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안보의 이해

한국안보의 이해

김계동, 김재관, 박영준, 유인태, 이상현, 이왕휘, 이태동, 장성일, 정구연, 정헌주, 조양현, 황지환 (지은이)
명인문화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한국안보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안보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61931241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25-02-26

책 소개

안보는 국민을 보호하고, 국가가 생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이 책은 한국이 새로운 안보 환경에서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대응을 모색하면서 한국안보가 나아가야 할 길을 찾고 있다.

목차

서문

제1부 한국안보정책의 방향과 분야별 안보

1장 한국안보의 목표와 방향

1. 서론
2. 한국 안보환경의 변화: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해체?
3. 한국 안보정책을 위한 국익과 가치 평가
4. 한국 국가안보의 새로운 목표와 방향
5. 한국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2장 한국의 사이버안보
1. 서론
2. 사이버안보의 개념과 특징
3. 한국 사이버안보 전략과 국내 제도 수립
4. 한국 사이버안보 민관협력 거버넌스
5. 한국 사이버안보와 국제관계
6. 한국 사이버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3장 한국의 우주안보
1. 서론
2. 우주안보의 개념과 특징
3. 우주안보의 환경변화와 중요성
4. 한국 우주안보의 목표와 추진 방향
5. 한국 우주안보의 현안과 쟁점
6. 한국 우주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4장 한국의 해양안보
1. 서론
2. 해양안보의 개념과 특징
3. 국제정치에서 해양안보의 중요성
4. 해양안보의 현안과 쟁점
5. 한국 해양안보의 환경과 국내외적 정책방향
6. 한국 해양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5장 한국의 기후·환경안보
1. 서론
2. 기후·환경안보의 개념과 특징
3. 기후·환경과 경제안보의 연계
4. 기후·환경안보의 현안과 쟁점
5. 한국 기후·환경안보의 현황과 쟁점
6. 한국 기후·환경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제2부 전략 및 평화적 안보

6장 한미동맹

1. 서론
2. 동맹의 개념과 주요이론
3. 한미동맹 등장 배경과 발전
4. 동맹 관련 한미의 국익과 가치 평가
5. 한미동맹 관련 주요 현안과 쟁점
6. 한미동맹의 과제와 미래전망

7장 대북억제와 국방전략
1. 서론
2. 억제전략의 개념과 유형
3. 남북한 군사력 평가
4. 북한의 재래식 및 핵 군사력 운용전략: 군사도발 가능성 평가
5. 국방전략으로서의 대북 억제태세
6. 북한 도발 시 한국의 대북 국방전략
7. 한국 국방전략의 과제와 미래전망

8장 북핵문제와 한국의 안보전략
1. 서론
2. 북핵문제의 등장과 변화
3. 북한의 핵전략과 군사적 위협
4. 한미의 대응전략과 한국안보
5.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협상과 안보딜레마
6. 한반도 핵무기정치의 미래전망

9장 미중갈등관계와 한국의 안보
1. 서론
2. 미중관계의 역사적 변천: 갈등과 협력의 교차
3. 미중갈등의 요인
4. 미중갈등관계의 주요 분야
5. 미중갈등이 동북아 및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
6. 미중갈등관계에서 한국안보의 과제와 선택

10장 한미일 안보협력의 가능성과 한계
1. 서론
2. 한일관계의 갈등구조
3. 한국안보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정책
4. 한일/한미일 안보협력의 평가 및 쟁점
5. 한미일 안보협력의 가능성과 한계

11장 북중러 삼각관계와 한국안보
1. 서론
2. 북중러 삼각관계 내 양자관계의 변화와 전망
3. 남방삼각관계와 북방삼각관계의 부활: 가능성과 한계
4. 북방삼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안보에의 영향
5. 북방삼각관계 대비 한국안보의 과제와 전략적 선택 _ 340

12장 다자안보와 한반도 평화구축
1. 서론
2. 다자안보의 개념과 유럽의 사례
3. 동북아다자안보협력: 필요성, 가능성, 그리고 한계
4. 한반도 평화협정 또는 평화체제 모색
5. 한반도 평화구축: 공존과 평화의 제도화 과정
6. 한반도 평화의 과제와 미래전망

