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옥, 자연을 담다 자연을 닮다

한옥, 자연을 담다 자연을 닮다

(명인 건축가가 들려주는 한옥 이야기)

이규혁 (지은이)
이새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9,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옥, 자연을 담다 자연을 닮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옥, 자연을 담다 자연을 닮다 (명인 건축가가 들려주는 한옥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전통 건축
· ISBN : 9791188272426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22-08-15

책 소개

한국인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던 정신과 사상, 그리고 미적 개념이 한옥의 형태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는지, 척박한 기후조건에서도 우리 선조들이 어떤 창조적 지혜와 과학 원리를 활용해 한옥이라는 멋진 집을 지었는지를 밝힌다.

목차

추천의 말
프롤로그

하나, 우리가 몰랐던 한옥 이야기
한옥의 미학, 한국인의 미학
하늘·땅·사람(天地人)을 담은 집
하늘을 향한 염원을 담은 집
계절과 과학이 담긴 집
한옥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 한옥을 구성하는 건축요소
기단과 초석
공포와 단청
창과 문, 창호
문과 담장
벽과 인방
마루와 천장
난간과 다리

셋, 한옥, 지붕의 미학
한옥 지붕의 종류
한옥 지붕의 조형적 특징
초가지붕과 기와지붕의 고유성
한옥의 조형성을 만든 지혜

넷, 한옥의 실내공간
거룩하고 담백한 하늘백성의 공간
은은한 빛이 머무는 집
한옥의 생활공간, 무엇이 다른가?
담백한 사람이 머무는 담백한 공간

다섯, 한옥의 바깥
“마을은 산기슭에 자리 잡는다”
마을의 풍수_아늑한 산지형 공간 안에 짓는다
마당, 비어 있지만 모든 것을 담는다
자연중심의 자연화된 조경문화

여섯, 사람을 생각하는 건축: 한옥의 휴먼 스케일
한옥의 휴먼 스케일_불국사와 석굴암
궁궐건축_조선의 비전과 아픔이 담긴 5대궁궐
유교건축_성리학이라는 토대 위에 세운 집
민속마을_하회마을, 양동마을, 낙안읍성
사찰건축_불·법·승 삼보사찰

에필로그
부록_ 나의 한옥 스케치 이야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규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생각으로 전통건축에 많은 관심을 갖고 우리 한옥의 미적 개념과 사상, 조형성을 연구해왔다. 대학을 졸업하고 ㈜삼풍종합건축사사무소와 ㈜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 경력을 쌓았고, 2001년 ㈜민우디엔이건축사사무소를 창업한 뒤 지금까지 건축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서양식 석조건축물로 디자인했으나 기둥과 기둥 사이에 전통창살 문양을 넣은 전통양식을 적용한 매경 신사옥, 병산서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비움과 채움의 의미를 담아 설계한 신안산대학교 도서관 등이 있다. 이처럼 저자는 비록 현대건축물을 디자인할지라도 거기에 우리 전통건축의 미적 개념과 조형언어를 재해석해 담아냈다. 이외에도 신안산대학교 체육관, 실로암교회, 하이브랜드빌딩, LH공사 아파트, 동양고속건설 파라곤 주상복합빌딩(선진 ENG) 등 다수의 건축작품을 설계했다. 지금도 저자는 건축가로서 한옥을 세계화하겠다는 비전으로 한-스타일 주택과 아파트를 계속해서 연구 중이다. 연구 과정에서 ‘영창 교체식 한옥 시스템 창호와 이의 제조 및 시공 방법’ 특허와 ‘한옥식 발코니’ 특허를 획득했다. 특허만이 아니라 국내에서 최초로 세계적 기준에 부합하는 고효율·고기능성 목재 창호를 직접 설계·제작하여 정부 추진 사업인 동해시 망상웰빙휴양타운, 안동시 선성현 문화단지, 서울시 종로 주얼리 비즈니스 센터, 국토부 화경당, SH공사 돈의문 역사박물관 등에 창호를 설치하는 성과를 이루어냈으며, 2017년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진행했던 ‘K-HOUSING FAIR’에 창호를 전시했다. ‘한국 신지식인’과 ‘대한민국 대한 명인’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18년 국회 표창장을 받았다. 현재 자신의 건축 경험과 노하우, 한옥의 아름다움과 우리 문화의 탁월함을 널리 알리고자 대학교와 지방자치단체, 서울시 50플러스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석기시대 움막에서 시작해 21세기에 새롭게 지어지고 있는 신(新)한옥에 이르기까지, 한옥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한옥은 단순히 특정 시대의 조형적 지혜가 낳은 창조적 주거형태가 아니다. 다시 말해 어느 한 사람에 의해 어느 한 시대에 만들어진 서구의 건축과 달리, 전 시대(全時代)를 넘어 창조된 것이자 집단창조성이 담긴 역사적 과정의 총체이다. 이 점에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면면히 이어온 창조적 지혜라고도 할 수 있겠다. 또한 한옥은 청빈낙도(淸貧樂道)의 삶을 살았던 선조들의 모습이 건축으로 응축된 것으로, 검소한 땅의 생활 속에서 하늘을 향했던 비천사상(飛天思想)의 집이다.


한반도의 토양은 모암(母岩)의 성질이 현저하게 발달되어 있어 지표면으로 드러난다. 모암층이 드러날 정도의 얇은 토양층에서 자라는 식물은 뿌리를 깊게 내리지 못한다. 우리 땅의 소나무들이 대체로 구불구불한 소나무 형태를 띠는 것은 이런 연유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즉 뿌리를 깊이 내릴 만한 두터운 토양층을 갖지 못한 까닭이라는 것이다. 뿌리에서 빨아들이는 수분과 양분이 충분할 때는 줄기가 쭉쭉 뻗어 올라가 곧은 형태가 되지만, 모암이 드러날 정도로 메마른 토양에서 자라는 소나무는 마치 분재 소나무와 같이 키가 작고 굽은 형태로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지질 특성 때문에 우리 땅에서는 쭉쭉 곧게 뻗은 소나무보다는 구불구불 휘어져 자라는 소나무를 더 흔히 보게 된다.


사실 소나무의 절로 굽은 선은 계획적 구조물을 만드는 건축에서 자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옥 또한 전체적으로는 계획적 건축이다. 그럼에도 한옥이 소나무를 쓸 수 있었던 것은, 건축적으로는 부적합한 굽은 자재를 목수들이 뛰어난 안목과 지혜로 적재적소에 사용한 덕분이다. 그리하여 한옥 특유의 아름다운 곡선이 만들어져 자연스러운 한옥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한옥은 자연스러운 것을 사랑하는 우리의 심성에서 탄생한 건축물이다. 수직으로 곧게 자란 나무를 보면 대개 사람들은 ‘저 나무 잘 자랐는데!’라고 생각하지만 멋스럽다고 여기지는 않는다. 반면에 구불구불 자란 소나무를 보면 “와, 저 소나무 아주 멋있는데!”라고 말하며 감탄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