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91190935562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25-05-30
책 소개
이 책은 아래와 같이 총 5개의 수다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다의 장 1. 우리가 몰랐던 수다의 힘
수다는 우리 삶 속에 늘 존재하지만, 그 힘과 가치를 의식적으로 인지하지는 못한다. 마치 우리가 숨 쉬는 공기를 항상 의식하지 않듯 말이다. 이 장에서는 수다의 긍정적인 측면과 다른 문화권의 대화 방식과의 차이를 비교하며, 가정과 사회에서 수다의 중요성을 새롭게 해석해 본다.
수다의 장 2. 아이들의 수다와 놀이
아이들이 즐겁게 놀 때 교실은 시끄러워질 수 있다. 하지만 “조용히 해!”라고 말하기 전에, 그 시끄러움 속에서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귀 기울여 보면 어떨까? 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놀이 속 수다가 아이들의 학습과 흥미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수다의 장 3. 유아와 수다 떠는 교사
교사와 유아 간의 대화는 종종 정해진 주제와 질문, 그리고 이에 맞는 답변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유아의 생각은 무한히 확장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교사와 유아의 대화가 수다스러운 방식으로 전환 되었을 때 어떻게 더 풍부하고 의미 있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논의한다.
수다의 장 4. 놀이는 아이들의 일이고, 수다는 교사들의 일이다
아이들에게 놀이가 중요한 것처럼, 교사들에게는 수다가 그러하다. 이 장에서는 교사들의 수다를 원내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연결하여, 교사들이 서로의 경험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이러한 수다를 장려하는 기관 문화에 대해 재조명해본다.
수다의 장 5. 수다 떨고 싶은 사람 모여보세요!
수다는 관계의 시작이다. 교사들 간의 수다는 기관 안팎을 막론하고 서로를 지지하고 성장시키는 힘을 가진다. 이 장에서는 수다를 통해 정서적 교감과 협력적 반성을 이루는 과정과 이를 실천으로 이어가는 방법을 살펴본다.
목차
들어가기: 우리들의 수다의 시작
수다의 장 1 우리가 몰랐던 수다의 힘
수다란 무엇일까?
수다는 왜 ‘떨다’와 함께 쓰이는 것일까?
수다의 진정한 의미
수다를 모르는 것 같으면서도 잘 안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그래 수다야!: 저자들의 수다 여행
수다 여행에서 찾은 수다
_관계 안에서의 수다
_쓸데없어 보이고 목적이 없는 듯한 수다. 그러나
수다의 힘
한국 문화에 깊이 연결된 수다: 탈 서구적, 탈 식민적 사고방식에서 본 수다
_수다와 서구적 스몰 톡의 차이
유아교육에서 수다
수다 1장을 마무리하며
수다의 장 2 아이들의 수다, 아이들의 놀이
수다하며 놀고 배우는 아이들의 이미지
_일상 속의 수다
_놀이 속의 수다
_프로젝트 과정 속의 수다
수다: 한국 문화의 아이들을 위한 대화적인 교육
_하브루타와 수다
_라틴 문화의 플라티카스와 수다
_하와이 문화의 토크 스토리와 수다
_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영향을 받은 교실에서의 아이들의 수다
_한국 문화의 아이들의 수다
수다가 놀이로서 격려되는 교실
탐색적 언어로서의 수다, 아이들의 연구 방법으로서의 수다
수다 2장을 마무리하며
수다의 장 3 아이들과 수다 떠는 교사
아이들과 교사 간의 이야기 나누기
아이들의 대화와 교사의 역할: 연결, 확장 그리고 상호작용
아이–교사 간의 수다 접근의 이론적 배경
_관계 지향적인 접근법
_대화적 페다고지
_수다의 본질적 의미와 리스닝 페다고지의 역할
아이–교사 간의 수다 접근법: 재미있고 편하게 이야기 나누기–“수다처럼”
_아이–교사 대화에 수다 접근법 적용하기
_놀이 중심 교육과정 안에서 수다
_아이–교사 간의 수다를 위한 제안
수다로 인해 달라지는 아이–교사 간의 이야기 나누기와 대화
_사실은 가볍지 않은 수다: 관계를 위한 노력
_무질서해 보이는 수다와 교사의 책임감
_수다와 학급관리
수다 3장을 마무리하며
수다의 장 4 놀이는 아이들의 일이고, 수다는 교사들의 일이다
교사들이 사는 세상
교사들의 놀이로서의 수다
교사들의 수다의 다양성과 유연성
_수다의 시작
_진지한 수다
수다를 통한 교사교육
_교사의 지식과 수다
_원내 교사학습공동체와 수다가 만났을 때
교사들의 수다를 장려하는 기관 문화 만들기
_수다 리더십이 필요한 때
_수다로 함께 성장하는 교사들
수다 4장을 마무리하며
수다의 장 5 수다 떨고 싶은 사람 모여보세요!
교사들은 ‘왜’ 기관 ‘밖’에서 수다를 떨까?
_수다가 마련해 주는 대나무 숲 같은 공간
_수다가 열어주는 성장과 배움의 기회
_우물 안에서 세상 밖으로: 교사 네트워킹과 협업의 시작, 수다
교사들은 기관 밖에서 ‘누구와’ 수다를 떨까?
_가족, 친구, 동기 교사 등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수다
_다른 기관의 교사와 수다를 통해 깊어지는 관계
_MZ세대 교사: 온라인 수다를 통한 관계의 확장
다른 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서로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_자발성과 반자발성의 균형: 교사 수다 모임의 첫걸음
_형식적인 틀을 넘어서: 수다로 이어지는 기관 밖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
수다에 기반한 ‘기관 밖 교사학습공동체’의 모습은 어떠할까?
_수다의 생명력: 자발적 참여와 유연함이 빚어내는 끝없는 이야기의 힘
_수다의 패러독스: 가벼운 대화 속에서 이루어지는 깊이 있는 논의와 성찰
_수다 공동체를 지속하는 힘: 누구에게나 열린 수다
수다 5장을 마무리하며
나가기: 우리들의 끝나지 않는 수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