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61931241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25-02-26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한국안보정책의 방향과 분야별 안보
1장 한국안보의 목표와 방향
1. 서론
2. 한국 안보환경의 변화: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해체?
3. 한국 안보정책을 위한 국익과 가치 평가
4. 한국 국가안보의 새로운 목표와 방향
5. 한국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2장 한국의 사이버안보
1. 서론
2. 사이버안보의 개념과 특징
3. 한국 사이버안보 전략과 국내 제도 수립
4. 한국 사이버안보 민관협력 거버넌스
5. 한국 사이버안보와 국제관계
6. 한국 사이버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3장 한국의 우주안보
1. 서론
2. 우주안보의 개념과 특징
3. 우주안보의 환경변화와 중요성
4. 한국 우주안보의 목표와 추진 방향
5. 한국 우주안보의 현안과 쟁점
6. 한국 우주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4장 한국의 해양안보
1. 서론
2. 해양안보의 개념과 특징
3. 국제정치에서 해양안보의 중요성
4. 해양안보의 현안과 쟁점
5. 한국 해양안보의 환경과 국내외적 정책방향
6. 한국 해양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5장 한국의 기후·환경안보
1. 서론
2. 기후·환경안보의 개념과 특징
3. 기후·환경과 경제안보의 연계
4. 기후·환경안보의 현안과 쟁점
5. 한국 기후·환경안보의 현황과 쟁점
6. 한국 기후·환경안보의 과제와 미래전망
제2부 전략 및 평화적 안보
6장 한미동맹
1. 서론
2. 동맹의 개념과 주요이론
3. 한미동맹 등장 배경과 발전
4. 동맹 관련 한미의 국익과 가치 평가
5. 한미동맹 관련 주요 현안과 쟁점
6. 한미동맹의 과제와 미래전망
7장 대북억제와 국방전략
1. 서론
2. 억제전략의 개념과 유형
3. 남북한 군사력 평가
4. 북한의 재래식 및 핵 군사력 운용전략: 군사도발 가능성 평가
5. 국방전략으로서의 대북 억제태세
6. 북한 도발 시 한국의 대북 국방전략
7. 한국 국방전략의 과제와 미래전망
8장 북핵문제와 한국의 안보전략
1. 서론
2. 북핵문제의 등장과 변화
3. 북한의 핵전략과 군사적 위협
4. 한미의 대응전략과 한국안보
5.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협상과 안보딜레마
6. 한반도 핵무기정치의 미래전망
9장 미중갈등관계와 한국의 안보
1. 서론
2. 미중관계의 역사적 변천: 갈등과 협력의 교차
3. 미중갈등의 요인
4. 미중갈등관계의 주요 분야
5. 미중갈등이 동북아 및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
6. 미중갈등관계에서 한국안보의 과제와 선택
10장 한미일 안보협력의 가능성과 한계
1. 서론
2. 한일관계의 갈등구조
3. 한국안보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정책
4. 한일/한미일 안보협력의 평가 및 쟁점
5. 한미일 안보협력의 가능성과 한계
11장 북중러 삼각관계와 한국안보
1. 서론
2. 북중러 삼각관계 내 양자관계의 변화와 전망
3. 남방삼각관계와 북방삼각관계의 부활: 가능성과 한계
4. 북방삼각관계의 변화와 한국안보에의 영향
5. 북방삼각관계 대비 한국안보의 과제와 전략적 선택 _ 340
12장 다자안보와 한반도 평화구축
1. 서론
2. 다자안보의 개념과 유럽의 사례
3. 동북아다자안보협력: 필요성, 가능성, 그리고 한계
4. 한반도 평화협정 또는 평화체제 모색
5. 한반도 평화구축: 공존과 평화의 제도화 과정
6. 한반도 평화의 과제와 미래전망
찾아보기
저자소개
도해목차
글상자
1.1 국가정체성이란?
2.1 사이버방어
2.2 컴퓨터비상대응팀(CERT)
3.1 케슬러신드롬
3.2 세계 주요국의 위성발사 역사
3.3 주요 비국가 우주행위자
3.4 지구궤도의 종류와 저궤도위성군의 활용
3.5 아르테미스협정
4.1 해상교통로와 해상수송로
4.2 초크 포인트
5.1 기후안보의 개념
5.2 식량안보의 개념
5.3 Fit for 55
6.1 한미동맹의 통합단일지휘체계
7.1 한미연합작전계획
8.1 핵확산금지조약(NPT)
8.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공동성명
8.3 핵무력정책법의 주요 내용
9.1 대만해협 워게임
9.2 반도체전쟁
10.1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10.2 물품역무상호제공협정(ACSA)와 원활화협정(RAA)
11.1 북러가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주요 내용
12.1 다자주의
도표
1.1 2025년 한국정부의 국가안보전략 구조
4.1 한국의 지역별 원유 수입
5.1 기후변화 취약성의 직접적 경제안보 영향
5.2 기후변화와 식량-경제안보
5.3 기후변화와 에너지-경제안보
5.4 기후변화와 국제 통상-경제안보
5.5 기후변화와 복합 경제안보
6.1 한미 양국 지휘구조와 연합방위 형태
6.2 인도·태평양의 지리적 구획
7.1 유엔군사령부 일본 내 후방기지 7개소
9.1 미국의 대중 인식
9.2 중국의 대미관계 평가
9.3 GDP/국방비
9.4 한미일 대 북중러
11.1 신냉전 다극화 시대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2018년 이후)
11.2 미중관계와 북중관계의 연관성
11.3 북중러 삼각관계의 3단계 변화
12.1 남북한 공존과 평화의 제도화 과정
표
1.1 2022년 바이든정부 NSS 주요 전략
1.2 한국 역대 정부의 국가안보 비전과 목표
4.1 주요 초크 포인트의 수송 능력, 위협 요인
4.2 주요 초크 포인트를 통과하는 원유 및 석유제품의 물동량
6.1 인도·태평양 역내 아키텍처 구축 현황
6.2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 현황
7.1 남북 군사력 현황 비교
7.2 북한의 핵실험 규모 및 특성
7.3 북한 핵탄두 보유량 추정
7.4 한국 육·해·공군의 한미연합훈련 현황
8.1 북한의 핵실험과 핵능력
9.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정치 구조의 변천
9.2 미국의 대중 개입정책의 역사적 동기
9.3 미국의 대전략
9.4 중국의 대전략
9.5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관계와 결과: 네 가지 유형
9.6 대전략과 미중관계
9.7 한국 반도체·배터리·자동차 기업의 해외생산시설: 미국과 중국
12.1 6자회담 합의에 포함된 ‘한반도 평화체제’
12.2 노태우와 김대중의 대북정책 비교
지도
4.1 호르무즈해협의 위치
4.2 주요 초크 포인트를 통과하는 일일 석유의 물동량
4.3 후티 반군의 선박 공격 위치
4.4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선박의 항해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