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척추.관절 도침치료가 정답이다](/img_thumb2/979118731086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허리/디스크/척추/통증
· ISBN : 979118731086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4-2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유착을 치료하는 도침요법! 척추관절치료의 미래입니다 004
INTRO 만인의 괴로움 만성척추관절질환, 원인이 무엇일까요
● 만성척추관절질환의 원인은 유착입니다 017
● 도침은 고대 칼 모양의 침에서 유래했습니다 024
● 해외 의사들도 그 효과를 인정해 배워가는 도침요법 029
CHAPTER 1 허리협착증의 도침치료
1 허리협착증 이해하기
1) 허리협착증은 약해진 허리를 지키기 위한 우리 몸의 생존전략입니다 036
2) 척추관협착증은 왜 발생할까요? 042
3) 최근 증가하는 여러분절협착증에 적합한 치료는 무엇일까요? 047
4) 당신도 일자허리? 허리에도 관상이 있어요 051
5) 굽은 허리도 펼 수 있나요? 058
6) 밤에 쥐가 많이 나는데 허리협착증과 관련이 있을까요? 062
7) 허리협착증은 MRI 결과만이 아니라 증상에 따라 구분해야 합니다 067
8) 허리협착증은 증상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 합니다 070
9) 결국 허리협착증 치료를 위해서는 뼈를 튼튼히 해야 합니다 076
10) 허리협착증 시술이 부담 됩니다 081
11) 방법이 수술밖에 없답니다 087
2 도침으로 치료하기
1) 스테로이드보다 좋은 도침요법 094
2) 도침요법으로 치료하는 허리부위의 주요 인대들 101
3) 척추수술 후 통증관리에도 도침요법이 좋습니다 107
4) 고령자의 척추관협착증은 10종 요통 중 ‘신허요통’과 비슷 합니다 113
5) 허리가 무겁게 아픈 ‘담음요통’, 끊어질 듯 아픈 ‘습열요통 ’ 117
6) 그 외의 10종 요통들_한약이 꼭 필요한 협착증 유형 121
7) 척추관협착증이 있다면 지켜야 할 생활자세 10가지 126
8) 허리협착증을 관리하는 ‘매켄지 신전운동’과 ‘코어운동’ 132
9) 태극권에서 찾은 허리협착증을 위한 자세 138
10) 허리협착증도 음식이 중요 합니다 141
11) 운동과 음식 외에 중요한 생활습관 144
CHAPTER 2 무릎관절염의 도침치료
1 무릎관절염 이해하기
1) 무릎을 잘 관리하려면 연골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합니다 153
2) 연골 말고, 무릎관절염의 또 다른 원인은 유착입니다 156
3) 50대 여성은 특히 무릎관절 건강에 신경 써야 합니다 161
4) 젊은 무릎관절도 비상입니다 164
5) 내과적 요인도 무릎관절염에 영향을 미칩니다 169
6) 소화기가 좋지 않은 환자는 무릎관절염 치료가 더욱 어렵 습니다 173
7) 근육이 빠지는 무릎관절염은 특별한 관리가 필요 합니다 177
8) 연골주사를 맞았는데도 무릎관절염이 낫지 않습니다 182
9) 무릎관절염엔 꼭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아야 할까요? 187
10) 비수술 도침치료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이유 2가지 193
2 도침으로 치료하기
1) 미국류마티스학회도 권하는 침치료 199
2) 무릎관절염 치료의 대표주자가 될 도침치료 204
3) 무릎관절 각도를 개선하세요 211
4) 무릎관절염의 퇴행을 막는 데 골밀도 강화는 매우 중요 합니다 215
5) 《동의보감》이 추천하는 무릎관절염에 좋은 음식 218
6) 무릎관절염에 좋은 운동 221
CHAPTER 3 도침요법으로 치료하는 기타 척추관절질환
1 원인도 부위도 다양한 허리 통증
1) 젊을 때부터 나타나는 만성허리통증 233
2) 예비 협착증과 허리디스크에는 도침치료가 좋습니다 239
3) 디스크를 이겨내는 건강한 허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 합니다 245
4) ‘끊어질 듯한’ 허리통증, 척추전방전위증 250
5) 퇴행성척추전방위증의 도침치료 254
6) 강직성척추염은 ‘평생치료’가 필요 합니다 259
7) 도침요법은 강직성척추염의 관절강직을 해결 합니다 263
8) 압박골절이 회복됐는데도 통증이 있다면 도침치료를 받아보세요 267
9) 척추가 휘어가는 중 고등학생의 측만증에도 도침치료가 좋습니다 270
2 젊을 때 앓기 쉬운 목디스크
1) 10대부터 시작되는 목디스크, 피할 수 없는 스마트폰 부작용 276
2) 목디스크에 효과적인 도침치료 281
3) 일자목이 원인인 경추성두통 286
4) 오십견에도 도침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289
5) 충돌증후군을 치료하면 어깨통증이 호전 됩니다 294
6) 오래된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도 치료해야 합니다 299
3 우리 몸의 이동 동력 골반과 다리
1) 대퇴골두무혈성괴사 304
2) 족저근막염 313
저자소개
책속에서
만성척추관절질환의 원인의 유착입니다.
