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55506745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5-09-26
책 소개
세계를 반추·성찰하는 과정에서 의미깊은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퇴계 이황(退溪)의 철학과 사상, 앎과 삶, 공부와 교육 문제에 대한 해석과 성찰, 비판적 논의를 수행한 글이다. 저자가 책의 제목을 『퇴계학의 재구성: 퇴계의 공부와 인격』이라 한 것은, 근대공간에서 식민권력에 의해 굴절된 퇴계학에 대한 교정 작업이 선결 과제이며, 그 과제의 정밀한 수행을 통해 퇴계학의 면모와 정체성에 대한 재구성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저자는 퇴계학에 대한 논의를 제1부와 제2부로 나누어 전개하였다. 제1부에서는 퇴계학 연구의 식민성 비판이라는 제하에 [제1장 잘못된 연계, 퇴계학과 교육칙어], [제2장 박종홍의 퇴계학 연구 비판], [제3장 일제 관제·관변 학자들의 퇴계학 연구 비판], [제4장 전전·전중·전후 일본의 퇴계론 비판]에 대해 다루었고, 제2부에서는 퇴계학의 정체성 탐구라는 제하에 [제5장 퇴계의 공부와 인격], [제6장 고종기 분석을 통해 본 퇴계의 앎과 삶], [제7장 퇴계학의 지향, 도학사상과 절의정신], [제8장 퇴계학을 위한 성찰과 전망]에 대해 다루었다.
저자는 한국 철학계 및 교육학계의 퇴계 연구, 퇴계학의 정체성 탐구 과정은 어느 정도로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질문을 통해 해방 이전의 퇴계학 연구가 해방 이후의 퇴계학 연구에 걸림돌인지 디딤돌인지를 제대로 가려내고, 그 변별을 통한 연구의 추동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어야만, 우리는 제대로 된 퇴계 연구, 그리고 퇴계학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근대 이후 퇴계학 연구가 하필이면 식민권력·전범집단의 전쟁 욕망에 의해 굴절·오염되면서, 퇴계 연구 및 퇴계학 탐구 프로젝트에는 선제적으로 식민적 잔영과 설화적 미몽이 개입될 수밖에 없었다고 저자는 판단하기에, 이를 거두어내는 과제 수행을 통해 퇴계학의 정체성, 그 본연의 모습을 재정립하고자 노력했고, 그 필생의 노력의 결과물이 이 책에 오롯이 담겨 있다.
목차
저자 서문
제1부 퇴계학 연구의 식민성 비판
제1장 잘못된 연계, 퇴계학과 교육칙어
1. 1930: 식민권력이 소환한 퇴계 360주기
2. 퇴계철학과 에도시대 일본유교
3. 1890: 교육칙어의 등장, 1897: 퇴계영향설의 등장
4. 『문교의 조선』: 식민지 교육행정과 퇴계학
5. 퇴계·유교단체의 동원과 황민화 교육
제2장 박종홍의 퇴계학 연구 비판
1. 사범교육학의 세례를 받은 철학자 박종홍
2. 박종홍이 기술한 퇴계의 교육목적론
3. 박종홍이 기술한 퇴계의 교육방법론
4. 박종홍이 기술한 퇴계의 양호론
5. 박종홍이 기술한 퇴계의 교육자론
제3장 일제 관제·관변 학자들의 퇴계학 연구 비판
1. 교육칙어-퇴계 연계설의 정체
2. 다카하시 도루의 유학연구와 퇴계론의 수준
3. 아베 요시오의 퇴계사상 일본전파론과 퇴계학의 굴절
4. 퇴계의 이름으로: 도의입국-문교보국
제4장 전전·전중·전후 일본의 퇴계론 비판
1. 정한론이라는 이름의 전쟁욕망과 퇴계학
2. 식민교육사 구성의 관점: 전쟁인문학으로서의 퇴계학
3. 1972: 이퇴계연구회의 출발
4. 2017: 일본 학자들의 교육칙어 교재사용 반대성명
제2부 퇴계학의 정체성 탐구
제5장 퇴계의 공부와 인격
1. 교육보다 공부
2. 성리학과 공부론
3. 공부론의 구조: 위기지학, 성인지학, 종신사업, 도덕사업
4. 공부론의 굴절: 향원과 유속
5. 공부의 오래된 미래
제6장 고종기를 통해 본 퇴계의 앎과 삶
1. 사화의 시대, 그 자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퇴계
2. 30일간의 기록, 퇴계의 고종기에 대한 해석과 부연
3. 고종기 해제 1: 공부, 종신사업
4. 고종기 해제 2: 매화, 호생지덕
5. 고종기 해제 3: 겸괘, 군자유종
제7장 퇴계학의 지향, 도학사상과 절의정신
1. 도학사상과 절의정신이 만나는 지점의 퇴계학
2. 임진왜란사 기록의 관점: 학봉 김성일의 도학과 절의
3. 독립운동사 기록의 관점: 향산 이만도의 도학과 절의
4. 불원복의 메시지로 읽는 퇴계학
제8장 퇴계학을 위한 성찰과 전망
1. 연구 약사
2. 퇴계학의 지평: 공부론과 문도론
3. 퇴계학의 계승: 걸림돌과 디딤돌
4. 미래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