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

김현덕 (지은이)
애니프린팅
1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5,000원 -0% 0원
3,450원
111,550원 >
115,000원 -0% 0원
0원
11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9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예방 치과학
· ISBN : 9791187929123
· 쪽수 : 934쪽
· 출판일 : 2021-10-30

책 소개

건강론과 역학 및 통계학으로 건강과 구강건강의 개념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현대 과학적 방법론의 초석인 역학적 방법론을 구강역학자의 의무감으로 제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한 방법론인 통계학을 포함하였다.

목차

1부 건강론과 역학 및 통계학

제1장 건강과 구강건강 및 질병의 정의
1. 건강과 구강건강 4
1.1 건강의 개념 4 | 1.2 구강건강의 개념 6 | 1.3 질병 및 구강병의 개념 7
1.4 건강 관리의 책임 9 | 1.5 삶의 질의 개념 10
2. 구강건강과 구강병의 위험요인과 결정요인 12
2.1 위험요인과 결정요인의 개념 12 | 2.2 구강건강모형 16
2.3 구강병의 위험요인 결정요인 관리 19

제2장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의 개념과 활용
1.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의 개념 22
1.1 치학의 탄생 22 | 1.2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의 개념 24
2.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의 활용 26
2.1 질병 발생단계와 예방대책 26
2.2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의 내용 29
2.3 공중구강보건전문의와 예방치학자의 역할 30
2.4 우리나라 예방치학과 공중구강보건학의 미래 31

제3장 역학의 기본원리
1. 역학의 정의와 발전 36
1.1 역학의 정의와 특성 36 | 1.2 역학의 발전 37 | 1.3 역학의 활용 40
2. 질병과 위험요인 및 원인적 연관요인 43
2.1 질병의 위험요인 43 | 2.2 원인적 연관성 44

제4장 역학 연구의 자료
1. 보건지표 52
1.1 지표의 개념 52 | 1.2 율과 비 52 | 1.3 이환지표 53
2. 역학 자료의 수집 58
2.1 일차 자료 및 이차 자료 58 | 2.2 표본조사의 정의와 특성 60
2.3 표본추출 61 | 2.4 표본조사의 종류와 방법 62
3. 구강보건지표 65
3.1 주관적 건강지표 65 | 3.2 구강상병지표 66
3.3 구강보건행태지표 68
4. 공중구강보건감시 71
4.1 공중구강보건감시의 정의와 활용 71 | 4.2 수동감시와 능동감시 72

제5장 연구의 타당도와 바이어스
1. 연구의 타당도 76
1.1 표적집단과 표본 76 | 1.2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 76
2.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80
2.1 변수와 측정의 정의 80 | 2.2 측정방법과 특성별 변수 81
2.3 타당도의 평가 82 | 2.4 신뢰도의 평가 84
3. 연구결과의 삐뚤림 88
3.1 오류와 삐뚤림 88 | 3.2 바이어스의 발생 89
3.3 바이어스의 종류 90 | 3.4 바이어스의 제거 96

제6장 역학연구의 기본분류 및 연관성
1. 역학적 연구 방법의 분류 102
1.1 관찰연구와 실험연구 103 | 1.2 기술연구와 분석연구 105
2. 역학연구의 해석 111
2.1 연관성과 인과적 연관성 111 | 2.2 원인분율과 인구집단원인분율 114
3. 연구의 윤리 117
3.1 관찰 연구의 윤리 117 | 3.2 실험 연구의 윤리 119

제7장 역학연구의 설계방법
1. 연구설계의 기본원리 124
1.1 연구가설의 설정 124 | 1.2 연구자료의 시점 126
1.3 연구자료의 방향성 126
2. 단면연구 128
2.1 단면연구의 정의와 특성 128 | 2.2 단면연구의 분석 129
2.3 단면연구의 장단점 130
3. 환자-대조군연구 133
3.1 환자-대조군연구의 정의와 특성 133
3.2 환자-대조군연구의 분석 135 | 3.3 환자-대조군연구의 장단점 136
4. 코호트연구 138
4.1 코호트연구의 정의와 특성 138 | 4.2 코호트연구에서의 분석 140
4.3 코호트연구의 장단점 142
5. 생태(학)적 연구 144
5.1 생태적 연구의 특성 및 장단점 144
6. 혼합설계연구 146
6.1 코호트 기반의 환자-대조군연구 146
6.2 환자-교차설계연구 147 | 6.3 패널연구 147
7. 임상시험 149
7.1 임상시험 설계 149 | 7.2 임상실(시)험의 비교군 151
7.3 눈가림법과 무작위배정 153 | 7.4 임상시험의 단계 154
8. 선별검사와 진단검사 155
8.1 선별검사와 진단검사의 특성 155 | 8.2 선별검사와 진단검사의 수행 156
8.3 선별검사와 진단검사의 평가 156

