE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기술하시오. 74
5. QPSK 송수신 과정을 설명, 아래 주어진 조건에 대해서 BER(Bit Error Rate)을 구하오. 77
6. 보통신 설비의 설계변경 범위, 절차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80
2015년 105회 4교시
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기법과 정보통신분야 적용방안을 설명하시오. 83
2. 지능형 교통체계 (ITS)의 기본계획, 설계, 구축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86
3.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와 책임감리제도를 설명하시오. 90
4. 댁내 무선통신으로 활용가능한 Zigbee, Bluetooth, WiFi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오. 93
5.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시스템 구성, 통신기술, 제공서비스 및 기대효과 96
6. UHD-TV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
(획득, 저장, 부호화, 전송, 수신단말, 디스플레이 등)에 대해 설명하시오. 103
2015년 107회 1교시
1. OSI7계층 110
2. NZ-DSF 112
3. UTM (Unified Threat Management) 114
4. MMT 구조 116
5.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 평가를 위한 요구사항 118
6. WiGig(Wireless Gigabit, IEEE 802.11ad) 119
7. D2D (Device to Device) 통신 121
8. S-parameter를 사용하는 이유 123
9. 위성기반 보정시스템(SBAS :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125
10. OFDM 핵심기술(6가지) 128
11. HEVC 130
12. Zing(초고속NFC)기술 131
13. MPTCP(Multipath-TCP) 133
2015년 107회 2교시
1.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심사기준에서 공동주택(아파트) 특등급배선설비 및
집중구내통신실의 심사항목, 요건, 심사방법에 대해 서술하시오. 135
2.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에너지산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38
3.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기법, 기술 및 대응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42
4. 차세대 수동형 광가입자 망 표준화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45
5. O2O 서비스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151
6. 라디오 방송 대역(중파,단파,초단파)별 디지털 방식의 종류 및 특징 156
2015년 107회 3교시
1. 이동통신망 구축시 설계 절차 및 산출물에 대해 서술하시오. 158
2. LTE-FDD 와 LTE-TDD 방식을 비교 서술하시오. 160
3. 이동통신에서 무선채널의 특성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최신기술 중심으로 서술 162
4. 이동단말간 애드혹의 특징과 망구성시 고려사항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169
5. 전파의 창(Radio Window)의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를 나열하고,
위성통신의 전파전파 특성 및 그 대책을 나열하시오. 173
6. CGN(Carrier Grade NAT)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77
2015년 107회 4교시
1.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제도(PMO: Project Management Office)에 대하여 설명하고,
PMO제도와 정보통신 감리제도를 비교 설명하시오. 183
2. 최근 확정된 700㎒ 대역 주파수 분배방안을 나열하고, 주요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87
3. ISO 이더넷 기반의 선박통신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90
4.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관련 주요 통신기술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93
5. CCTV 통합관제센터에 대해 기술하고 신뢰성있는 데이터의 디스크 저장방법
(RAID 1, 3, 5)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195
6. IoT와 M2의 기술에 대하여 비교하고, IoT 보안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199
2016년 108회 1교시
1. 정보통신공사에서 검사 및 시험 계획서(Inspection and Test Plan),
입회점(Witness Point), 정지점(Hold Point) 정의 206
2. 구내통신선로설비공사에 대한 접지설비의 검사기준 208
3. 커넥티드 자동차(Connected Car) 209
4.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검파방식 중 V-BLAST 와 Alamouti 211
5. 이산 퓨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의 정의, 용도 213
6. Isolator와 Circulator 특성, 차이점, 활용 215
7. PLL 217
8. Ransomware 219
9. 양자암호통신 222
10. 전리층 특성주파수(LUF, MUF, FOT) 225
11. 위성방송과 DCS(Dish Convergence soultion) 227
12. 통신시스템에서 선형시스템과 시불변시스템 정의와 용도 229
13. 무선통신에서의 변조의 필요성 230
2016년 108회 2교시
1. 캐리어이더넷과 MSPP를 비교 서술하시오. 233
2. PON 기술과 동향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37
3. 5G 이동통신서비스를 도입하고자 할 때, 현재 4G 네트워크가 가지는 한계점에 대하여 241
4. 광신호전송시 손실과 분산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44
5. 정보통신과 전통 제조업인 조선업의 융복합기술인 e-Navigation 기술에 대하여 247
