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91189374457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1-04-01
목차
제 1 부
제 0 장 인간 발달 이론의 역사와 도덕성 1
1. 인간 발달의 세가지 패러다임 1
2. 지식의 본질과 기워넹 대한 입장 2
3. 도덕심리학과 도덕성 5
제 1 장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도덕성 발달 7
1. 프로이트의 인간관 7
2. 인간의 정신 구조 7
3. 심리 성적 발달 단계의 특징 10
4. 도덕성 발달 이론 11
5. 정신분석 이론의 도덕교육적 시사점과 문제점 13
6. 에릭슨의 인간관과 인간 발달: 건강한 자아 강조 14
7.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15
8.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의 문제점 18
제 2 장 행동주의 심리학 19
1. 행동주의의 기본 입장 19
2. 고전적 조건화 이론 20
3.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도구적 학습 이론) 20
4. 행동주의 심리학의 시사점과 문제점 23
제 3 장 밴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24
1. 사회 학습 이론의 기본입장 24
2. 상호결정론과 인간의 본성 24
3. 도덕성의 본질로서의 자기 규제 26
4. 도덕적 이탈의 매커니즘 28
5. 자아 효능감 30
6. 도덕적 행동의 학습 31
7. 사회학습 이론의 시사점과 문제점 34
제 4 장 피아제의 인지발달론 35
1. 피아제의 인간과 도덕에 대한 기본입장 35
2. 인지발달 이론 36
3. 도덕성 발달이론 39
4. 도덕성 발달 요인 43
5. 도덕교육의 방법 43
6. 피아제 이론의 시사점과 문제점 44
제 5 장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46
1. 콜버그 심리학적 연구의 철학적 가정 46
2. 도덕성 발달 이론 48
3. 도덕교육론 53
4. 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의 시사점과 문제점 60
제 6 장 제임스 레스트의 4구성 요소 모형 이론: 신콜버그 학파 62
1. 콜버그의 핵심적 아이디어 계승 62
2. 콜버그와 레스트 이론 차이 62
3. DIT 검사 64
4. 스키마(도식) 이론 65
5. 4구성 요소 모형 이론 67
제 7 장 엘리어트 튜리엘의 사회 영역 이론 71
1. 튜리엘의 기본 입장 71
2. 사회적 지식의 세 가지 영역 72
3. 사회인습적 추론 단계 75
4. 사회적 지식 영역 구분의 불명확성 문제 77
5. 규칙과 권위 78
6. 사회 영역 이론의 시사점과 비판점 78
제 8 장 여성주의 접근법: 길리건과 나딩스 80
1. 콜버그의 인지발달론에 대한 길리건의 비판 80
2.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이론 83
3. 길리건 이론의 시사점과 문제점 87
4. 나딩스의 배려윤리의 특징 88
5. 관계윤리로서의 배려윤리 89
6. 배려윤리의 기본 내용 90
7. 나딩스의 도덕교육론 95
8. 배려 윤리와 주요 윤리설의 비교 97
9. 나딩스의 배려윤리의 시사점과 비판점 98
제 9 장 호프만의 공감 이론 100
1. 전기 이론 100
2. 후기 이론 106
제 10 장 피터스의 도덕성 발달 이론 111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대한 비판 111
2. 도덕성과 도덕성 발달 단계 111
3. 도덕교육론 114
4. 피터스의 도덕 교육론의 시사점 118
제 11 장 구성주의 도덕 교육론 119
1. 구성주의의 의미와 종류 119
2. 피아제의 개인적 구성주의 120
3.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122
4. 태펀의 사회적 구성주의에 근거한 도덕교육론 127
5. 사회적 구성주의와 기타 도덕 교육론과의 비교 129
6. 구성주의적 도덕교육을 위한 조건 130
제 12 장 인격교육론 133
1. 인격교육론의 역사 133
2. 인격교육론의 주제와 특징 135
3. 인격교육의 세 가지 유형 139
4. 인격교육의 방법 144
5. 인격교육의 시사점과 문제점 146
제 13 장 토마스 리코나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148
1. 리코나의 기본 입장 148