제8장 인간대상 추가 역학연구방법
1. 지역사회시험 160
1.1 지역사회시험의 정의 및 특성 160 | 1.2 지역사회시험의 수행 161
2. 분자역학 162
2.1 분자역학연구의 개념 및 특성 162 | 2.2 분자역학의 방법 및 장점 163
3. 사회역학 165
3.1 사회역학의 개념 및 특성 165 | 3.2 사회역학의 방법 166
4. 감염역학 167
4.1 감염역학의 특성 167 | 4.2 감염역학의 해석과 관리 169
5. 환경 및 직업역학 172
5.1 환경 및 직업역학의 개념 및 특성 172
5.2 환경 및 직업역학의 노출 평가 174
5.3 환경 및 직업역학의 건강영향 평가 175
5.4 환경 및 직업역학연구의 수행 177

제9장 근거중심 구강보건의료
1. 근거중심 구강보건의료의 개념과 근거의 수준 180
1.1 근거중심 구강보건의료의 개념 180 | 1.2 근거의 수준 181
1.3 근거중심의료의 방법론 182 | 1.4 메타분석(meta analysis) 183
2. 근거중심 구강보건의료의 활용 186
2.1 문헌검색과 활용 186 | 2.2 임상진료지침 189
2.3 치학논문의 비판적 검토 191

제10장 실용 통계분석
들어서며: 통계학의 역사적 배경 200
1. 통계 활용의 기본 개념 204
1.1 변수의 개념과 분류 및 대표값 205
1.2 모수통계분석과 비모수통계분석 211 | 1.3 통계적 추론과 유의성 검증 213
2. 표본수의 추정 217
2.1 비율 추정 시 표본수 218 | 2.2 연속변수 지표의 표본수 221
3. 연구설계별 통계분석법 227
3.1 단면연구 227 | 3.2 환자-대조군연구 228 | 3.3 코호트연구 228
3.4 실험 연구 229 | 3.5 동물실험 연구 229
4. 기본 통계분석법 231
4.1 단일표본 분석법 233 | 4.2 독립 표본 간 분석법 234
4.3 회귀분석법 238 | 4.4 관련표본(related samples) 분석법 242
4.5 비모수통계분석법 247 | 4.6 진단검사분석법 251 | 4.7 메타븐석 252
5. SPSS를 활용한 통계분석법의 실제 256
5.1 기본개념 분석 256 | 5.2 자료변환과 표본수 추정 및 T-test 276
5.3 Chi-square test 306 | 5.4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326
5.5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 338
5.6 로지스틱/푸아송 회귀분석(logistic/Poisson regression analysis) 358
5.7 연관표본분석 370 | 5.8 비모수통계분석(non-parametric test) 387
5.9 메타분석(meta analysis) 398

2부 구강병의 관리 및 예방

제11장 구강병의 관리
1. 구강병 관리의 원리와 원칙 418
1.1 구강병 관리의 원리 419 | 1.2 구강병 관리의 원칙 422
1.3 계속구강건강관리 424 | 1.4 위험요인관리법-임상적 개인진료 425
1.5 결정요인조절법-공중보건적 집단 관리 427
2. 미래의 구강병 관리 432
2.1 타액 진단 432 | 2.2 웹기반 구강진료(web-based dentistry) 439

제12장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의 연관성
1. 구강건강과 감염 444
1.1 구강보건과 감염 444 | 1.2 구강 진료에서 국소감염설의 쇠퇴 447
1.3 전신질환과 치주질환 448
2. 심혈관계질환과 치주염 451
2.1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과 치주염 451 | 2.2 심혈관계질환과 치주염 452
2.3 치주염-심혈관계질환의 생물학적 기전 454
3. 기타 전신질환과 구강건강 457
3.1 대사증후군 457 | 3.2 암과 치주염 458
3.3 뇌기능장애와 치주염 459 | 3.4 골다공증과 칼슘 및 비타민 D 459
4 공통위험요인관리법 461
4.1 구강병과 전신질환의 공통위험요인 461
4.2 공통위험요인관리법 462

