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91191104325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이제는 아이의 진짜 성적을 파악해야 할 때
1장 “내 아이, 제대로 공부하고 있을까?”-역량 위주 성적 관리법
대회에서 상을 받았다고 우등생일까?
진짜 성적은 숫자로는 모른다
똑같이 90점이어도 실력 차이가 나는 이유
‘더 알아보기’_ 아이와 시험을 복기하는 법
학교마다 다른 시험 난이도를 고려하라
‘더 알아보기’_ 관심 있는 고등학교 알아보는 법
전 과목 평균 점수 속에 숨은 뜻
‘더 알아보기’_ 단위 수를 고려한 성적 계산법
목표 제시가 통하지 않는 아이도 있다
‘더 알아보기’_ DISC 간이 검사
학습 격차는 ‘열심’이 아니라 ‘핵심’으로
‘더 알아보기’_ 1년 동안 아이들의 학습 의욕 변화
역전하는 아이는 문제만 풀지 않는다
국영수 계열 탐색 전략 1. 초등부터 고등까지 공부 목표 세우기
2장 “우등생의 기준이 달라졌다”-새로운 교육에 맞는 공부법
꼬리에 꼬리를 무는 교육의 변화
‘더 알아보기’_ 특성화고와 일반고 과목 비교
대체 대학이 원하는 아이는 누굴까?
‘더 알아보기’_ 내신과 수능 등급이 다를 때
학생부 종합 전형을 보는 4가지 기준
남의 꿈으로는 대학에 갈 수 없다
‘더 알아보기’_ 공동교육 과정
조별 과제 무임승차는 낭떠러지 하이패스
근거 없이 우수한 아이는 없다
국영수 계열 탐색 전략 2. 초등 국영수 과목별 기초 역량
3장 “국어를 장악하는 역량이 핵심이다”-논리·문해력 국어 공부법
기막힌 ‘요즘 애들’ 문해력
‘더 알아보기’_ 우리 아이 문해력 수준 진단
한국 사람도 어려운 국어 과목
‘더 알아보기’_ 수능 국어의 선택 과목
무엇이 국어를 어렵게 만들었나
비문학에서 좋은 점수를 받는 법
글쓰기로 어느 대학을 갈지 갈린다
국영수 계열 탐색 전략 3. 시기별 국어 공부의 목표
4장 “회화부터 시험 영어까지 올인원 영어”-세분화·통합 영어 공부법
시험 영어는 차원이 다르다
‘더 알아보기’_ 우리 아이의 영어 수준 진단
영어 발음은 정말 중요할까?
세분화된 영어 과목에 알맞은 전략
영어 절대평가를 향한 잘못된 생각
국영수 계열 탐색 전략 4. 시기별 영어 공부의 목표
5장 “개념과 적용이 수학의 답이다”-사고력 확장 수학 공부법
수학 공부의 첫 걸음, 문제집 분류하기
‘더 알아보기’_ 우리 아이의 수학 문제집 분류
'수포자'를 만들지 않는 수학적 사고력
해설지 사용법과 스스로 탐색하는 시간
내신 수학과 수능 수학은 이것이 다르다
수학 머리는 초등 때부터 만든다
‘더 알아보기’_ 수학 개념 이해도 진단
국영수 계열 탐색 전략 5. 시기별 수학 공부의 목표
6장 “아이의 역량을 키우는 부모 전략”-새 시대 우등생을 위한 조력
아이와 마음의 거리를 좁히는 대화법
‘더 알아보기’_ 갈등을 줄여 주는 ‘나 전달법(I message)’
아이의 공부체력을 제대로 기르려면
성적이 완만히 오르길 기다리는 마음
‘더 알아보기’_ 권위적인 부모 vs 권위 있는 부모
아이의 공부 스트레스는 어떻게 관리할까?
‘더 알아보기’_ 회복탄력성을 기르는 습관
국영수 계열 탐색 전략 6. 우등생을 키우는 부모의 자세
나오며 새로운 학교, 새로운 우등생을 위한 준비는 초등부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첫째, 전 과목 평균 점수로 실수와 실력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둘째, 전 과목 평균 점수로 시험 난이도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셋째, 전 과목 평균 점수로 주요 과목의 학습 상황을 유추할 수 없습니다.
저는 이 세 가지를 ‘전 과목 평균의 함정’이라고 말합니다. 자녀의 현재 학습 수준을 평균으로 확인했던 부모는 평균 90점대의 점수를 유지할 경우, ‘우리 아이는 꽤 우등생’이라는 착각에 빠지기 쉽습니다. 실제 아이에게는 무언가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음에도, 객관적으로 ‘보이는’(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평균 점수에 가려 문제를 교정할 ‘골든 타임’을 놓치고 말지요.
- ‘진짜 성적은 숫자로는 모른다’ 중에서
“아이가 하루에 수학 공부에 쏟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혹시 알고 계신가요? 학원 시간은 빼고, 순수 자습 시간이요.”
“글쎄요…. 주중에는 아무래도 학원을 가야 해서요. 그래도 주말에는 매일 2시간 정도는 하지 않을까요?”
문제는 바로 이것입니다. 아이는 공부를 열심히 한다고 했지만 학교와 학원 수업을 받는 시간이 아닌, ‘순수 학습 시간’은 일주일을 통틀어 몇 시간도 채 되지 않았습니다.
- ‘학습 격차는 ‘열심’이 아니라 ‘핵심’으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