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90847377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2-04-30
책 소개
목차
1부 굿바이 목사님
Chapter 01 / 호사스런 가난뱅이(단순하게살아라)
Chapter 02 / 거듭남(구원)
Chapter 03 / 에클레시아(교회)
Chapter 04 / 성경에 목사는 없다
Chapter 05 / 성경의 기본진리
Chapter 06 / 성경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2부 장망성
Chapter 01 / 노아 홍수와 마지막 경고
Chapter 02 / 수십 억의 사람이 지옥으로 가고 있다
Chapter 03 / 지옥은 소름끼치는 영원한 고통과 형벌의 연속이다
Chapter 04 / 지옥은 지구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Chapter 05 / 영원한 유황불 못 지구가 지옥이다
3부 예수는 종교인이 아니다
Chapter 01 / 예수는 유대교인도 기독교인도 아니다
Chapter 02 / 장차 유대인의 민족적 구원은 없다
Chapter 03 / 7년 대환란은 없다
Chapter 04 / 천년왕국은 없다
Chapter 05 / 누가 적그리스도인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1. 포이멘(헬, poimen)=목자(shepherd, 牧者)
성경에는 목사라는 단어가 없고 목자만 있을 뿐이다. 목자라는 단어의 헬라어는 포이멘(poimen)인데 헬라어 신약성경에 포이멘이라는 단어가 18번 나오는데 17번은 목자라고 번역되어 있다. 그러나 딱 한 군데 에베소서 4장 11절에만 포이멘을 목사로 바꾸어 번역했다.
개역 한글판 성경을 비롯하여 10여 종류의 한글 성경은 물론이고 90여 종류의 영어 성경도 마찬가지로 목자를 목사로 의도적으로 변개시켜 오역해 놓았다.
심지어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킹 제임스 영어 성경마저도 목자(shepherd)를 에베소서 4장 11절에서만 유일하게 목사(pastor)로 오역시켜 놓았다. 왜냐하면 킹 제임스 영어 성경도 개신교 목사들이 번역했기 때문이다.
설교자라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헬라어 포이멘(poimen)은 양치기[牧者]를 의미하며 선생[師]이라는 의미는 전혀 없기 때문에 그들은 가르치는 사람, 곧 설교자라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목자(牧者)를 목사(牧師)로 바꾸었다.
신·구교 학자들이 함께 번역한 공동 번역 성서와 현재의 가톨릭 성경, 헬라어 학자들이 직접 번역한 성경에는 목자를 목사로 바꾸어 번역하지 않고 성경 원문에 나타나 있는 대로 성경을 번역한다는 원칙을 정했기 때문에 개신교 목사들은 가톨릭 신부들 때문에 목자를 목사로 바꿀 수 없어 공동 번역 성서에는 원문대로 ‘목자’로 번역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신교에서 별도로 사용하는 10여 종의 성경은 모두 목사로 오역되어 있다. 개신교 목사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뒷받침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오역해 놓았다.
4세기에 생겨난 가톨릭교에서는 평신도와 성직자를 구분하기 위해 성경에 없는 성직 계급인 신부, 주교, 교황 제도를 만들었다.
16세기 종교개혁 이후에 생겨난 개신교에서도 교회 내에서 평신도와 성직자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가톨릭 신부에 해당하는 성직 제도를 만들고자 하여 M.루터가 성경에서 발견한 모든 신자가 제사장인 진리는 오래가지 못했다. 초창기에 중시했던 교제가 뒤로 밀려나고 설교가 우선시되어 말씀을 전담할 일인 설교자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신학 공부와 설교 훈련을 위한 신학교가 생겼고, 신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사람에게 안수하여 목사 제도가 생겼다.
장로교 통치 형태의 아버지라 불리는 캘빈은 『기독교 강요』에서 성직자 목사와 평신도를 구분했다. 장로를 가르치는 장로와 다스리는 장로로 구분하여 가르치는 장로를 목사라 칭하고 나머지 장로를 평장로라 불렀다.
목사에게만 성직을 수여하고 성례전을 주관할 권위를 부여하여 대부분의 개신교파는 이 형태를 따르고 있다.
신약성경 어디에도 가르치는 장로와 다스리는 장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고 있으나 교회 내 1인 설교자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신학교 건립, 캘빈의 교리 등에 의해 성경에 없는 가짜 인물인 가톨릭 신부와 같은 개신교 목사가 탄생했다.
종교개혁자들의 편의에 따라 인위적으로 성경에 없는 목사가 생겨났고 목사의 존재를 정당화시키기 위해 에베소서 4장 11절의 목자를 목사로 바꾸어 나라마다 자기 나라 말로 오역하였다.
무엇 때문에 캘빈은 장로를 ‘목사 장로와 평장로’ 두 가지로 구분해 놓았을까?
딤전3:2에 장로 직분은 필요에 따라 가르치는 설교를 할 수 있다고 나와 있다. 그러나 캘빈 당시에 신학교에서 학위와 안수받은 사람만이 설교할 수 있었던 것이 제도화되어 평장로는 설교할 수 없었다.
지역 교회에서 설교자가 두 명 이상일 경우 교회의 혼란을 우려하여 성경을 뛰어넘어 장로를 두 종류로 나누었는데 이것이 제도화되면서 대부분 개신교파에도 적용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모든 개신교파에서 설교는 오직 신학교에서 학위와 안수받은 목사만 하도록 제도화되어 있다. 장로교 헌법에는 “교회는 담임 목사나 당회의 허락 없이는 누구도 설교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처럼 모든 교파에서 목사 외에는 설교를 허락하지 않지만 성경에는 은사를 가진 교사나 장로들이 설교하도록 나와 있다(고전14:29).
목사(牧師)와 목자(牧者)의 차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길지 모르지만 그 차이는 엄청나다. 왜냐하면 목자라는 단어와 인물은 성경에 나오지만 목사는 전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에베소서 4장에 사도, 선지자, 복음 전도자, 목자(목사로 오역), 교사가 나오는데 지역 교회가 아닌 우주적인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세우기 위한 은사를 가진 사람들이다. 지역 교회의 직분이나 직책 소위 성직과는 전혀 무관하다.
성경에 나오는 지역 교회의 직분은 집사와 장로 또는 감독 오직 두 가지밖에 없다. 따라서 목사는 지역 교회의 직책이나 직분도 아닐뿐더러 성직은 더더욱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