2. 리코나의 도덕성 발달 이론 148
3. 리코나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152
4. 통합적 도덕교육 방법 156
5. 리코나의 통합적 도덕교육론의 시사점과 문제점 158
제 14 장 덕 교육론 160
1.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 160
2.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학 161
3. 덕 윤리학의 이론과 쟁점 165
4. 덕 교육적 접근법 168
5. 덕 교육적 접근법의 도덕교육적 시사점과 문제점 169
제 15 장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171
1.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자아관 171
2.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윤리적 관점 173
3.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175
4. 헤이스트의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177
5.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의 시사점과 문제점 180
제 16 장 에밀 뒤르켐의 도덕 사회화론 181
1. 뒤르켐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관점 181
2. 뒤르켐의 도덕에 대한 관점 183
3. 도덕성의 3요소 184
4. 도덕교육론 187
5. 도덕 사회화론의 시사점과 비판점 191
제 17 장 아우구스토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 192
1. 도덕적 정체성 연구의 계기: ‘도덕적 동기화’ 192
2. 도덕적 자아 모형 193
3.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 198
4. 도덕적 정체성 이론의 도덕교육적 시사점 200
제 18 장 데이먼의 도덕적 자아 이론 201
1. 도덕적 자아 형성 이론 201
2. 도덕교육의 통합적 접근 203
3. 데이먼의 도덕적 자아 이론의 장점과 문제점 206
제 19 장 사회 정서 학습 207
1. 사회 정서 학습의 의미 207
2. 사회정서 학습의 목표와 핵심 역량 207
3. 학교급별 계열성으로 제시한 사회 정서 학습의 목표 209
4. 도덕교육과 사회 정서 학습 210
5. 사회 정서 학습의 교육적 장점과 교사의 역할 210
제 20 장 월슨의 도덕성 요소 이론 212
1. 도덕성의 구성 요소 212
2. 도덕교육론 217
제 21 장 로버트 콜즈의 도덕적 지능 이론 221
1. 도덕적 지능과 도덕성 221
2. 도덕적 지능의 발달 원리 221
3. 도덕교육론 222
제 22 장 하워드 커센바움의 포괄적 가치교육론 225
1. 가치교육과 포괄적 접근법 225
2. 포괄적 가치교육의 방법 226
제 23 장 오크쇼트와 프랑케나의 도덕교육론 230
1. 오크쇼트의 반성적 도덕성과 습관적 도덕성 230
2. 오크쇼트의 도덕교육론 232
3. 프랑케나의 의무 윤리와 덕 윤리의 통합 이론 234
4. 프랑케나의 도덕교육론 235
제 24 장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238
1. 긍정심리학의 목표와 연구 분야 238
2. 행복에 대한 관점 239
3. 성품(인격) 강점과 덕목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 241
4. 긍정심리학의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시사점과 비판점 243
제 25 장 회복탄력성과 도덕교육 245
1. 회복탄력성에 대한 이해 245
2. 회복 탄력성과 학교 및 교사의 역할 246
3. 교실에서의 회복탄력성 증진 246
제 26 장 조너던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 251
1. 하이트의 기본 입장 251
2.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 이론(SIM): 도덕심리학의 세 원칙 252
3.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의 기여와 한계 258
제 27 장 다르시아 나바에츠의 통합적 윤리 교육 모형 261
1. 나바에츠의 콜버그 비판과 기본 관점 261
2. 도덕 스키마 개념: 윤리적 기술의 이론적 토대 구축 262