찾아보기
저자소개
도해목차

글상자
1.1 국가정체성이란?
2.1 사이버방어
2.2 컴퓨터비상대응팀(CERT)
3.1 케슬러신드롬
3.2 세계 주요국의 위성발사 역사
3.3 주요 비국가 우주행위자
3.4 지구궤도의 종류와 저궤도위성군의 활용
3.5 아르테미스협정
4.1 해상교통로와 해상수송로
4.2 초크 포인트
5.1 기후안보의 개념
5.2 식량안보의 개념
5.3 Fit for 55
6.1 한미동맹의 통합단일지휘체계
7.1 한미연합작전계획
8.1 핵확산금지조약(NPT)
8.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공동성명
8.3 핵무력정책법의 주요 내용
9.1 대만해협 워게임
9.2 반도체전쟁
10.1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10.2 물품역무상호제공협정(ACSA)와 원활화협정(RAA)
11.1 북러가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주요 내용
12.1 다자주의

도표
1.1 2025년 한국정부의 국가안보전략 구조
4.1 한국의 지역별 원유 수입
5.1 기후변화 취약성의 직접적 경제안보 영향
5.2 기후변화와 식량-경제안보
5.3 기후변화와 에너지-경제안보
5.4 기후변화와 국제 통상-경제안보
5.5 기후변화와 복합 경제안보
6.1 한미 양국 지휘구조와 연합방위 형태
6.2 인도·태평양의 지리적 구획
7.1 유엔군사령부 일본 내 후방기지 7개소
9.1 미국의 대중 인식
9.2 중국의 대미관계 평가
9.3 GDP/국방비
9.4 한미일 대 북중러
11.1 신냉전 다극화 시대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2018년 이후)
11.2 미중관계와 북중관계의 연관성
11.3 북중러 삼각관계의 3단계 변화
12.1 남북한 공존과 평화의 제도화 과정


1.1 2022년 바이든정부 NSS 주요 전략
1.2 한국 역대 정부의 국가안보 비전과 목표
4.1 주요 초크 포인트의 수송 능력, 위협 요인
4.2 주요 초크 포인트를 통과하는 원유 및 석유제품의 물동량
6.1 인도·태평양 역내 아키텍처 구축 현황
6.2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 현황
7.1 남북 군사력 현황 비교
7.2 북한의 핵실험 규모 및 특성
7.3 북한 핵탄두 보유량 추정
7.4 한국 육·해·공군의 한미연합훈련 현황
8.1 북한의 핵실험과 핵능력
9.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정치 구조의 변천
9.2 미국의 대중 개입정책의 역사적 동기
9.3 미국의 대전략
9.4 중국의 대전략
9.5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관계와 결과: 네 가지 유형
9.6 대전략과 미중관계
9.7 한국 반도체·배터리·자동차 기업의 해외생산시설: 미국과 중국
12.1 6자회담 합의에 포함된 ‘한반도 평화체제’
12.2 노태우와 김대중의 대북정책 비교

지도
4.1 호르무즈해협의 위치
4.2 주요 초크 포인트를 통과하는 일일 석유의 물동량
4.3 후티 반군의 선박 공격 위치
4.4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선박의 항해 경로

