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크로스 e스포츠

크로스 e스포츠

박신영, 김용우, 안수민, 웜보콤보, 박세정 (지은이)
북스타(Bookstar)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480원
15,5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500원 -10% 720원 12,330원 >

책 이미지

크로스 e스포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크로스 e스포츠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스포츠/레저 기타 > 기타
· ISBN : 9791188768462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1-12-14

책 소개

e스포츠가 진행되는 데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사람이 활동하고 있는 것에서 ‘e스포츠 전문가’, ‘e스포츠 기자’, ‘e스포츠 실무자’, ‘경영 전문가’가 각자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e스포츠에 대한 느낌과 경험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언어로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목차

크로스 e스포츠 소개
추천사
프롤로그

Cross 1. e스포츠 제너럴(General)
 1) e스포츠 히스토리
  (1) e스포츠의 시작
  (2) e스포츠의 명암(明暗)
 2) e스포츠 매니지먼트
  (1) 지역 e스포츠의 시작
  (2) 오버워치 선수 선발
  (3) 오버워치 팀 운영
  (4) APEX 최초 ‘로얄로더’
  (5) 오버워치 리그로의 이적
 3) e스포츠 인프라
  (1) 자생력
  (2) 콘텐츠
  (3) 교육

Cross 2. e스포츠 인사이트(Insight)
 1) e스포츠를 만들어 가는 사람들(# 김용우 팀장, 데일리e스포츠)
  (1) 리코 에이전시 - 이예랑 대표
  (2) 뉴욕 엑셀시어즈 - 김요한 GM
  (3) 방송인 - 성승헌 캐스터
 2) e스포츠와 함께한 프로 선수들(# 안수민 기자, 데일리e스포츠)
  (1) LOL(고동빈 인터뷰)
  (2) STARCRAFT(전태규 인터뷰)
  (3) PUBG(조한경 해설 인터뷰)

Cross 3. e스포츠 라이브(Live)
 1) 게임사는 왜 e스포츠를 할까?
 2) e스포츠 대회 종류
  (1) 게임사의 공식 대회
  (2) 3rd party 대회
  (3) 커뮤니티 대회
 3) e스포츠 산업 직군
  (1) Lead/Team manager
  (2) Product manager/Program manager/Project manager
  (3) Branding/Marketing
  (4) PR/Communication
  (5) Community/Influencer
  (6) Broadcast production
  (7) Legal
 4) e스포츠 실무 살펴보기
  (1) 대회 기획 및 준비
  (2) 파트너 선정

Cross 4. e스포츠 밸류에이션(Valuation)
 1) 콘텐츠 산업과 e스포츠 : 스트리밍 서비스의 발전에 따른 e스포츠 콘텐츠의 성장
  (1) e스포츠 산업 규모의 폭발적인 성장세
  (2) 플레이하는 게임에서 관람하는 게임으로
  (3) 스트리밍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4) 모바일 e스포츠의 발전
 2) 스포츠 산업과 e스포츠 : LCK 프랜차이즈, 오버워치 리그 등을 통한 정통 스포츠로의 성장
  (1) 해외 리그오브레전드 프랜차이즈 제도의 국내 적용
  (2) e스포츠와 전통 스포츠
  (3) 중국의 e스포츠 시장
  (4) e스포츠의 역사 개요와 포괄적 전망
 3) 신한류 e스포츠와 글로벌 파이낸싱 : 국내에서 태동한 e스포츠가 글로벌 K-e스포츠로
  (1) 국내 e스포츠 산업의 태동과 성장
  (2) 신한류가 된 K-e스포츠
  (3) e스포츠 투자와 성과, 그리고 과제
 4) e스포츠 산업의 미래 :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창출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e스포츠
  (2) e스포츠의 일자리 창출

