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대 일본은 한국의 분국

고대 일본은 한국의 분국

이대구 (지은이)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2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대 일본은 한국의 분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대 일본은 한국의 분국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90777247
· 쪽수 : 387쪽
· 출판일 : 2021-07-20

책 소개

북한 학계의 분국설을 받아들이는 토대 위에서 남한 민족사학계의 연구성과를 대폭 보강해 심화 발전시킨 책. 김석형과 조희승의 견해를 한 차원 더 발전시켜 가야계와 백제계를 비롯해서 신라계와 고구려계가 어떻게 일본 열도에 분국들을 설치할 수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목차

머리말 - 10

Ⅰ. 개설

1. 일본인의 조상 야요이인과 고대 한반도인 ━ 23
2. 삼한의 천황족ㆍ천신족 모두 일본으로 가다 ━ 26

Ⅱ. 일본 천황족 원류인 가야(가라)왕국

1. 천황의 고향과 축자신화(築紫神話)―가야 ━ 33

1) 천황족의 고향은 가야다
2) 천황족(가야족)의 현해탄 도해기
3) 한인들의 정착지와 각 지역의 한(韓)삼국계 독립왕국들
4) 『삼국지』「위지 동이전 왜(倭)」의 이도국
2. 야요이 전기(서기전 300년~ 서기 100년)의 유적 분포 ━ 52
1) 일본열도에 야요이유적의 분포현황
2) 야요이시대의 대표적 유물·유적
① 좁은 놋단검과 잔줄무늬거울
② 라이산성의 수문(쯔쯔끼)구조
③ 동탁(銅鐸)
3. 인류학적 징표를 통해 본 한국이주민들의 정착 분포 ━ 67
1) 일본열도의 토착원주민의 인골 특징
2) 일본열도의 주민구성상의 특징
4. 일본 열도의 한국적인 것들 ━ 75
1) 한국계통 왕국이란 무엇인가
2) 한국식 산성
① 한국식 산성의 축조시기
② 산성과 신롱석(神籠石)
5. 일 왕궁에 모셔진 가야신(皇靈殿:황령전)과 백제신(韓神殿:한신전) ━ 83
6. 이도지마(糸島)반도의 이토 왕국-최초의 가야왕국 ━ 86

1) 일본 최초의 왕국 가야
2) 이도지마 가야소국의 연혁과 변천과정

Ⅲ. 천황족의 동진과 기비지방의 가야 왕국

1. 천신족(천황족)의 이동과 이민기 ━ 95

1) 한국(가야ㆍ백제ㆍ신라ㆍ고구려)의 일본 진출경로
2) 가야천황족의 이민기
3) 일본으로 건너가는 디딤돌 대마도에 모여든 신들
2. 기비지방의 가야왕국 ━ 100
1) 기비지방의 입지
2) 기비지방의 가야왕국
① 지명과 문헌 속에 나타난 기비 가야소국
② 임나의 위치와 여러 학설
3. 소왕국(분국)의 조건 ━ 114
1) 지명과 소왕국
2) 신사ㆍ불사와 소왕국
3) 원주민과 이주민
4. 한국 산성을 통해 본 기비 가야왕국 ━ 119
1) 기비가야왕국의 영역
2) 기비씨는 가야의 중심 가야씨
3) 기비지역의 정치적 중심지인 길비가야
5. 고고학적 유적을 통한 가야인들의 왕국 ━ 120
1) 가야시기 수혈식 돌칸무덤
2) 기비지역의 가야(기노죠)산성
3) 산성의 축조시기
4) 기비의 가야식 고분과 입지
5) 고대의 토지구획인 조리(條理)제도

Ⅳ.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인, 백제 천황국

1. 백제의 전성기 ━ 149

1) 백제의 꿈과 좌절
2) 일본으로 건너가는 백제인
① 일본열도의 원주민과 이주민
② 북규슈의 구마소국(熊襲國)
2. 고대 일본의 천황의 이민사 ━ 155
1) 미즈노 유(水野裕)의 삼왕조설(三王朝說)
2) 일왕 신무(神武)와 결사(缺史)시대
3) 북한 김석형의 한(韓)삼국 분국론
3. 일본 고대사 속의 백제왕국 ━ 159
1) 곤지(琨支)왕자와 안숙(安宿)골
2) 아스까베(飛鳥戶)왕국의 탄생
3) 가와찌왕조론과 응신
① 응신과 인덕의 진위
② 아스까베 고을과 옛 가와찌고을 일대
4)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録)』과 칠지도의 비밀
① 『신찬성씨록』
② 칠지도(七支刀)
③ 모노노베(物部)와 백제 칠지도
4. 소가씨 왕국과 비조왕조 ━ 183
1) 아스까(飛鳥) 시대
2) 미와(三輪)왕국
3) 소가씨의 개막과 종말
① 소가씨의 계보
② 소가씨의 전횡(專橫)
③ 소가씨 권력기반의 백제적 성격
5. 백제의 유적 유물 ━ 204
1) 에다후나야마고분(江田船山古墳)과 유물
2) 이나리야마 쇠칼과 명문
3) 기꾸찌 산성에서 나온 백제유물
4) 고분문화시기 후기의 백제유적
① 후기고분문화의 백제유적
② 마즈오까야마(松岳山)고분군을 통해본 백제왕국
6. 도시국가 아스카베 왕국 ━ 224
1) 대화(大和)로의 백제인의 대규모 집단이주
2) 서가와찌(西河內)와 모즈(和泉)
7. 백제유민들의 정착 ━ 228

