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91189074203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0-09-1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 고뇌에서 움트는 희망
나혜석-나는 인형이었네, 그네의 노리개였네
구본웅-붉은 눈빛에 담은 식민지 지식인의 억눌린 내면
남 관-나는 두 번의 전쟁을, 숱한 죽음을 보았다
이쾌대-해방의 기쁨을 쏟아내고, 역사의 아픔에 묻히다
이중섭-나는 한국이 낳은 정직한 화공이라오
윤형근-굴곡진 시대를 겪으며 추구한 삶의 성찰
손상기-삭막한 도시, 하지만 희망은 있다
2 사무치는 사랑, 그리운 가족
배운성-옹기종기 모인 대가족, 애틋한 그리움을 채우다
김환기-그리운 이의 눈동자 같은 점을 모아서
최영림-가족과 헤어진 화가가 그린 전쟁의 비극
장욱진-까치 아빠의 고독과 성찰, 안식처는 가족
이성자-지구 반대편 향해 그리움으로 놓은 다리
김흥수-기인 화가를 가장 잘 이해한 이, 그의 아내
3 이 땅, 이곳의 사람들
오지호-초겨울 햇살의 따사로움까지 담은 청명한 그림
이인성-핏빛 붉은 땅, 살아남아 그날을 기다리리
박수근-그림으로 그린 인간의 선함, 진실함
전혁림-하늘을 끌어놓은 듯 푸른 남해, 정겨운 항구
변월룡-고려인 화가가 그린 고국의 봄
박고석-전쟁 속에서도 놓지 않은 삶에 대한 의지
변시지-처연한 바람에 휩싸인 누렇고 검은 제주
4 자연의 아름다움, 그 생명력
도상봉-지친 마음을 보듬는 싱그럽고 온화한 꽃다발
윤중식-그렇게 시간은, 빛은 층층이 내려앉는다
유영국-산은 내 앞이 아니라 내 안에 있다
이대원-풍요와 행복을 품은 생동감 넘치는 산
김종학-자유롭게 어울려 살 부비며 함께 사는 자연
5 전통에서 벼려낸 새로움
이상범-일상의 자연, 대가가 사랑한 한국의 풍경
변관식-반골 화가가 그려낸, 꿈틀대며 치솟은 바위
이응노-통일과 화합을 염원하는 흥겨운 군무
권영우-찢긴 한지에 스민 젊은 날의 아픈 초상
서세옥-화폭 가득, 붓 지난 자리마다 펼쳐지는 춤사위
6 끝없는 미의 추구
곽인식-물성 탐구의 효시, 시대를 앞서간 예술가
권옥연-휘영청 뜬 보름달, 간밤 꿈 같은 풍경
김창열-쏟아져 내릴 듯한 송글송글 물방울
박서보-비움이 새겨진, 체념한 듯 발버둥치는 선
이우환-화폭 뒤덮은 수백 개의 점, 교감의 미학
최욱경-그래도 내일은, 다시 솟는 해로 밝을 것입니다
이승조-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어떤 이는 ‘다 죽게 생겼는데 그림을 그리냐’, ‘그깟 그림이 밥 먹여주느냐’라고 한 소리 했을지도 모른다. 실제 유화가 불이 잘 붙고 캔버스가 오래 탄다며 추위에 불쏘시개로 사라진 그림도 상당했다. 그럼에도 화가들에게 그림은 자신이 살아 있음을 확인시키는 대수로운 존재였다. 그림이 밥보다 중했고 목숨만큼 귀했다.
변월룡은 소나무를 많이 그렸다. 희고 곧은 러시아의 자작나무와 달리 한국의 소나무는 줄기가 검붉고 구불구불하게 뒤틀렸다. 다시 가게 되면 북한 친구들에게 선물할 요량으로 ‘바람’이라 이름 붙인 소나무 그림을 여러 점 제작했지만 결국 고국 재방문은 무산됐다. 뿌리내리지 못하고 방랑하는 바람을 따라 변월룡의 소나무는 유난스레 굽이친다. 나무의 굽은 허리가 굴곡진 화가의 인생, 우리 민족의 역사와 닮았다.
화가가 꾸준히 한 곳만 바라보는 것은 지루하지 않은 아름다움이다. 그가 추구한 것은 보이는 것 이면의 본질이었고 그 안에서 장엄하고 절대적인 어떤 것을 찾는 일이었다. 유영국은 자기 안에 자신만의 산을 가진 사람으로 뚝심을 지켰다. 그가 남긴 저 태양 같은 산은 흔들리지 않고, 내일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을 것이라는 든든한 다짐을 건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