제13장 우식증의 예방
1. 치아우식증의 정의 474
1.1 양대구강병 474 | 1.2. 치아우식증의 정의 475
2. 치아우식증의 기전 477
2.1 법랑질 우식증 478 | 2.2 상아질 우식증 480
3. 치아우식증의 진단 482
3.1 세계보건기구 진단기준(WHO guideline) 483
3.2 국제우식평가 진단기준(ICDAS guideline) 486
4. 치아우식증의 역학 489
4.1 우식증의 지표 489 | 4.2 우식증의 분포 491
5. 치아우식증의 위험요인 496
5.1 구강세균과 발효성 탄수화물 496 | 5.2 타액과 우식증 498
6. 불소와 치아우식증 504
6.1 불소의 특성 504 | 6.2 불소도포법 506
6.3 불소의 우식예방기전 511
7.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515
7.1 역사적 배경 515 | 7.2 치아불소증(dental fluorosis) 517
7.3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water fluoridation) 519
7.4 수불사업의 중단 522
8. 식염불소농도조정사업과 우유불소농도조정사업 525
8.1 식염불소농도조정사업(salt fluoridation) 525
8.2 우유불소농도조정사업(milk fluoridation) 526 | 8.3 불소보충제 527
9. 식이와 치아우식증 529
9.1 비페호름(Vipeholm) 연구 529 | 9.2 호프우드(Hopewood) 연구 531
9.3 스테판 곡선 532 | 9.4 설탕대용감미료 533
9.5 간식의 변화와 식이조절 534
10. 치면열구전색 539
11. 우식증위험요인관리법(DCAMBRA) 542

제14장 치주병의 예방
1. 치주병의 정의 548
1.1 치주조직 548 | 1.2 치주병의 정의 549
2. 치주염의 기전 551
2.1 치주세균의 치주조직 내 침입 552
2.2 치주 감염과 면역의 균형 552 | 2.3 치주염 발생 기전의 차단 554
3. 치주병의 진단 556
3.1 치주병의 자가 진단 556 | 3.2 치주병의 전문가 진단 558
4. 치주병의 역학 566
4.1 치주병의 세계적 분포 566 | 4.2 한국인에서 치주병의 분포 567
5. 치주염의 위험요인 571
5.1 치면세균막 572 | 5.2 치주세균 575 | 5.3 면역 반응 578
5.4 치면세균막 관리 580 | 5.5 치면세균막의 평가 588
5.6 전신적 요인 592 | 5.7 행동요인 599
6. 치주염위험요인관리법(PEMBRA) 607

제15장 구강보건용품
1. 잇솔 616
1.1 잇솔의 역사 617 | 1.2 추천 잇솔 618
2. 세치제 620
2.1 역사적 배경 620 | 2.2 불소 세치제 621
2.3 세치제의 주요성분 622 | 2.3 세치제의 추천 625
3. 이실과 이사이솔: 잇몸병 예방 627
3.1 이실 627 | 3.2 이사이솔 629
4. 구강양치액 632
4.1 구강 세정제 633 | 4.2 구강 세정제의 효과 634
4.3 올바른 양치법 635