Ⅴ. 이즈모(出雲:출운)왕국과 신라 천황족

1. 이즈모(出雲)왕국과 천황족 ━ 233

1) 북진한인의 경주에로의 정착
2) 선(先)신라인 일본진출과 천신
2. 일본 『고사기』와 『일본서기』 속의 신라 관련 신화 ━ 237
1) 신대이래의 주요 씨족의 고향
2) 이즈모(出雲)왕국과 천황족
3) 세오녀(細烏女)와 천조대신(天照大神)
3. 고고학적 자료를 통한 신라왕국 ━ 243
1) 지명 신화ㆍ전설을 통해 본 신라왕국
2) 유물ㆍ유적을 통하여 본 신라왕국
① 무덤(전방후원분)
4. 기비 신라왕국의 특성 ━ 257
5. 기타 지역의 신라 소국 ━ 271

1) 야마또 지역의 신라왕국
2) 자하현(滋賀縣)의 신라계 왕국
① 다까시마(高島)군의 신라소국
② 사까다(坂田)군의 신라소국
3) 가모오(蒲生)군의 신라-가야소국
6. 신라왕국의 연혁과 구조 ━ 284

Ⅵ. 남만주의 지배자 고구려

1. 고조선의 계승자 고구려의 강성과 남하 ━ 291

1) 고조선의 계승자 고구려의 건국과 남하
2) 맥족의 이동 과정과 진출경로
3) 고구려 일본열도 진출 경로
2. 문헌 상의 고구려 소국 ━ 305
1) 『일본서기』상의 고마 소국
2) 『속일본기』를 통하여 본 고구려 소국
3. 혼슈 중부 및 서부해안의 고구려 소국 ━ 311
1) 관동지방의 고구려 소국
2) 북시나노(信濃)의 고구려 소국
3) 노또(能登)반도의 고구려 소국
4. 유적ㆍ유물을 통한 고구려 소국 ━ 325
1) 지명 유적을 통해 본 기비 고마 소국
2) 노또(能登)반도의 고구려 소국
3) 노또바 기비고마소국
① 아메노미야무덤떼(雨の宮墳)
② 가메즈까(龜塚)무덤
③ 오쯔끼(小槻) 제1호무덤
④ 에조아나(蝦夷穴)무덤
5. 고구려 유민들의 정착 ━ 343

Ⅶ. 맺음말

1. 일본어의 기원과 시대별 인구 구성 ━ 351

1) 일본어의 기원
2) 일본인의 인구 구성
2. 삼한사국(가야ㆍ백제ㆍ신라ㆍ고구려)의 독립왕국(분국)의
수는 얼마나 될까? ━ 357

1) 지역별 고분분포 및 유물 출토 현황
2) 일본 내 거대고분 지방별 분포 현황
3) 일본열도 내 사국(가야, 백제, 신라, 고구려)의 분국 수
① 북한학자의 추정
② 본인의 분국수 추정
4) 분구요소별(墳丘要素別) 국제비교(國際比較)
3. 맺음말 ━ 362

참고문헌 ━ 365

찾아보기 ━ 372

저자소개

이대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 1953년 경북 상주 출생 • 상주 중학교(23회) • 대구 성광 고등학교(18회) • 영남대 조경학과 졸업 •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지역계획전공 석사 • 국토개발(조경, 도시계획)기술사 • 기술용역 (계획, 설계) 업무를 시작으로 40년 동안 엔지니어로서 활동하면서 전국주요도시, 국가 및 지방공업단지, 국, 도립공원, 관광, 레져 단지 등 계획 설계, 이밖에 수도권 위성도시설계 및 현상 공모 등에 다수 참여했다. 40년간 참여 주요 프로젝트로는 • 2002년 대구시 도시기본계획을 위시하여 전국 중소도시계획, 설계 • 2004년 평창 동계올림픽 (피스벨리) 사업책임자 • 2005년 김해복합 레포츠단지계획 설계 총괄책임 • 2010년 충청남도 관광종합개발계획, 강원랜드 관광·레져 등 다수의 개발사업에 참여 활동 • 2010년 충청남도 지구환경보전 상징화사업. 총괄계획가 • 2014년 충청남도ㆍ강원도, 서울시 강북구, 용인시, 아산시, 홍천군 등 도시 및 설계심의위원 역임 국내외 주요답사지역 • 中國 산동지역의 동이문화답사, 집안 및 환인의 고구려답사와 독립운동사답사, 내몽골 적봉 등의 홍산문화답사. 한성 등의 사마천 사기답사. 김일제 묘 우리 역사와 관련지 수 많은 곳을 답사했다. • 日本 오오사카, 오까야마, 동경, 교오또, 큐슈, 도야마, 오끼나와, 나라, 요꼬하마, 가고시마 외 다수 • 國內 가야문화권, 백제문화권, 중부문화권, 서울ㆍ경기수도권 등 100여 곳 관련협회 • 대한ㆍ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도시계획기술사회, 종신회원 • 한국기술사회 회원 • 저작 : 2021, 고대 일본은 한국의 분국.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