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나라별 요리 > 한국요리
· ISBN : 9791189801229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9-12-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꽃과 우리 민족과 사랑
꽃 식용의 역사
꽃 요리의 본질과 우리 꽃음식
제1장 매화꽃
꽃 시 월매(평보)
매화죽(〈정조지〉 복원음식)
매화탕 1(〈정조지〉 복원음식)
매화탕 2(〈정조지〉 복원음식)
홍매화 밀전병
소금에 절인 매화를 얹은 생선초밥
매화주를 넣은 매실잼
꽃의 품계
제2장 진달래꽃
꽃 시 진달래(조병화)
진달래화전고(〈정조지〉 복원음식)
진달래면(〈정조지〉 복원음식)
진달래꽃 원소병
진달래꽃 계란덮밥
진달래꽃 튀김을 올린 우동
진달래의 나라 한국과 진달래꽃의 다양한 활용법
제3장 유채꽃
꽃 시 유채꽃(이해인)
유채꽃 볕에 말리는 법(〈정조지〉 복원음식)
유채꽃 피자
유채꽃 비빔밥
유채꽃 김전병
유채꽃 계란찜
구황, 미식, 건강
제4장 복숭아꽃
꽃 시 도화(장유)
도화주桃花酒(〈정조지〉 복원음식)
밑술 빚는 법
덧술 빚는 법
복숭아꽃 주먹밥
복숭아꽃 리코타치즈
복숭아꽃 밤떡
식용 꽃과 식용할 수 없는 꽃
제5장 소나무꽃
꽃 시 송화 필 무렵(임홍재)
송황다식松黃茶食(〈정조지〉 복원음식)
송화주松花酒(〈정조지〉 복원음식)
송화강정
송화밀수
송화와 소금
제6장 부들(포황)
꽃 시 부들(송종찬)
포황다식松黃茶食(〈정조지〉 복원음식)
포황도넛
꽃음식에 적합한 꽃
제7장 해당화
꽃 시 해당화(한용운)
해당화 상추뿌리김치(〈정조지〉 복원음식)
해당화 백김치
해당화 꽃주와 해당화 설탕절임을 넣은 케이크
해당화 가자미구이
제8장 치자꽃
꽃 시 치자꽃 향기(고영화)
담복자방薝蔔鮓方 1(〈정조지〉 복원음식)
담복자방薝蔔鮓方 2(〈정조지〉 복원음식)
치자꽃 머핀
치자꽃 밥
담복화전
치자꽃 칵테일
치자꽃의 전설
제9장 원추리꽃
꽃 시 원추리꽃은 붉다(정하선)
황화채방黃花菜方(〈정조지〉 복원음식)
원추리꽃 고추장
원추리꽃 보리수단
원추리꽃 쌈밤
원추리꽃 잡채
꽃에 어울리는 꽃음식 조리법
제10장 장미
꽃 시 장미(노천명)
향화숙수香花熟水(〈정조지〉 복원음식)
향화숙수 에이드
꽃의 구조
제11장 부용화
꽃 시 부용화(백승훈)
설하갱雪霞羹(〈정조지〉 복원음식)
설하갱을 활용한 동파두부
부용화전
부용화 삼겹살
꽃의 색이 다른 이유
제12장 연꽃
꽃 시 연꽃(주돈이)
연꽃 식초(〈정조지〉 복원음식)
연꽃 누룩(〈정조지〉 복원음식)
만전향주滿殿香酒(〈정조지〉 복원음식)
연엽양蓮葉釀(〈정조지〉 복원음식)
연꽃 약식
제13장 찔레꽃
꽃 시 찔레꽃(김경희)
술에 꽃향 들이는 법(〈정조지〉 복원음식)
찔레꽃 감자샐러드
찔레꽃 전설
제14장 참깨꽃
꽃 시 참깨꽃(문신)
참깨꽃을 넣어 구운 고기(〈정조지〉 복원음식)
참깨꽃주를 넣은 완자
식용 꽃의 영양과 칼로리
제15장 가지꽃
꽃 시 가지꽃(곽미경)
가지꽃을 넣어 삶은 고기(〈정조지〉 복원음식)
가지꽃을 넣은 연근 해초 피클
제16장 부추꽃
꽃 시 부추꽃(송무석)
부추꽃 소금에 절이는 법 1(〈정조지〉 복원음식)
부추꽃 소금에 절이는 법 2(〈정조지〉 복원음식)
부추꽃 볶음
부추꽃 장아찌
부추꽃 파김치
제17장 미나리꽃
꽃 시 미나리꽃(곽미경)
벽간갱碧澗羹(〈정조지〉 복원음식)
미나리꽃부리 김치(〈정조지〉 복원음식)
미나리꽃 새우부침개
다른 나라의 꽃음식 문화
제18장 상추꽃
꽃 시 상추꽃(곽미경)
술지게미에 절인 상추꽃대(〈정조지〉 복원음식)
와순채萵筍菜 상추꽃대(〈정조지〉 복원음식)
소금에 절여 말린 상추꽃대(〈정조지〉 복원음식)
상추꽃대 볶음(〈정조지〉 복원음식)
불뚝김치
제19장 맨드라미꽃
꽃 시 맨드라미꽃(이규보)
맨드라미 가지김치 1(〈정조지〉 복원음식)
맨드라미 가지김치 2(〈정조지〉 복원음식)
맨드라미꽃 가지볶음
맨드라미꽃 소스
맨드라미꽃 증편
오방색과 꽃
제20장 국화
꽃 시 국화(안경원)
절기음식, 국화화전(〈정조지〉 복원음식)
국화차 菊花茶 1(〈정조지〉 복원음식)
국화차 菊花茶 2(〈정조지〉 복원음식)
국화차 菊花茶 3(〈정조지〉 복원음식)
국화차 菊花茶 4(〈정조지〉 복원음식)
국화주 菊花酒(〈정조지〉 복원음식)
국화꽃으로 훈제한 오리고기
말린 국화꽃을 묻힌 경단
감국과 산국의 구별법
에필로그
부록 《임원경제지》 〈정조지〉 복원 음식 원문 및 번역문
리뷰
책속에서
봄에 피는 가냘픈 제비꽃으로 보랏빛 시럽을 만들어 접시에 뿌리자 접시는 따뜻하고 활력이 넘치는 정원이 되고 다양한 계절 꽃과 함께 쪄낸 생선에서는 생기가 돌기 시작한다. 작은 꽃 몇 송이가 마법을 부린 듯하였다. 음식에 자연과 계절을 담기에 가장 효율적인 식재료는 바로 꽃이었다. 꽃은 소박하고 단순한 음식도 사치스럽고 우아하며 섬세한 음식으로 바꾸어 준다.
〈정조지〉의 꽃음식 복원 결과가 전통 꽃음식의 발전과 서유구 선생을 세상에 알리는 데 도움 이 되기를 바란다. 한식에 담긴 맛과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의 문화를 널리 알리는 일이 숙제가 된 지금 〈정조지〉 속의 아름다운 꽃음식의 가치는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