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9393212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1-02-22
책 소개
목차
1부 창조의 찬가
01 ‘태초에’의 번역이 중요한 이유
02 하나님만 주어가 되는 동사
03 모든 피조물의 ‘존재의 의미’
04 최초로 있게 하신 피조물
05 ‘좋았다’가 생략된 날과 다음날
06 하늘을 광명체로 단장하신 날
07 성령님이 수면 위에 너풀거리시다
08 ‘땅의 존귀’ 식물을 창조하시다
09 ‘반려자’로서 생물을 창조하시다
2부 타락의 나락
10 풍성한 에덴의 특별한 동산
11 뱀의 간교한 정체와 비밀
12 하늘과 땅의 내력, 톨레도트
13 가인을 낳은 하와의 함성
14 아벨의 의미와 인격과 정성
15 속죄를 얻고자 하는 선물
16 살인자를 다루시는 하나님
17 들판에서 벌어진 즉석 재판
18 가인 후손과 셋 후손의 차이
19 가인과 셋의 7대손 비교
20 ‘네피림’의 정체 탐구
3부 노아의 내력
21 부패하고 포악한 시대의 노아
22 친히 창조하신 걸 멸할 정도면
23 믿고 순종하는 자, 구원받으리
24 ‘방주에서 나오라’ 명하실 때까지
25 홍수 이후의 축복과 생명 보호법
26 70족속, 니므롯, 그리고 벨렉
4부 족장의 등장
27 여러 민족의 아버지 등장
28 하나님만 의지하도록 성별시키다
29 아브람의 국제전쟁과 멜기세덱
30 칭의와 언약체결식과 할례
31 아브라함의 접대와 소돔의 참상
32 아비멜렉의 꿈에 나타나셔서
33 어미 사라의 이스마엘 축출
34 강하게 하려고 검증하시다
35 사라의 죽음 이야기가 긴 이유
36 사라의 무덤을 구한 교섭 과정
37 아브라함 사후 족보의 비밀
5부 계시의 진전
38 이삭에게 반복된 불임의 이유
39 교회의 씨를 쟁취하려는 싸움
40 쌍둥이의 출생과 이삭의 족보
41 나그네일 때 오히려 강해진다
42 인간의 행동이 좌충수가 되다
43 선택에 걸맞는 언약과 규정
44 야곱의 급여와 드라빔 절도
45 축복을 향한 일념과 서원의 변화
46 에서와 야곱의 톨레도트
47 며느리와 시아버지 관계의 결과
6부 성취의 모형
48 요셉의 고난과 형통의 배후
49 감옥에 갇혀 있던 꿈 해석자
50 바로의 곤경과 한계의 해결자
51 요셉이 형들을 다루는 방식
52 요셉이 의도한 바의 첫 열매
53 요셉이 절하는 형들과 상봉하다
54 형들의 변화와 갈등의 해소
55 애굽에서도 나그네로 살기를
56 두 아들의 입적과 무덤의 예언
57 요셉이 말년에 붙잡고 산 것
저자소개
책속에서
저자의 서문 중에서
이 책이 나오기까지 14년의 세월이 걸렸습니다. 2003년 12월 3일 미국으로 이민 와서 애리조나 주의 씨에라 비스타에 사는 셋째 아들 피터의 집에 머무는 동안, 내 영혼에 양식이 필요하였습니다. 한국어 성경을 읽는 것으로는 마음에 차지 않아 마음먹고 히브리어 본문을 대했지만, 지식이 부족했고 가진 도서도 별반 없어서 큰 진전과 만족은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우리 내외가 미국의 동서남북을 밴(Van)을 타고 설교 여행(Preaching Tours)을 하다가, 잊지 못할 추억을 안겨준 하도례(Theodore Hard) 선교사의 댁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그 분은 웨스트 버지니아 주 동부의 어느 마을에서 가난하게 살고 계셨습니다. 두 내외가 긴 이야기로 하룻밤을 지내고(이것이 그 분들과 육신으로는 마지막 만남이 되었지요) 집으로 돌아오려 할 때, 책 몇 권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그 중 하나가 <Analitical Key to the Old Testament>(by John Joseph Owens)였습니다. 내게 성경을 읽는 재미를 더해 준 양서였습니다. 읽으면 읽을수록 개혁주의에서 말하는 구속사적인 성경 해석이 무엇인가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1980년도 중반부터 구속사적 관점으로 성경을 읽고 연구하는 관심이 나를 지배해왔기에, 다른 관점에서 성경을 푸는 책들은 읽어 보아도 맛이 나지 않아 별 흥미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설교 여행에서 건진 또 하나의 큰 수확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네덜란드 개혁자들의 후예들이 세운 개혁신학교에 들른 일입니다. 그곳에서 구약학 교수인 코넬리우스 반담(Cornelius Van Dam) 교수를 알게 되었습니다. 반담 교수는 내게 ‘성경과 그 선언’쯤으로 번역할 수 있는 네덜란드어 원서 <De Heilige Schrift en Haar Verklaring>(J. C. Sikkel)와 <창세기(Genesis)>(W. H. Gispen)를 추천했습니다. 이 책들을 구할 능력이 없었으나, 당시 출석 교회인 Grace Church의 케니스 로스(Kenneth Roth) 목사가 교회 자금으로 주문해주었습니다.?게세니우수의 <히브리 문법>과 시드니 그레다누스(Sydney Greydanus)의 명저 <Preaching Christ from Genesis>도 구입해 선물로 주었습니다.?