제16장 주요 구강병의 예방 및 관리
1. 구강암 640
1.1 정의 및 역학적 특성 640 | 1.2 구강암 위험요인 및 기전 642
1.3 구강암의 예방 및 관리 644 | 1.4 구강암의 검사 645
1.5 구강암의 진단 및 치료 648
1.6 구강암위험요인관리법(OCAMBRA) 649
2. 치아부식증 652
2.1 치아부식증의 정의 652 | 2.2 치아부식증의 진단 및 분류 653
2.3 치아부식증의 역학 및 위험요인 655
2.4 치아부식증의 관리 656 | 2.5 치아부식증위험요인관리법 658
3. 치아경부마모증 661
3.1 치아경부마모증의 정의 및 기전 661
3.2 치아경부마모증의 진단기준 662
3.3 치아경부마모증의 역학적 특성 및 원인 662
3.4 치경부마모증위험요인관리법 664
4. 치아교모증 667
4.1 교모증의 정의 및 기전 667 | 4.2 치아교모증의 진단 및 역학 667
4.3 치아교모증의 역학적 특성 및 위험요인 668
4.4 치아교모증위험요인관리법 669
5. 구취 672
5.1 구취의 정의 및 역학적 특성 672 | 5.2 구취의 원인별 분류 673
5.3 구취 진단 674 | 5.4 구취의 위험요인 및 진료 677
5.5 구취위험요인관리법 678
6. 구강건조증과 저타액증 681
6.1 구강건조증과 저타액증의 정의 683 | 6.2 타액유출의 기전 684
6.3 구강건조증과 저타액증의 진단 및 역학 685
6.4 구강건조증과 저타액증의 위험요인 및 진료 689
6.5 구강건조증과 저타액증 위험요인관리법 691
7. 상아질 지각과민증 694
7.1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정의 694 | 7.2 진단 및 역학적 특성 694
7.3 상아질 지각과민의 기전 및 치료 695
7.3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관리 696
8. 외상성 구강손상 699
8.1 외상성 구강손상의 정의 699 | 8.2 외상성 구강손상의 역학 699
8.3 외상성 구강손상의 예방과 관리 700
9. 저작장애 703
9.1 역학 및 진단 703 | 9.2 저작장애의 위험요인 705
9.3 저작장애의 관리 706
10. 임플란트 주위염 710
10.1 임플란트 주위염의 정의 710
10.2 임플란트 주위염의 역학적 특성 및 위험요인 711
10.3 임플란트 주위염의 관리 713

3부 공중구강보건과 사회보장

제17장 공중구강보건과 사회보장
1. 구강보건의료의 개념 및 특성 722
1.1 보건의료의 개념 및 특성 722
1.2 구강보건의료관리의 개념 및 특성 725
2. 구강보건의료전달체계 727
2.1 구강보건의료체계의 목표 및 구성요소 728
2.2 우리나라의 구강보건의료체계 731
3. 보건의료행정과 구강보건의료행정 734
3.1 중앙보건행정조직 734 | 3.2 지방보건행정조직 736
3.3 우리나라의 민간 의료기관 738 | 3.4 의약분업과 대체의학 및 한의학 740
4. 구강보건의료정책 744
4.1 구강보건의료정책의 정의 및 특성 744
4.2 구강보건의료 정책과정 746 | 4.3 구강보건의료정책 참여자 747
4.4 구강보건의료정책과 치과의사의 역할 749
5. 구강보건의료 인력 및 시설 751
5.1 구강보건의료 인력 751 | 5.2 구강보건의료기관 757
6. 구강보건의료의 질 관리 759
6.1 의료 질의 정의와 구성요소 759
6.2 구강보건의료의 질 개선을 위한 제도적 접근 760
7. 진료비 보상제도 763
7.1 진료비 보상제도의 분류 763 | 7.2 진료비 보상제도의 비교 765
7.3 진료비 지불제도별 현황 766 | 7.4 우리나라의 진료비 지불제도 767

제18장 구강보건의료보장
1. 사회보장 770
2. 의료보장 772
2.1 의료보장의 개념 및 역사 772
3.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775
3.1 건강보험의 운영 775 | 3.2 건강보험의 치과급여 783
4. 우리나라 의료급여제도 784
4.1 의료급여의 목적 및 현황 784 | 4.2 의료급여의 범위 및 본인부담금 786
4.3 의료급여의 재원 및 진료비 지불방법 787

제19장 산업구강보건
1. 산업구강보건의 역사와 기본개념 790
1.1 산업보건 및 산업구강보건의 역사 790
1.2 산업구강보건의 정의, 목표와 필요성 791
1.3 산업재해의 정의 및 이론적 특성 792
1.4 산업재해의 관리와 산업재해보상보험 795
2. 산업 보건사업과 구강보건사업 798
2.1 작업환경 관리 798 | 2.2 치아부식증의 작업환경 관리 800
2.3 근로자 건강진단과 구강건강진단 801
2.4 보건관리대행 803 | 2.5 직업성 구강병 감시체계 804
3. 직업성 치아부식증의 관리 812
3.1 직업성 치아부식증의 정의 분류 및 진단 814
3.2 법정 직업성 치아부식증의 현황 및 역학적 특성 816
3.3 법정 직업성 치아부식증의 예방과 치료 및 관리 820
3.4 효율적 치아부식증 관리 시스템 구축 823

