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구기 > 축구
· ISBN : 9791188768264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0-08-24
책 소개
목차
제1장. 민족의 혼을 잇다. 남북축구 정기전 ‘경평전’
1. 축구공을 왜놈으로 알고 힘껏 차라, 독립의 희망 ‘경평축구’
■ 경평축구 탄생 배경
■ 경평축구 탄생
■ 경평축구전의 의미
■ 경성ㆍ평양 축구단 창설
■ 경평축구전 정례화
■ 해방 이후 경평축구전
■ 한국 축구는 왜 일본 축구에 강한가
■ 경평축구전 일지
2. 해방에서 6ㆍ25 전쟁까지 축구 이야기
■ 1946 경평축구전
■ 1948 런던올림픽 참가 ‘조선올림픽위원회’
■ 경평축구가 우리 민족에게 남긴 것
제2장. 남북축구 발전의 모태 ‘경평전’
1. 도쿄 대첩, 최초의 한일전, 1954 스위스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 경평축구의 주역들, 한뜻을 모아 팀을 이루다
■ 일본인은 절대 대한민국 땅을 밟을 수 없다
■ 서울 홈경기를 포기하고 일본 어웨이 경기를 치러야만 했던 시절
■ 선수들의 각오(각서), “일본에 지면 대한해협에 몸을 던지겠다”
■ 일본은 반드시 이긴다. 축구화에 고춧가루를 넣다
■ 일본 땅에 태극기가 최초 게양되고 애국가가 연주되었다
■ “라디오를 듣는 남북의 한국인들…한국을 하나로 만들었다”
■ 최초의 도쿄 대첩, 평양 선수의 결승골, 분단의 아픔을 넘어 5대1 대승을 이끌다
■ ‘한국 선수들이 보여준 축구 열정에 일본 사람 모두가 감격했다’
■ 일본을 넘어 월드컵 진출, 국민은 하나가 되고, 전쟁 폐허 속에서 희망을 쏘아 올리다
■ 국내 언론, 장하다! 그 영광
2. 대한민국 첫 월드컵 도전, 1954 스위스월드컵
■ 험난한 스위스행, 첫 경기 전날 밤 도착
■ 1954 스위스월드컵 팸플릿, 대한민국 태극기가 없다
■ 한국 선수들은 사자처럼 용감했다
■ 첫 경기 헝가리전 0대9, 월드컵 역사 최다 골 패배
■ 투혼의 한국 대표팀, 국민들에게 도전과 희망 선사
■ 1960, 제2회 아세아 축구선수권 대회 유치
3. 1966 잉글랜드월드컵, 천리마축구단
■ 영화 천리마축구단(2002)
■ 아시아 최초 8강, 북한 천리마축구단
■ 1차전 소련과의 경기
■ 당시 소련의 국가대표 발레리 포쿠잔이 회상한 북한 국가대표 리찬명 골키퍼
■ 2차전 칠레 경기, 아시아 최초 승점
■ 3차전 이탈리아 경기, 아시아 최초 8강 진출과 클린시트
■ 북한 8강 진출 1등 공신, 리찬명 골키퍼
■ 이탈리아에게 트라우마를 남긴 북한 축구
■ 8강에서 만난 포르투갈
■ 아시아 축구에 대한 인식을 바꾼 북한 천리마축구단
■ 북한 천리마축구단(4.25축구단) 리찬명과 김경성 이사장의 만남
■ 리찬명과 김경성의 다짐
제3장. 위기마다 평화를 잇다. 남북축구교류 정기전 탄생
1. 우리의 만남은 꽃처럼 피어나리라
■ 홍타스포츠센터
■ 국제축구학교 설립
■ 북한 선수단과 첫 만남
■ 북한 스포츠 지원에 의한 발전과 변화
■ 북한 선수단 훈련 지원 성과
2. 북한 정부의 신뢰를 얻다.
■ 김경성 이사장, FIFA 북한 청소년 월드컵 단장으로 임명되다
■ 김경성 체육인 초대소가 탄생되다
■ 평양 토지를 제공받다
3. 남북축구 정기교류전 일지-‘남북유소년축구 정기교류전’
■ 1차전(2006. 5) 평양
■ 2차전(2006. 11) 평양
■ 3차전(2007. 3) 제주, 전남 광양, 수원, 서울을 1개월간 순회하다
■ 4차전(2007. 6) 전남 강진
■ 5차전(2007. 6) 평양
■ 6차전(2007. 8) 전남 광양
■ 7차전(2007. 10) 전남 강진
■ 8차전(2007. 11) 평양
■ 9차전(2008. 5) 평양
■ 10차전(2008. 10) 평양
■ 11차전(2009. 1) 중국 쿤밍
■ 12차전(2009. 7) 중국 쿤밍
■ 13차전(2011. 1) 중국 쿤밍-제1회 인천평화컵 국제축구대회
■ 14차전(2012. 1) 중국 쿤밍-제2회 인천평화컵 국제축구대회
■ 15차전(2013. 1) 중국 하이난-제3회 인천평화컵 국제축구대회
■ 16차전 (2014. 1~3) 중국 광저우-제4회 인천평화컵 국제축구대회
제4장. 위기마다 남북 평화를 잇다. 남북축구 정기전의 정착
1. UN 최강 대북 제재 속 실효적인 남북 교류 방안
■ 남북축구전 정기전 일지
■ 공은 둥글고 우리는 하나다
■ 아리스포츠 평가
■ 17차전(2014. 11) 제1회 아리스포츠컵, 경기도 연천
■ 18차전(2015. 1) 중국 청두
■ 19차전(2015. 8) 제2회 아리스포츠컵, 평양
■ 20차전(2017. 12) 제3회 아리스포츠컵, 중국 쿤밍
■ 21차전(2018. 8) 제4회 아리스포츠컵, 평양
■ 22차전(2018. 10) 제5회 아리스포츠컵, 강원도 춘천
2. 아리스포츠컵 발전으로 스포츠, 문화, 관광사업을 준비하다
■ 하나의 민족, 두 개의 국가 축구팀, 하나 되기
■ 남북축구 단일팀 영화 애니메이션?‘투탑’
■ 아리스포츠컵에서 만난 남북의 소년, 소녀들
■ 금강산(원산), 개성 체험학습을 꿈꾸는 아이들, 스포츠 교류로 관광산업을 추진하다
■ ‘남북스포츠 종합센터’ 건립을 추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