6. 이동통신 링크적응(Link Adaptation)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251
2016년 108회 3교시
1. LTE-R(Railway) 과 KTCS(Korea Train Control System)의 도입배경과 도입시 기대효과 254
2. 광케이블 구축공사 과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58
3. DOCSIS 3.1 261
4. 와이파이콜링'(Wi-Fi Calling) 264
5. OFDM에서 CP(Cycle Prefix)의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66
6. 표준과 표준특허에 대하여 설명하고 표준특허의 중요성과 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 269
2016년 108회 4교시
1. 정보통신공사의 범위와 종류를 서술하시오 274
2. 핀테크(FinTech)의 정의와 보안인증 동향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77
3. LTE기반 소형셀 기지국을 중심으로 서술하시오 283
4.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인 C-ITS(Cooperative-ITS)의 특징과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286
5.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영상주파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89
6. LTE-U(Unlicensed)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016년 110회 1교시
1. OSI의 통신망 관리 목적(5가지) 296
2. Parseval 정리(레일리 에너지 정리) 298
3. 라만(Raman) 광증폭기 299
4. 정부의 소프트웨어 분리 발주제도 300
5. 6LoWPAN(IPv6 over Low-Power WPAN 302
6. SAW(Surface?Acoustic?Wave)와?BAW(Bulk?Acoustic?Wave)Filter 304
7. Massive MIMO 306
8. 전력증폭기의?전력효율(Power?Efficiency) 308
9. In Memory Computing 310
10.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비교 312
11. Mobile IPTV 313
12. 광섬유 모드간 분산과 모드내 분산 315
13. 가상머신의 Host OS형과 Hypervisor형 비교 316
2016년 110회 2교시
1. 스위치 네트워크의 Spanning Tree Protocol 비교 설명하시오 318
2. ITU-T OTN(Optical Transport Network)의 계위(Hierarchy),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22
3. Convolution과 Correlation함수의 개념 및 통신에서 응용사례를 설명하시오. 326
4. EMP(Electro Magnetic Pulse)의 개념과 방호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28
5. 레이다(Radar)에서 최대 탐지거리의 증가 및 최소 탐지거리의 감소를 위한
기술적 대책과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332
6. 이동통신의?전파전파(Radio?Wave?Propagation)?특성에?대하여?설명하시오. 335
2016년 110회 3교시
1. Duplexer의 기능 및 구조, In-Band Full Duplex와 Hybrid Duplex 기술의 개념에 대하여 337
2.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과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을 비교 340
3. IMT-2020(5G) 후보기술인 저지연 고신뢰(Low Latency High Reliability)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술적 이슈대하여 논하시오. 344
4. 무선전력전송기술의 개념, 기술방식 및 향후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에 대하여 347
5.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전파교란 원리와 기술적 대응방안 351
6. 광섬유 케이블의 설치공사시 필요한 시험의 종류 및 측정방법을 설명하시오. 355
2016년 110회 4교시
1. Cloud Computing의 특징, 보안 위협요소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63
2. 사물인터넷 아키텍처 및 응용계층 프로토콜 3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365
3. 정보통신공사 시공감리 최종보고서에 포함되는 산출물의 종류 및 내용에 대하여 368
4. 재난망 구성요소, 표준화 동향, 주요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75
5. 지상파 UHDTV 전송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78
6. u-City와 Smart City의 개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383
2017년 111회 1교시
1. SHVC(Scalable HEVC) 392
2.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394
3. 고속도로 톨게이트 전자요금징수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구성요소 396
4. 광섬유증폭기 EDFA(Erbium Doped Fiber Amplifier) 398
5.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400
6.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402
7. 이동통신망 가입자 구간의 무선품질을 확인하는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와 Ic/Io 404
8. 위성통신용 트랜스폰더(Transponder)에서 주파수를 변환하는 이유 406
9.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정보통신설비 감리대상의 공사범위 408
10. 다단증폭기에서 저잡음 증폭기가 필요한 이유 409
11.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s) 410
12. cdma2000 1x EV-DO(Evolution-Data Only)의 특성 413
13. Dense?HetNet(Heterogeneous?Network) 415
2017년 111회 2교시
1. 인터넷 QoS 보장구조에서 통합서비스(Integrated Services)와 차등서비스