제20장 지역사회 구강보건과 구강건강증진
1. 지역사회치학과 일차구강보건의료 840
1.1 지역사회치학의 개념 840 | 1.2. 지역사회구강보건의료의 기본원리 841
2.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 844
2.1 구강건강증진의 개념과 전개수준 844
2.2 건강증진사업 모형 845 | 2.3 구강건강증진사업 847
2.4 구강보건교육 850
3. 지역사회구강보건사업의 기획 수행 및 평가 859
3.1 지역사회구강보건사업 기획과정 860
3.2 지역사회구강보건사업의 목표 및 실행 868
3.3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평가 871
3.4 지역사회의 참여와 치과의사의 역할 875
4. 지역구강보건사업의 실례 877
4.1 영유아 및 모자 구강보건사업 877
4.2 아동 청소년 대상 학교 구강보건사업 879
4.3 군인 대상 군대 구강보건사업 881
4.4 성인 대상 사업장 구강보건사업 884
4.5 노인 대상 보건소 구강보건사업 884
4.6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884 | 4.7 방문 구강보건사업 886
4.8 구강보건증진 기반사업 887

제21장 노인 구강보건사업
1. 지역사회 노인 구강보건 현황분석 892
1.1 지역사회 노인 구강보건 현황 파악 892
1.2 지역사회 노인구강보건조사의 기본내용 893
2. 지역사회 노인 구강건강조사 896
2.1 노인 구강건강조사의 준비 896
2.2 구강검진표 및 설문조사표의 작성 897 | 2.3 조사자 훈련 905
2.4 IRB 심의 및 동의서 906
3. 목표 및 우선순위 결정 908
3.1 조사 자료의 분석 및 비교 908 | 3.2 우선순위의 결정 908
3.3 목표 설정 및 달성방안 909
4. 사업수행 912
4.1 노인 구강건강증진 활동 912
4.2 구강건강문제 위험요인 관리법의 적용 914
5. 노인구강보건사업의 평가 및 환류 916
5.1 노인구강보건사업의 평가 916
5.2 노인구강보건사업 결과의 환류 919

제22장 국제구강보건과 통일구강보건
1. 국제구강보건의료 922
1.1 국제보건의료의 개념과 역사 922
1.2 공중보건위기상황 대비 및 대응 923
1.3 우리나라의 국제보건의료 활동 924
1.4 세계보건기구의 구강보건 활동 925
2. 통일구강보건의료 927
2.1 남북한 보건의료체계의 현황 927
2.2 남북한 구강보건의료 협력 체계 928
3.3 남북 공동 구강보건의료체계 930

찾아보기 934

저자소개

김현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교수(예방 및 사회치학 교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경기도 강화군 보건소에서 공중보건치과의사로 근무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예방치학 및 공중구강보건학을 전공, ‘직업성 구강병’ 연구로 치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미국 하버드 치과대학 구강정책 및 역학 교실에서 ‘아말감의 수은 독성’ 및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과 골육종의 관련성’에 대한 역학 연구를, 노스캐롤라이나 치과대학 치주과에서 ‘치주염과 전신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분자역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부학장 및 주임교수를 역임하고, 대한임상예방치의학회 회장, 그리고 Korean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KSCI)의 부편집장 및 Journal of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SCI) 편집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까지 250편 이상의 논문과 강연 초록 및 책을 발표하였고, 현재는 ‘타액을 이용한 치주염 신속진단도구 개발’과 ‘성북구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에 대한 연구를 정부 지원을 받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 김현덕(편저). 구강보건역학 연구방법론. 여수: 서울출판사, 2011. 김현덕(공저). 임상예방치학 5판. 서울: 고문사, 2011. 김현덕(공저).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서울: 계축문화사, 2015. 김현덕(공저). 보건의료관계법규. 서울: 정문각, 2009. 김현덕(공저). 직업환경의학. 서울: 계축문화사, 2014.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