3. 뇌 과학 연구 성과의 수용과 비판 264
4. 삼층 윤리 이론(TET) 265
5. 통합적 윤리 교육 모형(도덕적 전문성 모형) 272
6.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이론의 도덕교육적 시사점 281
제 2 부
제 1 장 협동학습 285
1. 협동학습의 의미 285
2. 협동학습의 특징 285
3. 협동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 요소 286
4. 협동학습의 도덕교육적 유용성 288
5. 도덕과에서 유용한 협동학습 유형 289
6. 협동 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 296
제 2 장 역할채택과 역할놀이 297
1. 역할채택 이론 297
2. 역할놀이 수업 모형 301
제 3 장 도덕딜레마 토론 수업 모형 306
1. 도덕 딜레마 토론 모형의 개념과 특징 306
2. 도덕 딜레마 토론의 절차 306
3. 도덕 딜레마 토론 수업 모형의 장점 308
4. 도덕 딜레마 토론 수업 모형의 문제점과 유의사항 309
제 4 장 가치명료화 수업 모형 310
1. 가치 명료화 모형의 개념 및 특징 310
2. 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의 절차: 가치화 과정 311
3. 가치 명료화 전략 314
4. 가치 명료화 수업의 문제점과 유의사항 316
제 5 장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 318
1.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의 이론적 기초 318
2. 이론적 근거 정립 모형의 절차 320
제 6 장 가치 갈등 수업 모형 321
1. 가치 갈등 수업 모형의 개념 및 특징 321
2. 가치 갈등 수업 모형의 원천: 법리적 모형 321
3. 가치 갈등 수업 모형의 일반적 절차 323
4. 가치 갈등 수업 모형의 유의사항 324
제 7 장 가치 분석 수업 모형 325
1. 가치 분석 수업 모형의 개념 및 특징 325
2. 가치 분석 모형: 쿰즈와 묵스 326
3. 가치 분석 모형의 일반적 절차 327
4. 가치 분석 수업 모형의 한계와 유의점 329
제 8 장 내러티브와 도덕이야기 수업 모형 330
1. 내러티브 접근법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330
2. 도덕 이야기 수업 모형의 개념과 장점 333
3. 도덕 이야기 수업 모형의 절차 334
4. 활용상의 유의사항과 교사의 역할 335
제 9 장 봉사활동학습 336
1. 봉사활동 학습의 개념과 도덕교육적 의의 336
2. 봉사활동 학습의 실행 절차 337
3. 도덕교육학자들의 봉사활동에 대한 입장 339
4. 봉사활동 학습의 활용 시 유의사항 340
제 10 장 사회 행위 모형 341
1. 사회 행위 모형의 개념 341
2. 사회행위 모델(시민적 능력)의 세 가지 구성요소 342
3. 사회행위 학습을 위한 코스 343
4. 사회행위 학습 코스들이 포함된 학생 프로젝트 344
5. 사회 행위 학습 모형을 통해 발달되기를 기대하는 능력 345
6. 교사의 역할 346
7. 사회 행위 모형의 장점과 한계점 346
제 11 장 개념 분석 수업 모형 347
1. ‘개념’과 개념 분석 모형의 의미 347
2. 개념 분석 모형의 절차 348
3. 개념 분석 수업 모형의 문제점과 유의사항 349
제 12 장 배려 수업 모형 350
1. 배려 수업 모형의 개념 및 특징 350
2. 배려 수업 모형의 절차 350
3. 수업 적용 시 유의사항 351
제 13 장 경험 수업 모형 352
1. 경험 수업 모형의 개념 및 기본 가정 352
2. 경험 수업 모형의 절차 353
3. 적용 시 유의사항 354
제 14 장 고려 모형 355
1. 고려 모형의 이론적 기초: 맥페일의 입장 355
2. 라이프라인 시리즈 356
3. 고려 모형의 비판점 359
제 15 장 도덕과 교육과정 360
1. 도덕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360
2. 최근의 도덕과 교육과정 366
3. 2015 개정 교육과정 371
제 16 장 도덕 · 윤리과 평가 381
1. 기존 도덕 · 윤리과 평가의 문제점 381
2. 도덕 · 윤리과 평가의 본질과 활용방안 382
3. 도덕과의 목표 설정에 따른 평가 방법 383
4. 수행평가의 대두 배경과 도입의 필요성 384
5. 수행평가의 개념과 특징 385
6. 수행평가의 의의 386
7. 수행평가의 방법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