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진단검사의학
· ISBN : 9791189210304
· 쪽수 : 450쪽
· 출판일 : 2020-03-09
목차
Chapter 01 비뇨기계통과 소변 / 1
1. 콩팥의 구조 3
2. 소변의 형성과정 7
3. 소변의 농축 18
4. 소변의 산성화 20
5. 배뇨 23
Chapter 02 요검사 / 31
1. 요검사의 의의 31
2. 요검사의 중요성 32
Chapter 03 요의 채취 / 35
1. 요의 채취 35
2. 채뇨방법 37
3. 요와 체액의 구별법 40
4. 정상 요량 41
Chapter 04 요의 보존법 / 47
1. 요의 보존 방법 49
2. 오차의 원인 52
Chapter 05일상뇨 검사 / 57
1. 일상뇨 검사 57
2. 일상뇨의 검사 종목 58
3. 기타 Special tests 59
Chapter 06 물리적 검사 / 61
1. 요색 61
2. 혼탁도 63
3. 냄새 66
Chapter 07 화학적 검사 / 71
1. Urine strip 검사 75
2. pH 96
3. 비중(S.G) 99
4. 단백뇨 113
5. 당뇨 123
6. 케톤체 132
7. 잠혈 반응 136
8. 빌리루빈 143
9. 우로빌리노겐 152
10. 아질산염 158
11. 백혈구 에스터레이스 161
12. 아스코르브산 164
13.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 166
14. 수시뇨의 참고치 170
15. Routine urinalysis의 적용 및 임상적 의의 171
Chapter 08 세균뇨 / 191
1. 임상적 의의 191
2. 검체채취방법 192
3. 요의 보존조건 192
4. 화학적 간이측정법 192
Chapter 09 요침사 검경 / 199
1. 의의 199
2. 요침사 200
3. 요침사의 종류 207
4. 현미경 208
5. 요침사의 현미경학적인 특성 219
6. 요침사의 검경 시 오차 251
Chapter 10 요침사의 현미경적 형태 / 257
1. 적혈구 257
2. 백혈구 260
3. 상피세포 262
4. 원주 266
5. 결정체 272
6. 기타의 요침사 283
Chapter 11 요침사의 관찰 / 295
1. 적혈구 295
2. 백혈구 301
3. 상피세포 308
4. 원주 313
5. 산성뇨에서 검출되는 결정체 322
6. 알칼리성뇨에서 검출되는 결정체 334
7. 기타 요침사 336
Chapter 12 요침사의 염색법 / 347
Chapter 13 임신검사 / 357
1. 개요 357
2. 임상적 의의 358
3. 검사방법 359
Chapter 14 포르피린 / 365
1. 개요 365
2. 임상적 의의 366
3. 참고사항 367
4. 검사방법 367
Chapter 15 아미노산뇨 대사 질환의 소변검사 / 375
1. 페닐케톤뇨증 376
2. 티이로신뇨 379
3. 알캅톤뇨증 380
4. 멜라닌뇨증 381
5. 인디칸 383
Chapter 16 칼슘 / 389
1. 개요 389
2. 임상적 의의 389
3. 검사방법 390
Chapter 17 호르몬 검사 / 393
1. Vanillylmandelic acid (VMA) 393
2. 17-OHCS 395
3. 5-HIAA 396
4. 17-KS 398
Chapter 18 NAG test / 401
1. 개요 401
2. 임상적 의의 401
3. NAG의 측정방법 402
4. 유의사항 402
5. 기준치 402
Chapter 19 Addis count / 403
1. 개요 403
2. 시약 403
3. 검사방법 403
Chapter 20 기타 체액검사 / 405
1. 체액 검사의의 405
2. 체액의 종류 405
3. 유출액의 종류 405
4. 체강천자의 장점 406
5. 체강액에서 관찰되는 비종양성 세포 406
6. 뇌척수액검사 406
7. 체강액 검사 412
8. 활액 413
9. 정액 검사 414
10. 양수 418
Chapter 21 요검사의 정도관리(QC) / 425
1. 의의 425
2. 정도관리란? 425
3. 정도관리 물질이란? 426
4. 정도관리의 종류 426
5. 정도관리 물질 선정 시 고려할 항목들 427
6. 검사 결과의 해석 432
7. 요검사시험지와 정도관리 433
8. 상품화된 URiTROL level 1, 2, 3 (YD)의 요검사 정도관리물질 조제 및 사용방법 439
9. Checkstix (Ames)를 이용한 정도관리 440
10. 정도관리 신빙도 조사 440
11. 기록방법 443
12. 외부 정도 관리 445
13. 요침사의 정도관리 446
Chapter 22 부록 I / 453
1. 소변검사 453
2. 요검사 455
3. 임상기기 456
Chapter 23 부록 II 인증평가관련 요검사분야의 지침서 / 461
1. Routine Urinalysis 461
2. Urine Microscopy 466
3. Dysmorphic RBC 472
4. Hemoglobinuria 474
5. Urine Myoglobin 475
6. Bence Jones Protein 476
7. Pregnancy test 478
찾아보기 481
INDEX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