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9946449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0-02-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전쟁 연구와 근대 일본
1. 전쟁의 원인
2. 전쟁의 수행
3. 전쟁의 영향
4. 전쟁과 국제체제
제2장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국가전략논쟁과 대외정책
1. 왕정복고 직후 주요 정치세력의 국가구상과 대외정책론
2. 국가체제의 정비와 육해군제도의 건설
3. 메이지 초기의 대외정책: 정한론, 타이완 정벌, 조선 개국
제3장 1880년대 일본 국가전략의 확장과 대외정책
1. 국력의 증강과 국가전략론의 적극화
2. 임오군란의 발발과 군비증강의 본격화
3. 대청(對淸) 가상적국론의 대두
제4장 청일전쟁
1. 전쟁 발발의 배경
2. 개전과 초기 경과
3. 절대전쟁론과 제한전쟁론의 대립
4. 시모노세키 강화협상과 전후 질서
제5장 러일전쟁
1. 러일 협상론과 개전론의 대립
2. 제해권 확보와 선제공격
3. 포츠머스 강화조약과 전후 질서
제6장 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
1. 영국과 독일 간의 패권경쟁과 사라예보 사건
2. 일본의 참전
3. 세계대국으로의 부상
제7장 군국주의로의 경로와 만주사변
1. 국제협조론과 총력전 노선의 대립
2. 이시와라 간지와 만주사변
3. 군부의 대두와 국제협조노선에서의 이탈
제8장 중일전쟁
1. 국제연맹 탈퇴 이후의 육군과 해군
2. 무조약시대의 국가전략: 「제국국방방침」의 개정과 「국책의 기준」
3. 중일전쟁의 발발과 확대
4. 1938년의 전황과 ‘동아(東亞)신질서’ 선언
5. 1939~1940년의 전황: 하이난다오 점령, 노몬한 전투, 이창 전투
제9장 아시아·태평양전쟁
1. 제2차 고노에 내각의 대동아공영권 이론과 일-독-이 추축 결성
2. 전쟁계획의 확대
3. 도조 히데키 내각의 등장과 대미 개전의 길
4. 전쟁의 발발과 일본의 초기 공세
5. 미국의 반격과 전세의 전환: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전투, ‘절대국방권’
6. ‘절대국방권’의 붕괴와 패전의 길
제10장 일본의 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