도침요법으로 치료를 시작한 후 많은 환자들이 먼저 도침치료를 받은 지인의 소개를 통해 본원을 찾았습니다. 저를 만나고 대부분의 환자들이 하는 첫 질문은 “도대체 도침요법이 뭐예요”입니다. 그리고 도침요법으로 통증이 치료되는 원리도 궁금해합니다. 그러면 저는 도침은 고대의 침이 현대화된 형태로, 통증은 유착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끝이 미세한 칼날 모양인 도침으로 유착을 풀어내면 즉시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합니다. 그럼에도 환자가 갖는 생소함과 의구심은 쉽게 사라지지 않다가 이후 치료실로 안내되어 실제 도침치료를 받고 나서는 도침이 이렇게 효과가 좋으냐며 깜짝 놀랍니다. 도침에 진통물질이 묻어 있느냐고 묻는 환자도 있었습니다.
요즘은 만성근골격계질환 시대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도 그럴 것이, 고령화로 인해 허리협착증과 무릎관절염 환자가 급격히 증가했고,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 일자목 변형과 목디스크 환자도 너무나 많아졌습니다. 한의원에서 진료를 하다 보면 세상에 아픈 사람이 이렇게 많구나, 생각하게 됩니다. 만성근골격계질환은 세월과 습관이 누적되어 생기는 병으로, 심한 통증을 동반합니다. 견디기 힘든 통증, 한마디로 질환이 있음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주는 통증은 대체 왜 생기는 걸까요.
스테로이드보다 좋은 도침치료
허리협착증을 도침으로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구체적이고 명확합니다.
첫 번째, MRI상 척추관협착이 진행됐다고 해서 모두 병은 아닙니다. 즉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협착부위는 치료대상이 아니에요.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게 하는 증상만 치료하고 나머지는 운동으로 해결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도침요법은 절개 없이 침치료를 통해 증상을 일으키는 협착부위만 콕 집어 치료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치료 후 회복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증상부위만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허리협착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허리통증, 다리저림, 발바닥 감각이상은 유착으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근육과 인대가 딱딱하게 굳어진 상태인 유착을 풀어주는 데는 미세한 칼날 모양의 도침요법이 효과적입니다.
세 번째, 허리협착증을 치료할 때는 수명연장을 고려해 100세까지 튼튼한 척추를 만들겠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이것이 모든 치료가 ‘척추 전체를 튼튼하게 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하는 이유입니다. 도침으로 유착을 풀어주고 추나치료 등을 통해 척추정렬을 바르게 해주면 척추 전체의 구조가 좋아져 튼튼한 척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네 번째, 허리협착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은 허리뿐 아니라 ‘내과적 상태’가 불량할 때 더욱 심해지고 재발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한약처방 등의 한의학적 치료는 내과적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10대부터 시작되는 목디스크, 피할 수 없는 스마트폰 부작용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목디스크(경추디스크)로 불리는 ‘경추간판장애’ 진료 인원은 2010년 69만 9858명에서 2015년 86만 8729명으로 24.3% 증가했고, 총 진료비는 1666억 원에서 2260억 원으로 35.6% 증가했다고 합니다. 어떤 근골격계질환과 비교해도 급격한 증가 속도입니다. 특히 10대의 어린 나이부터 발병할 정도로 발병 연령이 낮은 질환입니다.
이렇듯 시간이 지날수록 목디스크 질환을 앓는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스마트폰입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기위해 고개를 숙인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서 목에 부하되는 무게가 급격히 증가해 목뼈의 퇴행을 가속화시킵니다. 본원에도 목통증을 호소하며 찾아오는 환자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이런 분들의 목뼈를 만져보면 중년층은 목통증이 심해도 목뼈가 건강한 ‘C’자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 데 반해, 10~20대는 증상과 별개로 ‘일자목’이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목뼈가 건강하게 뒤로 살짝 구부러진 ‘C’자 형태를 갖지 못하고 자꾸 앞으로 숙여지면서 일자로 펴져 무리가 가 있는 상태이지요. 현재 40대만 해도 성장기에 스마트폰을 사용한 세대가 아니어서 일자목 정도는 훨씬 덜합니다. 이를 보면 성장기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목뼈에 얼마나 크게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라면 앞으로도 목디스크를 비롯해 일자목으로 인한 경추성두통 등 목뼈 관련 질환을 앓는 환자는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고 연령도 점점 어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의학의 역할이 더더욱 강조돼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저 또한 관련 연구를 계속하면서 적절한 치료법을 발전시켜나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