저자소개

박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보문고, 인터파크, 매일경제, 머니투데이 선정 작가로 테크문학작가상, 한국추리소설상, 청년문학상 외 다수를 수상하였다. 칼럼니스트이자 국가공인탐정협회 자문위원, 경찰대학 전문가 협업강사로 경찰대학장 감사장을 수여받았다. 《미친 꿈은 없다, 쌤앤파커스》, 《스타트업 노트, 북스타》 등 베스트셀러 외에 《KAIST 국가미래교육전략, 김영사》, 《블록체인 제너레이션, 매경출판》, 《과학기술과 미래국방, 한국국방기술학회》, 《Xaas의 충격, 니혼게이자이신문》, 《원소란 무엇인가, 사이언스주니어》, 《코로나 이후 세계의 변화, 광문각》을 포함해 다양한 장르의 글을 썼다. 와세다대학 정보과학과 졸업. MIT 슬론경영대학원 블록체인테크놀리지 과정을 수료했다. 와세다대학 아시아태평양연구과에서 MBA를 마치고 한국에 들어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펼치기
박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4년 마케팅을 위해 처음 마주한 e스포츠 현장에 대한 매력을 느껴, e스포츠 매니지먼트와 비즈니스를 진행하는 주식회사 마크오를 설립하여, 팀 매니지먼트와 마케팅 비즈니스를 운영 중에 있다. 국내 최초의 도타2 T.I(The International)에 진출한 MVP 도타2 팀(피닉스, 핫식스)의 스폰서십 체결을 시작으로 고향인 부산에서 국내 최초의 지역 e스포츠팀 GC 부산(Game Club 부산)의 론칭과 부산 e스포츠 글로벌 부트캠프 운영, 2017년 오버워치 e스포츠 최초의 로얄로더 팀인 GC 부산 오버워치팀을 운영하며, 지역 e스포츠 발전을 위한 활동을 다 하였고 이후 자체 브랜드 e스포츠팀인 팀 블라썸(Team BlossoM)을 운영하며, 지속적으로 e스포츠와의 인연을 이어 나가고 있다.
펼치기
김용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 대학교 2학년 당시 우연한 기회에 응모한 ‘온게임넷 스카이배 스타리그 결승전’ 자원봉사에 합격하면서 e스포츠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이후 ‘온게임넷 게임플러스’ 작가를 거쳐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사진을 찍으며 현장을 누비고 다녔다. 이후 MBC 게임방송 작가를 거쳐 2008년 5월 e스포츠 기자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야구, 배구, 피겨스케이팅 등 전통 스포츠와 연예부 기자로도 활동했다. 2011년 e스포츠로 돌아온 뒤 취재기자 겸 사진기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IEM) 월드 챔피언십을 한국 매체 최초로 취재했다. 영국에서 열린 e스포츠 어워드 포토그래퍼 최종 후보에도 올랐으며, 현재는 데일리e스포츠에서 취재 팀장으로 e스포츠 분야에 다각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안수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2년차 e스포츠 취재기자이자 e스포츠 마니아. 정확히 말하자면 게임을 먼저 좋아해 e스포츠를 알게 됐고 게임을 잘하기 위해서 e스포츠를 보았다. 한때 프로게이머의 꿈을 꾸었지만 벽이 높았고 e스포츠 업계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던 끝에 신문방송학과를 진학하여 졸업 후 기자가 되었다. 기자 이전 e스포츠 방송국 조연출로도 근무하며, 어릴 적 팬이었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들을 만나면서 그들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만들었고, 현재는 다양한 종목의 e스포츠 선수들을 만나 많은 이야기를 듣고 또 배우고 있는 중이다. 현재에 충실하며, 미래에 e스포츠 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자(사람)가 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다.
펼치기
웜보콤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게임 IP사에서 e스포츠 관련 업무를 진행 중 어릴적 우연히 가수들이 공연하는 무대를 짓는 과정과 그리고 공연을 하는 것까지 본적이 있다. 물론 가수들의 노래도 훌륭했지만, 내 눈길을 계속해서 사로잡았던 것은 화려한 조명과 함께 만들어진 무대와 열광하는 관중들이었다. 무대 안팎의 사람 모두 자신의 열정을 보이는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이었으며, 막연히 무대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평소 게임 매니아였던 나는 대학교 졸업 후 자연스럽게 게임 관련 콘텐츠 제작으로 한 회사에 입사를 하였다가, 회사의 중요 사업이 바뀜에 따라 자연스럽게 e스포츠 업무를 시작하였다. e스포츠 방송 콘텐츠 기획부터 팀 운영, 그리고 대회 스폰서, 플랫폼 제작까지, 크지 않았던 규모의 회사에서 운 좋게도 (사실은 사수가 갑자기 업무에서 빠지는 바람에) e스포츠와 관련된 여러 업무를 담당하였다. 그 후 게임사에서 5년간 실제 대회 제작 및 관련된 프로그램들을 매니지먼트 하는 업무를 진행하며 약 10년간 e스포츠 업계에 몸을 담고 있다. 스타크래프트, 철권과 같이 개인의 기량을 다루는 게임도 있지만 주로 맡은 게임들은 팀 단위의 게임이었다. 팀 단위의 게임을 할 때 여러 기술들이 연계되어 멋진 장면을 보여줄 때 외치는 웜보콤보라는 단어가, 그 단어가 들리는 사운드, 그리고 그 단어를 외치는 해설자의 목소리, 딕션이 팀 단위 게임에서 가장 하이라이트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공동 저자로 이루어지는 이 책도 웜보콤보가 외쳐졌으면 좋겠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