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시간관리/정보관리 > 시간관리
· ISBN : 9791190906289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2-02-1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시간 관리는 더 게을러지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1장. 하루에 관한 철학 - 유대인의 하루는 저녁에 시작된다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
실패와 시련 속에서도 능동적인 삶을 살라
신뢰의 기본은 시간을 잘 지키는 것이다
행동 중심으로 일정을 관리하라
‘지금’과 ‘여기’를 살라
2장. 조기 교육에 관한 철학 - 1분 1초 한순간도 의미 없는 시간은 없다
하루 세 번, 밥상머리에서 시작하는 조기교육
하루 15분, 부모와 아이를 함께 성장시키는 베갯머리 교육
유대인의 성인식과 세 가지 선물
숫자로 뇌를 깨우는 언어 습관
느리지만 단단하게 실력을 쌓는 습관
3장. 약속과 신용에 대한 철학 - 숫자의 숨은 가치를 찾아내는 지혜
모두를 내 편으로 만들 수 있는 신뢰의 힘
숫자가 의미하는 가치를 간파한 지혜
약속의 경중을 따지지 않는 유대인
무형의 서비스에서 가치를 만들어낸 유대인
미래의 무질서를 현재의 질서로 바꾸는 약속의 힘
4장. 가치와 목적에 관한 철학 - 유대인에게 시간은 곧 인생이자 자산이다
시간의 가치를 측정하는 법
호흡 근육과 독서 근육의 공통점, 자투리 시간의 힘
계획에 없던 시간을 허투루 쓰지 않는 법
타인의 시간으로 자신의 시간을 버는 타임 레버리지 효과
다양한 재능을 키우기 위한 초석이 되는 작은 성취
5장. 행동 관리에 관한 철학 - 지극히 실용적인 유대인의 일정 관리 노하우
일정 관리의 노하우, 카테고리를 활용하라
불렛 저널을 활용하라
행동하는 일정 관리의 진짜 의미
인생의 목표에 지칠 이들을 위한 단기 목표 설정법
가시적인 성과보다 본질과 생산성에 집중하라
6장. 우선순위에 관한 철학 - 단순하지만 단단한 하루가 완벽한 삶을 만든다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하는 일, 무엇을 선택할까
일단 시작하고 나중에 완성하라
행복과 성공이라는 두 가지 가치의 무게
독서, 세상을 본질을 이해하는 법
단순함 속에서 날카로운 무기가 만들어진다
7장. 휴식에 관한 철학- 번아웃을 피하는 유대인의 쉼 노하우
불완전한 몸과 마음을 채우는 숨쉬기
멍 때리기의 역설
바꿀 수 있는 것에 집중하라
빽빽함보다 넉넉함이 더 많은 것을 채운다
휴식으로 뇌를 성형하라
에필로그. 시간 관리를 마음먹은 그대에게 마지막 책이 되길 바라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어떻게 하면 덜 일할 수 있을까.” 우리는 부지런한 사람이 시간 관리를 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착각에 불과하다. 오히려 똑똑하게 게으른 사람이 시간 관리에 더 철저한 법이다. 시간 관리에 철저할수록 자신의 계획과 목표를 확실히 달성할 수 있고 여유 시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하루를 간소화하고 주변을 잘 정리하는 삶은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똑똑하게 게을러질 수 있다. _프롤로그 중에서
시간과 관련된 유대인의 문화는 무엇보다 자연과의 이질감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사회적으로 자기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분위기 속에서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부지런함’이나 ‘자기관리’로 착각하는 사례가 많다. 하지만 유대인의 시간 관리법을 보면 일찍 일어나는 습관이라는 것은 기상 시간만으로 자기만족을 하는 수박 겉핥기식의 자기관리가 아닐까. 우리에게 필요한 시간 관리는 ‘얼마나 일찍 일어나느냐?’가 아니다. 내 일과에 맞게 시간을 잘 쪼개 활용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법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_1장. 하루에 관한 철학 중에서
하루 15분씩 쌓이면 1년에 5,475분이다. 맞벌이 부부가 아이와 함께할 시간이 부족하다고 해도, 하루 15분씩 시간을 내면 여섯 살짜리 아이가 열 살이 되기까지 대략 456시간을 함께할 수 있다. 정서 발달에 가장 중요한 시기에 15분씩 아이와 이야기하며 잠자리에 드는 행위는 아이에게 456시간을 내어주는 셈이다. 이는 대략 20일을 통째로 아이에게 내어준 것과 같다. 아이와 함께하고 싶은 마음에 기껏 수일짜리 휴가를 받아서 자기 전에 넷플릭스와 TV를 함께 보는 삶보다는 하루 15분씩 짬을 내어 잠자리에 들기 전에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는 쪽이 훨씬 더 많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_2장. 조기 교육에 관한 철학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