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8976637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3-02-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Ⅰ. 들어가기 13
1. 사림파 문인의 사부를 다시 보는 이유 13
2. 먼저 확인해 볼 사항 17
1) 사림파, 술회사부, 도학사상이라는 용어 18
2) 사부, 술회문학, 도학에 관한 앞선 연구들 23
3) 통합인문학적 고찰 31
3. 술회사부를 남긴 사림파 문인과 그 작품 33
Ⅱ. 사부의 전개양상과 술회사부 창작배경 54
1. 조선 초·중기 사부 창작 흐름 54
1) 훈구파의 사부 창작양상 55
2) 사림파의 사부 창작양상 59
3) 사림파 내 학맥별 사부 창작양상 63
2. 술회사부의 의미범주 70
1) 술회사부의 위상 71
2) 술회성의 판단 78
3) 술회사부의 존재방식 80
3. 술회사부의 창작배경 87
1) 과체·설리사부의 퇴조 88
2) 사적 기록 욕구의 확장 89
3) 서사의 장편화 91
Ⅲ. 사림파 문인의 술회사부 창작의식 94
1. 술회사부의 제재와 창작 동기 94
1) 삶의 회고[생애회고生涯回顧] 96
2) 접물의 감회[즉물생정卽物生情] 101
3) 심미적 의취[탁물언지託物言志] 110
4) 이별의 슬픔[이별애사離別哀思] 116
2. 술회사부를 통해 말하려고 하는 주제 123
1) 자기 표출하기[아우이사我憂以寫] 124
2) 인생 궁구하기[구물아지생생究物我之生生] 137
3) 세태 나무라기[쟁기태감爭譏太憨] 148
4) 노력 약속하기[서언건건誓言乾乾] 159
3. 술회사부의 주요 표현기법 166
1) 바로 쓰기[직서直敍] 168
2) 빗대어 쓰기[우의寓意] 174
3) 빌려 쓰기[의고擬古] 180
4) 섞어 쓰기[혼용混用] 182
4. 사림파 술회사부 창작의식의 특징과 변모 184
1) 하나의 글에 여러 뜻[일문다의一文多義] 184
2) 벗어나고 비틀고[일탈변주逸脫變奏] 189
3) 숨김없는 표현[감성표출感性表出] 195
Ⅳ. 사림파 문인의 술회사부에 나타나는 도학 담론 201
1. 사림파의 문학관과 도학 202
1) 사림파의 정체성 203
2) 사림파와 도학의 관계 204
3) 도학과 문학의 관계 206
2. 존양자찰存養自察의 수양 담론 215
1) 존심양성存心養性의 원리 215
2) 관물찰리觀物察理의 방법 225
3) 존천리알인욕存天理遏人欲의 실천 238
3. 안민보국安民報國의 지치 담론 244
1) 경세교화經世敎化의 자임 245
2) 제행요지霽行潦止의 갈등 251
3) 충군보국忠君報國의 의리 257
4. 도문혼융道文渾融의 미적 담론 260
1)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청한미淸閒美 262
2) 담박간결淡泊簡潔의 허정미虛靜美 274
3) 포용융화包容融和의 묘합미妙合美 283
Ⅴ. 술회사부 창작의식과 도학적 성격의 상관성 293
1. 창작의식에 따른 도학적 성격의 표출방식 294
1) 도학 용어로 직접 표출 295
2) 도학적 관점으로 제재 해석 300
3) 주제와 제재의 다면다층적 활용 303
2. 창작의식과 도학적 성격의 관련 양상 310
1) 도학적 내용이 창작의식을 주도하는 경우 310
2) 도학적 내용이 창작의식에 융해된 경우 313
3) 도학적 내용이 창작의식에 숨어 있는 경우 316
3. 창작의식에 나타나는 도학적 성격의 지향가치 323
1) 도학자의 긍지와 자부심 과시 324
2) 사회적 모순의 극복과 자기치유 329
3) 천인합일의 순자연 추구 335
4) 도학의 미적 감흥 증폭 340
Ⅵ. 마무리 344
1. 술회사부의 문학적 가치와 그 속에 담긴 도학의 의미 344
2. 사부와 사림파의 재발견, 그 의의과 가치 347
3. 술회사부의 연구와 활용에 거는 기대 350
【참고 작품】 353
1. 탁영 김일손의 <추회부> 353
2. 학봉 김성일의 <무장공자사> 359
3. 부사 성여신의 <차별지부증별김동리> 363
【부 록】 사림파 문인의 사부 제목 일람 367
【참고 논저】 383
【찾아보기】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