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8876214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0-07-0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사회 META 솔루션
1부 지형과 생활
1장 우리나라의 지형
01 우리나라는 어떤 지형일까?
지형이란 무엇일까? / 지형과 인구밀도 / 우리나라 지형의 특징 / 경동지형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산과 고개
썰강 1 봉평 메밀국수와 평양냉면
썰강 2 서울 아현과 애오개
썰강 3 CNN이 선정한 한국의 명소, 다랭이 마을
02 서해안과 동해안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동해안과 서해안의 해안선 / 모래 알갱이가 더 작은 서해안 /석호, 해안단구, 갯벌은 어디에 있을까? / 서해안의 비밀 장소 / 서해안이 주목받는 이유
썰강 4 돌담을 이용한 전통 고기잡이 ‘독살’
썰강 5 조차를 극복한 인천상륙작전
썰강 6 조선시대 중심지 마포
2장 지형의 형성 원인과 종류
03 내적 요인이 만든 지형은?
지구 내부는 어떤 모습일까? / 내적 요인이 만든 대지형 / 지진과 화산이 발생하는 지역은? / 바닷속에서 지진이 일어난다면? / 화산활동으로 생긴 지형
썰강 7 지진에 견뎌라
썰강 8 화산과 화장품
썰강 9 천연 방파제 산호초
04 외적 요인이 만든 지형은?
파랑은 어떤 지형을 만들었을까? / 바람은 어떤 지형을 만들었을까? / 하천은 어떤 지형을 만들었을까? / 빙하는 어떤 지형을 만들었을까? / 빗물을 어떤 지형을 만들었을까?
썰강 10 육지 섬 ‘하중도’
썰강 11 모래 활주로 ‘사곶 천연 비행장’
썰강 12 홍수 때 더 돋보인 ‘터 돋움 집’
2부 기후와 인간 생활
3장 기후와 기후요소
05 기후란 무엇일까?
날씨와 기후 / 거기 날씨는 어때? 거기 기후는 어때? / 쾨펜은 기후를 어떻게 구분했을까?
기후요소란 무엇일까? / 이상기후란 무엇일까?
썰강 13 전설의 한국인
썰강 14 삐딱한 지구
썰강 15 그만 말해요!
06 기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일까?
위도 / 수륙분포 / 해류 / 해발고도 / 지형
썰강 16 몽골 여행 꿀 팁!
썰강 17 해류가 만든 부동항
썰강 18 세계에서 가장 높은 기차역
4장 기후와 환경
07 열대기후란 무엇일까?
열대기후, 어디에 있을까? / 열대우림기후 / 열대계절풍(몬순)기후 / 사바나기후 / 열대 지역의 고산기후
썰강 20 코트디부아르의 코코아
썰강 21 주먹밥을 만들지 못하는 쌀
썰강 22 플랜테이션 농업
08 건조기후란 무엇일까?
건조기후, 어디에 있을까? / 사막기후와 스텝기후의 차이 / 사막기후 / 스텝기후
썰강 23 사막화와 중국발 황사
썰강 24 우크라이나 곡물 확보 전쟁
썰강 25 사막 개발
09 온대기후란 무엇일까?
온대기후, 어디에 있을까? / 지중해성기후 / 서안해양성기후란? / 온대계절풍(몬순)기후 / 우리나라의 계절 변화
썰강 26 하천 둔치의 비밀
썰강 27 태풍 속에서 살아남기
10 냉대·한대 기후란 무엇일까?
냉대·한대 기후, 어디에 있을까? / 냉대·한대 기후
썰강 28 항공기의 비상 착륙
썰강 29 타오르는 남극
썰강 30 북극 산불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위의 박스 안에 있는 ‘가뭄’의 뜻을 읽어 보세요. ‘오랫동안 비가 내리지 않아 강수량이 비정상적으로 적어진 상태’는 가뭄을 저자가 나름의 논리로 서술한 거예요. 이건 책을 쓴 사람이 자기의 생각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적은 것이죠. 저 가뭄의 뜻은 저자가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그 문장을 그대로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여러분은 가뭄의 뜻을 읽고, ‘가뭄은 비가 적게 와서 물이 부족해진 거야’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그러면 가뭄의 개념 정리가 끝난 거예요. 어렵나요? 이것보다 더 강력한 방법은 가뭄의 이미지를 보는 거예요. 땅이 쩍쩍 갈라진 사진처럼 상황을 떠올리게 하는 이미지를 보는 것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사회 META 솔루션> 중에서
파랑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파도입니다. 교과서나 학술지에서는 '파랑'이라 고 부르기도 하죠.
탐구 정확한 이름이 무엇인가요??
파랑 파도나 파랑이나 모두 '물결'이라는 뜻입니다. 제 이름이 두 개이지만, 교과서에 표기된 '파랑'이라고 불러 주세요.?
탐구 네. 파랑님. 서해안과 동해안의 형성 과정을 오랫동안 지켜보셨다고요. 왜 서해안에는 많은 섬과 복잡한 해안선이 형성된 것인가요??
파랑 먼저,섬이형성된배경을함께생각해볼까요?바다에서섬을보고있으면 마치 바다에 솟아오른 '산'처럼 느껴질 때가 있을 거예요.
탐구 맞아요.마치들가운데우뚝솟은산과비슷해요.?
파랑 바로 그겁니다. 섬은 바다에 둘러싸여 있어요. 육지와 떨어져 있다는 뜻이죠.
<02 서해안과 동해안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