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안과
· ISBN : 9791188141111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19-01-25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안경과 렌즈의 역사
1. 안경(眼鏡)
2. 렌즈(lens)
3. 안경과 렌즈의 역사
3.1 광학에 대한 인류의 접근
3.2 천연 광물의 이용
3.3 광학용 렌즈의 이용
3.4 최초의 안경 탄생
3.5 안경의 보급
3.6 초기 착색렌즈(tinted glasses)
3.7 최초의 착색 렌즈 장착 안경의 출현
3.8 선글라스 상용화
Chapter 02 렌즈의 구성요소
1. 렌즈 면이 구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이유
2. 렌즈의 기본 형태
3. 구면렌즈
4. 렌즈의 광학정수
5. 비구면렌즈
5.1 회전 대칭형 비구면렌즈
5.2 회전 비대칭형 비구면렌즈
Chapter 03 안경렌즈의 재료와 제조법
1. 유리렌즈
1.1 유리(琉璃, glass) 란?
1.2 유리의 구조
1.3 유리의 형성 물질
1.4 광학유리
1.5 광학유리의 종류와 조성
1.6 광학유리의 굴절률과 분산
1.7 흡수(absorption)와 분산(dispersion)
1.8 유리 생지렌즈(blank lens)의 제조
1.9 유리렌즈 가공
2. 유리렌즈 표면처리(surface treatment)
3. 유리렌즈의 강화(strengthening)
4. 플라스틱 렌즈
4.1 플라스틱의 분류
4.2 플라스틱 렌즈의 일반적인 성질
5. 플라스틱 렌즈의 발달
5.1 렌즈 재료의 특성
5.2 안경렌즈의 표면처리
5.3 안경렌즈의 디자인과 자유형상 가공기술
5.4 안경렌즈의 공급방식
5.5 플라스틱 안경렌즈 재료
5.6 플라스틱렌즈의 요구 특성
5.7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특성 열화
5.8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고굴절률화
6. 최신 기술 동향
7. 플라스틱 렌즈의 기능성 표면처리
7.1 착색
7.2 하드코팅
7.3 UV차단처리
7.4 반사방지막코트
7.5 발수처리
7.6 내충격성막코트
8. 렌즈의 투과성
8.1 표면반사
8.2 흡수
8.3 산란
9.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법
9.1 사출성형법(injection molding)
9.2 주조법(casting)
9.3 회전주조법(spin casting)
9.4 열간 압축성형법(thermal press)
9.5 압출성형(extruding)
9.6 카렌다·롤 전사가공법(calendar-rolling)
9.7 광중합법(photopolymerization process)
Chapter 04 안경 렌즈의 발전
1.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High index plastic lens)
1.1 고굴절률 렌즈와 일반 렌즈의 차이점
1.2 고굴절률 렌즈의 장점
1.3 고굴절률 렌즈 선정
1.4 고굴절률 렌즈와 반사방지 박막 코팅
2. 고충격저항성 렌즈
2.1 충격저항성
2.2 내구성
2.3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렌즈
2.4 트라이벡스(Trivex)렌즈
2.5 엑스아이알엠(Xirm)렌즈
2.6 트라이벡스(Trivex)의 폴리카보네이트와 차이점
2.7 긁힘 저항성(scratch Protection)
3. 조광렌즈(Photochromic Lens)
3.1 유리제 조광렌즈
3.2 플라스틱제 조광렌즈
3.3 조광렌즈 제품
3.4 조광 선글라스
4. 비조광착색렌즈(non-photochromic tinted lens)
4.1 자외선 차단 처리(UV-protective treatment)
4.2 선글라스(sunglasses)의 종류
5. 편광렌즈(polarizing lens)
5.1 편광(polarization)이란?
5.2 현광(glare)의 요인
5.3 편광렌즈의 기능
5.4 편광렌즈의 제조 기술
5.5 편광 렌즈의 장점
5.6 편광 렌즈의 단점
5.7 편광 렌즈와 표준 착색 선글라스의 비교
6. 멀티코팅(multi-coating)
6.1 반사방지박막 코팅(anti-reflective coating)
6.2 AR코팅 방법
6.3 AR코팅 선정
6.4 AR코팅 렌즈 관리
6.5 긁힘 저항성 코팅(scratch-resistant coating)
6.6 김서림 방지 코팅(anti-fog coating)
7. 청색광 차단렌즈
7.1 청색광(blue light)
7.2 청색광(blue light) 위해성의 메커니즘
7.3 청색광이 특정 안구 조직에 미치는 영향
7.4 청색광의 주요 광원과 위험성 비교
7.5 청색광 차단 처방의 의미
Chapter 05 안경테(eyeglass frame)재료와 제조법
1. 안경테의 구성
1.1 안경테 디자인
1.2 안경테의 발전
1.3 대표적인 금속안경테의 구성
1.4 안경테의 설계
1.5 안경테 계측
2. 안경테 소재
2.1 천연 재료(natural material)
2.2 플라스틱(plastics)
2.3 복합 재료(composite material)
2.4 제조법(production)
2.5 금속(metal)
2.6 금속안경테의 제조법
2.7 금속테의 표면처리
2.8 복합재질테(combination spectacle)
2.9 안경테 재료의 안전성과 항알레르기성(safety and allergenicity)
3. 안경테의 안전, 품질 표시규격
3.1 관련 규격
3.2 안전요건 중 니켈 용출량(금속제에 한함)
3.3 표시위치
3.4 표시
Chapter 06 안경 상품 규격
1. 의료기기로서 안경렌즈의 기준규격
1.1 안경렌즈 기본규격(ISO 14889)
1.2 안경렌즈의 표시 기재사항
1.3 단초점(single vision), 다초점(multifocal), 누진굴절력 안경렌즈(ISO 8980-1)의 특성
1.4 반사방지코팅 처리된(anti-reflective coating) 안경렌즈(ISO 8980-4)의 규격
1.5 스텍트럼방사위험
2. 선글라스(Sunglass)의 기준규격
2.1 적용범위 및 관련 표준
2.2 선글라스의 안전요건
2.3 표시 사항
2.4 사용상 주의사항
3. 보안경의 기준규격
3.1 보안경의 형식별 구조
3.2 차광보안경 재료의 성질
3.3 렌즈 및 필터플레이트에 대한 시험방법 규정
3.4 도수렌즈 보안경
Chapter 07 콘택트렌즈
1. 콘택트렌즈의 발전
2. 콘택트렌즈의 구조
2.1 각막형 경성 콘택트렌즈
2.2 반공막형 연성 콘택트렌즈(semi-scleral soft contact lens)
2.3 공막형 콘택트렌즈(scleral contact lens)
2.4 하이브리드 콘택트렌즈(hybrid contact lens)
2.5 피지백 렌즈(piggyback lens)
3. 콘택트렌즈의 분류와 재료
3.1 물리적 특성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분류
3.2 콘택트렌즈 제조법
4. 콘택트렌즈의 최신 기술 동향
5. 콘택트렌즈 제품의 규격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