(Differentiated Services)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두 모델의 차이점을 비교하시오. 417
2. 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실시설계 단계에서 시공도면 작성 시 기준 사항을 기술하시오. 420
3. 급증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소형셀에서의 간섭현상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오. 442
4. Smart Car의 개념, 요소기술 및 보안 위협요소에 대해 기술하시오 425
5.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방법의 문제점과
SBAS(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도입 방안을 기술하시오. 428
6. 모바일IP의 마이크로 이동성 지원 방안들을 설명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시오. 431
2017년 111회 3교시
1. 무선팬(WPAN)시스템에서IEEE802.15.1, IEEE802.15.3 및IEEE802.15.4를 서비스 범위,
통신 속도, 음성지원 및 전력관리 측면에서 비교 기술하시오. 435
2.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사무실에서 WiFi 서비스를 위하여 무선 AP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도, 보안설정 및 인터넷 접속여부 확인방법을 기술하시오. 437
3. IS-IS(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 기술하시오. 439
4. MHN(Mobile Hotspot Network) 이동무선 백홀의 개념, 특징 및 주요기술을 설명하시오. 442
5. 사업용 방송통신설비 중 옥외설비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사항 445
6. 데이터 속도가 100[Mbps]이고 비트오율이 이하를 가지는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통신시스템에서 반송주파수가 28[GHz]인
신호의 출력 값이 100[mW] 일 때 상온 25[°C]에서 최대 전송거리[m]를 산출하시오. 447
2017년 111회 4교시
1. 무선 인지(CR)기술에 필요한 스펙트럼감지(Spectrum Sensing) 기술에 대한 정의와 감지방법 449
2.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SAN(Storage Area Network)에 대해 기술하시오. 452
3.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지능정보기술의 개념, 특징 및 추진 전략 454
4. 도로터널에 설치되는 방송·통신설비를 설명하고, 재난 발생 시 활용방안 456
5. 전송선로에서 진행하는 전자파의 종류를 설명하고, TEM(Transverse Electromagnetic Mode)
파가 존재할 수 있는 전송 선로의 세 가지 형태를 기술하시오. 459
6. 사물인터넷(IoT) 단말의 접속을 위한 LPWA(Low Power Wide Area)에 대해 기술하시오. 464
2017년 113회 1교시
1.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470
2. Bluetooth Low Energy 472
3.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474
4. 설계 VE (Value Engineering) 수행절차 476
5.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HDR(High Dynamic Range) 478
6..딥러닝(Deep Learning) 480
7. OQPSK (Offset QPSK) 482
8. 구내 정보통신설비 종류 483
9. 위성통신의 대기감쇠 주요 원인 485
10..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음성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대책 487
11. 일반봉 접지, XIT 접지 및 고강도 접지판 비교 설명하시오. 489
12. VSWR(Voltage Standing Wave?Ratio) 491
13. 정보통신공사 설계 시 재난 및 안전에 관한 고려사항 493
2017년 113회 2교시
1. IPv6의 주요 특징과 IPv4에서 IPv6로의 전환 기술을 설명하시오. 494
2. 인공지능 기반 음성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주요 기술을 설명하시오. 497
3. LTE(Long Term Evolution)와 PS-LTE(Public Safety-LTE)의 차별화 요소 500
4. 지능형 스마트 빌딩 내 설치되는 대상 시설을 분류하고, 시스템 통합 방법과 기능 504
5. 광케이블 중계거리 산정 방법 및 포설 공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509
6. 정보통신공사 사용전 검사제도의 목적, 검사대상 및 처리절차를 설명하시오. 512
2017년 113회 3교시
1.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과 LoRa(Long Range)기술을 비교 설명하시오. 515
2. 무선랜 구축시 고려사항과 IEEE802.11ac 주요 기술을 설명하시오. 518
3. 5G 이동통신 서비스의 도입 필요성 및 성능지표 중에서 체감 전송률
과 종단 간 지연(End-to-End Latency)에 대해 설명하시오. 521
4.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 및 서비스 방식 524
5. 정보통신공사의 기본설계와 실시설계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보편적 설계 성과물 527
6. 철도통신설비 중 열차무선설비에 대해 설명하시오. 531
2017년 113회 4교시
1.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에 의한 정보통신설비 감리비 적산체계를 설명하시오. 535
2. 빅데이터(Big Data) 분석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오. 537
3. 정보통신망 망분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541
4. 위성통신시스템 구성요소 및 다중 접속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544
5. 신축업무용 빌딩 내 FM,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수신설비 설계 시
고려 사항을 설명하시오. 549
6.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3.0에 대해 설명하시오. 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