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불탑

한국의 불탑

정계준 (지은이)
아우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3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불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불탑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89093914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9-04-08

책 소개

전국의 사찰, 폐사지 등에 산재해있는 불탑을 일일이 답사하여 기록한 문화재 답사 안내서이다. <1부. 한국 불탑의 이해>에서는 우리나라 불탑의 양식과 소재에 관한 설명에서 시작하여 삼국시대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탑의 특징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였다.

목차

머리말

Ⅰ. 한국 불탑의 이해
1. 탑(塔)이란
2. 한국 불탑의 시원
3. 한국 불탑의 특징
⑴ 소재
⑵ 조형
4. 한국 불탑의 종류
⑴ 양식으로 본 한국 불탑
신라양식
백제양식
⑵ 소재로 본 한국 불탑
목탑
석탑
전탑
모전석탑
5. 시대별로 본 한국 불탑
⑴ 삼국시대
⑵ 고려
⑶ 조선


Ⅱ. 한국의 불탑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김천 갈항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문경 오층석탑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경기도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여주 창리 삼층석탑
여주 하리 삼층석탑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충청북도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보은 법주사 팔상전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옥천 용암사 동ㆍ서 삼층석탑
영동 영국사 삼층석탑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충청남도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천안 천흥사지 오층석탑
당진 안국사지 석탑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공주 청량사지 칠층석탑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강원도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춘천 칠층석탑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
홍천 괘석리 사사자 삼층석탑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인제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
양양 오색리 삼층석탑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경주 불국사 다보탑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
의성 탑리 오층석탑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경주 남산동 동ㆍ서 삼층석탑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
경주 천군동 동ㆍ서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
경주 마동 삼층석탑
경주 남산 천룡사지 삼층석탑
경주 원원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계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
문경 도천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전)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ㆍ서 삼층석탑
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구미 도리사 석탑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칠곡 기성리 삼층석탑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ㆍ서 삼층석탑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청도 봉기리 삼층석탑
청도 장연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영천 화남리 삼층석탑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봉화 서동리 동ㆍ서 삼층석탑
울진 구산리 삼층석탑
영양 화천동 삼층석탑
영양 현일동 삼층석탑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밀양 만어사 삼층석탑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
함양 벽송사 삼층석탑
산청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산청 법계사 삼층석탑
산청 대원사 다층석탑
산청 내원사 삼층석탑
산청 대포리 삼층석탑
합천 월광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합천 청량사 삼층석탑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합천 해인사 길상탑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
의령 보천사지 삼층석탑


전라북도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도
장흥 보림사 남ㆍ북 삼층석탑 및 석등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순천 선암사 동ㆍ서 삼층석탑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
영광 신천리 삼층석탑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영암 성풍사지 오층석탑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
장흥 천관사 삼층석탑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참고문헌

저자소개

정계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 4월 경남 진주 출생 1980년 2월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졸업 1991년 8월 고려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졸업(이학박사) 1985년 4월 ~ 2018년 8월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명예교수 저역서 『일반생물학』(공저), 형설출판사, 1994 『생명과학: 인간중심』(공역), 월드사이언스, 2008 『왓슨분자생물학』(공역), 바이오사이언스, 2014 『필수유전학』(공역), 월드사이언스, 2015 『생명과학: 지구의 생명』(공역), 탐구당, 2015 『조경수로 좋은 우리자생수목』, 경상국립대학교출판부, 2015 『한국의 말벌』, 경상국립대학교출판부, 2016 『365일 꽃 피는 정원 가꾸기』, 경상국립대학교출판부, 2017 『노거수와 마을숲』 경상국립대학교출판부, 2017 『테이블 위 작은 정원』(역서), 다봄, 2017 『야생벌의 세계』, 경상국립대학교출판부, 2018 『정원수로 좋은 우리나무 252』, 김영사, 2019 『한국의 불탑』, 아우룸, 2019 『우리가 몰랐던 유전 이야기』, 경상국립대학교출판부, 2019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 사찰에서도 간혹 목탑과 전탑을 세우기는 했지만 지금까지 남아있는 것은 몇 기에 불과하며 우리 불탑은 대부분이 석탑이므로 흔히 우리나라를 석탑의 나라로 부르게 되었다. 이처럼 석탑을 많이 세우게 된 이유는 무엇보다 전국 각지에서 질 좋은 화강암이 많이 나므로 재료를 구하기 쉬웠고 또한 그에 따라 돌을 다듬고 다루는 기술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불탑은 신앙대상물이므로 조성 당시 최고의 장인들이 정성을 다하여 조성하게 되어 그 예술적 수준이 매우 높아 불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아름다운 문화재요 예술작품으로서의 가치 또한 매우 크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