저자소개

김계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옥스퍼드대 정치학 박사 현 건국대 안보·재난관리학과 초빙교수 연세대 교수 국가정보대학원 교수(교수실장)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외교부 국립외교원 명예교수 한국전쟁학회 회장/한국정치학회 부회장/국가정보학회 부회장/국제정치학회 이사 국가안보회의(NSC)/민주평통 자문회의/국군기무사/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성신여대, 국민대, 숭실대, 숙명여대, 동국대, 통일교육원 강사 역임 [주요 논저] Foreign Intervention in Korea (Dartmouth Publishing Company) 『남북한 체제통합론: 이론, 역사, 정책, 경험, 제2판』 (명인문화사) 『남북한 국가관계 구상』 (명인문화사) 『북한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 (명인문화사) 『한반도 분단, 누구의 책임인가?』 (명인문화사) 『한국전쟁, 불가피한 선택이였나』 (명인문화사) 『현대유럽정치론: 정치의 통합과 통합의 정치』 (서울대학교출판부) “다자안보기구의 유형별 비교연구: 유럽통합과정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반도 분단·전쟁에 대한 주변국의 정책: 세력균형이론을 분석틀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동맹이론을 분석틀로” (국제정치논총) “남북한 체제통합: 이론과 실제” (국제정치논총) “북한의 대미정책: 적대에서 협력관계로의 전환모색” (국제정치논총) “국제평화기구로서 유엔역할의 한계” (국제정치논총) “강대국 군사개입의 국내정치적 영향: 한국전쟁시 미국의 이대통령 제거 계획” (국제정치논총) 외 다수
펼치기
김재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외교, 한반도와 국제정치, 동아시아 정치경제, 미·중·러 전략적 삼각관계 등이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KCI) 원장,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 사무총장, 한국유라시아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주요 저서로는 『미중 전략경쟁시대 한국의 대외전략 51문답』(2022, 공저), 『신한반도체제 실현을 위한 미·중·러의 세계전략 연구』(2019, 공저), 논문으로는 “시진핑-푸틴 집권기 중러관계의 신추세에 관한 연구”(2021), “바이든 정부의 對 중국 외교정책에 대한 분석과 전망”(2021) 등이 있다. 김재관 교수는 이 책의 ‘7장 세계질서의 변화와 한반도: 신냉전 질서의 현실화와 격동하는 한반도’를 집필했다.
펼치기
박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교수 겸 부설 국가안보문제연구소장 청와대 국가안보실, 국방부, 외교부, 합참 등 정책자문위원 미국 하버드대학교 Program on US-Japan Relations 방문학자 일본 도쿄대학교 국제관계전공 박사 • 주요 저술 데탕트시기 전후 안보도전과 한국의 대미 및 대일 외교(국립외교원, 2024) 제국 일본의 전쟁, 1868-1945(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한국 국가안보전략의 전개와 과제(한울, 2017)
펼치기
이왕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런던정경대(LSE)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바이든 시기 중국의 다자외교 전망”, “동아시아 지역 정체성의 역사적 변화와 그 국제정치적 함의”, “중국 지경학의 기원-전한 시대 화친(和親)과 기미(羈縻)”, “수렴과 다양성/분기 이분법: 미중 패권 전이 논쟁에 주는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장성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외교학 전공 석사 학위를, 『냉전기 에너지 안보 위기 시 미국의 안보정책 결정 연구: 해상 수송로 안보와 군사력의 사용 결정』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강사를 역임,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국제정치학 입문, 외교정책론, 미국 외교정책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국 외교정책의 결정 과정,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같은 외교정책 제도, 외교정책 이론, 해양안보 및 에너지 안보 등이다. 논저로는 “해상수송로 안보와 미국의 외교정책: 레이건 행정부의 쿠웨이트 유조선 군사적 보호 결정”(2022, 한국과 국제정치), “미국 국가안보 제도의 기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창설 과정에서 관료 조직 간 정치,”(2021, 평화연구), “외교정책 연구에서 ‘정책결정(Decision-making)’ 관점 재조명”(2020, 국제정치논총), “위기 시 미국 외교정책 결정의 통합적인 분석”(2020, 한국정치학회보) 등이며, 미국 백악관 1차연구자료를 활용하여 미국 외교정책의 결정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 책임자로서 주요 한국 외교정책 관련 외교문서를 해제하는 국립외교원의 연구를 수행했으며, 한국정치학회가 수여하는 ‘리서치그랜트’를 수상(2021)했고, 서울대학교 ‘기초학문분야 학문후속세대’로 선정(2016)되었다.
펼치기
정구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캘리포니아 대학 로스앤젤레스 (UCLA) 정치학 박사 현) 외교부·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주요 연구영역: 미국 대외정책, 인도-태평양 지역안보 아키텍쳐, 그레이존 갈등 및 해양안보 최근 연구 “Ideology, Threat Perception, and Foreign Policy Preference: A Case of the ROK-US Allied Response to China” (2022) “4차산업혁명과 미국의 미래전 구상:인공지능과 자율무기체계를 중심으로” (2022) “트럼피즘과 트럼프 독트린: 이민자 인식에 대한 포퓰리즘의 영향력 분석” (2022) “South Korea’s Perspective on Quad Plus and Evolving Indo-Pacific Security Architecture” (2020) “Wartime Durability of the US-led Coalition of the Willing: The Case of the 2003 Operation Iraqi Freedom” (2020) 외 다수 논문 및 저서.