이렇게 저렇게 좋은 선물들을 받고 창세기 연구를 이어나갔습니다. 그리고 연구의 진척과 성과를 알리기 위해, 창세기 한두 장을 연구한 내용을 영역(英譯)해서 그 분들에게 알렸습니다. 영역 작업에는 당시 휴스톤 한빛교회의 배동자 전도사와 Hanson Kristine, Bill Hill, Sharri 등의 남녀 집사들이 거들었습니다. 배 전도사는 이후 교육학 박사를 취득하고 과테말라에서 성실히 섬기고 있지요. 이런 사연들을 거쳐서 이 책의 기초가 된 ‘창세기 강해 원고’가 2006년부터 2007년 사이에 마무리됐습니다. 이후 캐비넷 속에서 몇 년간 잠자고 있던 이 원고를 당시 서울 사랑의교회에서 부목사로 사역하던 제 장남 박영은 목사가 어려운 나의 글을 풀고 정리하여 일차로 《구원의 길이 시작되다》(2013년 생명의말씀사 간)라는 제목으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그 책은 창세기 1장에서 5장까지의 분량만 다룬 것이었습니다. (중략) 5장까지만을 책으로 엮어 내놓고 나머지를 어찌 해야 할지 막막해 하면서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 사이에 아들 영은 목사에게 큰 소임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박영은 목사는 자신에게 닥친 큰 변화들을 겪으면서도 이 책의 나머지 부분의 출간을 숙제로 여기고 있었던 듯합니다. 어느 날 출판사 편집장 출신의 친구로부터 조언과 도움을 받아, 창세기 1-50장까지 그 도저(到底)한 구속사의 흐름을 마치 명장면들을 잡아내 소개하는 방식으로 정리해내었고, 마침내 《바이블 제네시스》(설교와 성경 연구를 충족시키는 구속사 중심 창세기 주해>라는 제목으로 이 책을 출간하기에 이르렀다는 소식을 전해준 것입니다. (중략) 모든 것을 때맞춰 섭리하시는 하나님께만 이 영광을 돌립니다. 이제는 여호와 주 하나님이 명령하셨듯이 “깨어나서 일어나 빛을 발할 때”가 됐습니다! 이것이 또한 창세기가 주는 메시지입니다. 이 모든 일은 하나님 은혜가 없으면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Soli Deo Gloria!
만약 ‘베레쉬트’가 연계형이라면, 히브리어에 엑센트는 없어야 합니다. 그러나 본문의 ‘베레쉬트’에는 분리 엑센트라고 하는 ‘티프카’(‘쉰’과 ‘요드’ 밑에 있는 사선 형태의 조그마한 선)가 나타납니다. 이것은 라쉬나 에즈라의 주장과 달리 ‘베레쉬트’가 독립형이라는 근거가 되어 무에서의 창조를 지지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보수주의 진영에서 ‘이 엑센트가 베레쉬트가 독립형이라고 뒷받침하는 근거’라고 주장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영 박사가 말한 대로 이런 부호를 넣은 마소라 학자들도 틀릴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적어도 전통적인 입장, 즉 ‘무에서의 창조’를 지원해주는 독립형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이기는 합니다. 따라서 엑센트의 유무가 무에서의 창조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고 저는 믿습니다. 참고로 연계형에도 분리 엑센트가 있습니다만(예: 창 2:12의 ‘금은’; 2:17의 ‘나무의’) 의미 변화가 크지는 않습니다.
모세가 하나님의 영감으로 동사 ‘바라’를 특별히 골랐다고 보는 이유는 당시 고대 근동에서 이 동사를 쓴 예가 없기 때문입니다. 고대 근동의 신화에서 창조란 기존 물질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에, 고대 근동에서 ‘창조’를 의미하는 단어는 기존 물질에서의 창조를 전제로 합니다. 이러한 연유로 고대 근동의 문화에서는 ‘바라’의 의미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성경의 용례를 살펴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동사의 주어는 오직 하나님이십니다. 성경에는 ‘바라’와 같은 뜻을 가진 동사들, 예컨대 아사(사 45:18), 야찰(사 45:18), 파알(출 15:17), 쿤(잠 8:27), 바나(창 2:22)와 같은 동사들은 그 주어가 하나님이 될 수 있고 사람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바라 동사만은 오직 하나님만을 주어로 취합니다. 신적 동작을 의미하는 동사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