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네트워크 보안/해킹
· ISBN : 979119066537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0-06-25
책 소개
목차
섹션 1 보안_19
#001 보안의 정의 및 용어_20
#002 보안 vs. 안전 vs. 보호_22
#003 보안의 연결 공격_24
#004 보안의 목표_26
#005 보안의 분류_28
#006 보안 관련 직업_30
#007 보안 인식 & 훈련 & 교육_32
#008 위험 관리_34
#009 보안의 윤리_36
정보보안 Break Point 보안인의 축제, 보안 세미나_38
섹션 2 암호학_39
#010 암호학의 개요_40
#011 암호 알고리즘의 분류_42
#012 암호 알고리즘의 보안 강도_44
#013 대칭키 암호화_46
#014 비대칭키 암호화_48
#015 해시_50
#016 OTP_52
#017 공개키 기반 구조_54
#018 전자 서명 / 전자 봉투_56
#019 양자 컴퓨터_58
#020 양자 암호 통신_60
정보보안 Break Point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The Imitation Game)〉(2014)_62
섹션 3 접근 통제_63
#021 접근 통제_64
#022 MAC_66
#023 DAC_68
#024 RBAC_70
#025 벨-라파듈라 & 비바_72
#026 리눅스 PAM & 윈도우 SAM_74
#027 TCP 래퍼_76
정보보안 Break Point 클라우드 시대, Azure와 AWS의 권한 관리_78
섹션 4 보안 솔루션_79
#028 방화벽_80
#029 웹 방화벽_82
#030 차세대 방화벽_84
#031 Iptables_86
#032 DPI_88
#033 침입 방지 시스템_90
#034 무선 침입 방지 시스템_92
#035 통합 위협 관리_94
#036 기업 보안 관리_96
#037 위험 관리 시스템_98
#038 SIEM_100
#039 가상 사설망_102
#040 IPSEC_104
#041 SSL / TLS_106
#042 SSL 복호화_108
#043 DB 암호화_110
#044 데이터 유출 방지(DLP)_112
#045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_114
#046 보안 USB_116
#047 EMM_118
#048 NAC120
#049 HSM_122
#050 AAA_124
#051 RADIUS & DIAMETER_126
#052 Kerberos_128
#053 SSO_130
#054 EAM_132
#055 IAM_134
#056 OAUTH_136
#057 FIDO_138
#058 바이오 인식_140
정보보안 Break Point 퀴즈 타임_142
섹션 5 해킹_143
#059 해킹 & 악성 프로그램_144
#060 랜섬웨어_146
#061 APT_148
#062 비즈니스 스캠_150
#063 사이버 킬 체인_152
#064 DBD_154
#065 피싱 & 스피어 피싱_156
#066 파밍_158
#067 워터링 홀_160
#068 익스플로잇 vs. 안티바이러스_162
#069 네트워크 스니핑_164
#070 세션 리플레이, 하이재킹_166
#071 OWASP TOP 10_168
#072 XSS vs. CSRF_170
#073 SQL 인젝션_172
#074 DoS & DDoS_174
#075 DDoS 인지 & 대응 방안_176
#076 DNS 보안_178
#077 허니팟_180
#078 템퍼 프루핑 & 워터마킹_182
#079 시점별 보안 활동_184
#080 사이버 표적 공격 역추적 기술_186
#081 시큐어 코딩_188
#082 시큐어 SDLC_190
#083 정적 분석 vs. 동적 분석_192
정보보안 Break Point 정보보안 인물 열전(세계적인 해커)_194
섹션 6 법률_195
#084 법률 & 개인정보 법률 체계_196
#085 개인정보_198
#086 개인정보보호법_200
#087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제29조)_202
#088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수립 및 공개(제30조)_204
#089 개인정보영향평가_206
#090 정보통신망법(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_208
#091 정보통신망법에서의 개인정보의 보호조치(제28조)_210
#092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_212
#093 정보보호관리체계_214
#094 GDPR_216
정보보안 Break Point 정보보안 자격증_218
섹션 7 보안 활동_219
#095 정보보호 거버넌스_220
#096 개인정보 비식별화_222
#097 IoT 공통 보안 7원칙 & GSMA IoT 보안 가이드라인_224
#098 디지털 포렌식_226
#099 e-Discovery_228
#100 FDS_230
#101 망 분리_232
#102 CPO vs. CISO_234
#103 CVE, CWE_236
#104 버그 바운티_238
#105 CC 인증_240
#106 난독화_242
정보보안 Break Point 드라마 〈유령〉(SBS, 2012)_244
섹션 8 융합보안_245
#107 준동형 & 동형 암호화_246
#108 전자 여권_248
#109 스마트 지갑_250
#110 비대면 실명 인증_252
#111 신뢰 실행 환경_254
#112 보안 부팅_256
#113 SECaaS_258
#114 CASB_260
#115 무선 네트워크 보안_262
#116 출입통제 & 지능형 CCTV_264
#117 CPTED_266
#118 스마트 카 보안_268
#119 인공지능 보안_270
정보보안 Break Point 신기술과 정보보안 사고 사례_272
에필로그_273
찾아보기_27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보호하는 자산에 따라서 데이터를 지키는 정보보안, 직접적인 접근을 지키는 물리보안, 다양한 산업의 형태를 지키는 융합보안 등 보호할 자산을 지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정식으로 보안에 대한 정의를 내리면, 보안(Security)이란 외부의 위협(Threat)으로부터 내부의 자산(Asset)에 대한 취약점(Vulnerability)을 보호대책(Countermeasure)을 통해 보호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최근 21년만에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을 폐지하는 전자서명법이 통과됨에 따라 반드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자상거래가 가능해졌습니다. 그에 따라 OTP, 웹 기반 코드 서명, 전용 SW 구현, ARS/SMS, 스마트 OTP, DID, 블록체인 등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될 기술로는 바이오 인증을 이용하는 FIDO(#057)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