펼치기
황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 외교학 석사 콜로라도대 국제정치학 박사 현 서울시립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게이오대 정치학과 특별초빙교수 미국 가톨릭대 정치학과 방문학자 조지워싱턴대 정치학과 강사 명지대 북한학과 조교수 서울대 통일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임 [주요논저] North Korea, Nuclear Risk-Taking and the United States (Lexington Books) Engaging North Korea (공저, Routledge) 『한국안보의 이해』 (공저, 명인문화사) “Disillusioning Pyongyang’s Nuclear Deterrence Strategy” (KJDA) “미국과 중국은 ‘투키디데스 함정’에 빠져 있는가?” (동서연구)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지는 약화되어 왔는가?” (국가전략) 외 다수
펼치기
이태동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특훈교수이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환경-에너지-인력자원 연구 센터장을 맡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 공한 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워싱턴 대학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세계 도시와 기후변화 Global Cities and Climate Change: the Translocal Relation of Environmental Governance(Routledge 출판사)를 주제로 정 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된 관심사로 도시의 기후변화와 에너지 정책을 국제관계와 비교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환경-에너지정치, 마을학개론, 시민사회와 NGO 정치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마을학개론』(2017), 『우리가 만드는 정치』(2018), 『환경- 에너지 리빙랩』(2019), 『에너지전환의 정치』(2021), 『기후변화와 도시』(2023), 『시민정치와 NGO』(2023) 등의 저서를 출판하였다.
펼치기
이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핵정책학회(KNPS) 회장을 맡고 있다. 한국핵물질관리학회(INMM-K) 이사, 동아시아연구원 국가안보패널 위원, 핵비확산 및 군축을 위한 아태리더십 네트워크(APLN) 멤버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원, 외교통상부 정책기획관, 스웨덴 스톡홀름 안보개발정책연구소 (ISDP) 객원연구원, 워싱턴 DC, Stimson Center 방문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최근 주요 논저로는 『미중 패권경쟁과 한반도』(2020), “트럼프 행정부의 핵정책: 국제 핵비확산 레짐과 북핵문제에 대한 함의”(2019), 『현대 한미관계의 이해』 (2019, 공저),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안보전략(NSS): 국제정세 및 한반도에 대한 함의,”(2018),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한반도 평화실현과 국제협력』(2018, 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이상현의 다른 책 >
유인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이다. 일본 와세다대학교 방문연구원, 전북대학교 조교수, 연세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정치학회와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사이버경제안보 연구실장,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 기술안보연구실 연구위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거버넌스 연구협의회 운영위원이다. 사이버 안보, 경제(공급망) 안보, 신흥기술, 인터넷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정치(경제)를 연구해 왔다. 최근 연구로 「인공지능과 미·중 전략 경쟁의 국제정치: 글로벌 AI 반도체 공급망과 미국의 경제적 강압을 중심으로」, 「글로벌 첨단기술 공급망과 수출통제의 국제정치: 우주기술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의 사이버안보」, “Bilateral Cyber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in Northeast Asia”, “Cybersecurity Crisscross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mergence of Indo-Pacific Digital Economic Order”, “Internet Governance Regimes by Epistemic Community”, 「경쟁적 사이버 안보 다자주의의 출현: 2004년 유엔 정부전문가 그룹부터 2021년 개방형 작업반까지의 분석」 등이 있다.
펼치기
유인태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1931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