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91157000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0-09-21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기술사업화
1장. 기술사업화의 이해
1. 기술사업화의 의의
2. 기술사업화 과정
3. 기술사업화의 유형
4. 기술사업화의 중요성과 특징
5.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및 유형
6. 기술혁신
2장. 성과확산의 이해와 R&D
1. 기술이전 사업화 필요성 및 현황
2. R&D 성과의 개념 및 관리활용 체계
3. R&D 기획과 성과 확산
4. 한국의 출연(연) R&D 성과관리
3장. 기술사업화와 기업가정신
1. 기업가정신과 창업가정신
2. GEM(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3. 기술사업화 비즈니스모델(Business model)
4장. 기술사업화 모형과 사례
1. 기술사업화 이론 및 모형
2. 기술사업화 이론 적용 및 사례
5장. 제품개발 아이템 도출 전략
1. R&D PROJECT의 발굴
2. R&D PROJECT의 목표
3. R&D PROJECT 선정방법 및 모형
4. R&D PROJECT 선정 시 주의점
6장. 기술마케팅과 사업화
1. 마케팅의 개념
2. 기술마케팅 개념 및 전략
2부 기술이전 및 정책
7장. 기술가치 평가론
1. 기술가치평가 개요
2. 기술가치평가의 필요성
3. 기업가치평가와 기술가치평가 차이
4. 기술가치평가 방법
8장. 지식재산권 개념 및 관리
1. 지식재산권의 개념
2. 지식재산권의 종류
3. 지식재산권의 관리
4. 창업기업의 지식재산권 활용
5. 지식재산권 분쟁
9장. 스핀오프
1. 스핀오프 정의 및 유형
2. 스핀오프에 대한 기존연구
3. 스핀오프 성장과정과 성공전략
4. 스핀오프 사례
10장. 기술사업화와 M&A
1. M&A의 개념, 동기 및 유형
2. M&A의 유형 전략적 프로세스
3. M&A 절차별 주요 핵심 사항
4. M&A의 핵심 성공 요인
5. M&A 사례
11장. 기술사업화 금융
1. 기술금융 개요
2. 기술금융 이해
3. 기술금융 해외사례 (미국/영국/일본)
12장. 최신 기술사업화 트렌드와 제도
1. 기술지주회사
2. 특허풀
3. 자산유동화와 기술유동화증권
4. 특허신탁
5. PATENT BOX
6. 기타 기술사업화 제도
7. 기술사업화 관련 조세특례
13장. 국내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및 사례
1. 기술사업화 정책 동향
2. 기술사업화 지원 관련 법령
3.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지원사업 분석
4. 공공연구기관 기술창업 지원사업 분석
5. 국내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시사점
6. 국내 공공기술사업화 지원체계의 이슈 및 문제점
14장. 해외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및 사례
1. 일본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모델
2. 유럽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모델
3. 미국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모델
4. 기타 선진국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모델
참고자료
책속에서
기술사업화는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최근인 2000년 1월 28일에 기술이전촉진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술사업화의 선진국인 미국은 1980년대 ‘Bayh-Dole’법이 만들어지면서 시작했으니 우리나라보다 상당히 앞선다. 베이돌법은 오늘날의 기술사업화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기술의 사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만든 법으로서 기술사업화의 매우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해 주었다. 베이돌법은 국방 등 정부 R&D 성과를 신속하게 민간에 이양되도록 법하는 법으로서 베이돌법에 의하여 연방정부자금으로 개발된 특허는 개발을 담당한 대학, 연구소, 기업이 소유하도록 했다. 미국 정부는 무상의 통상실시권을 가지고, 개발자가 소유권을 가지는 혁명적인 발상을 했다. 또한 연방기술이전법(FTTA, 1986)으로 모든 연방 연구자에게 기술이전을 의무화했다. 나아가 연구자가 이해 저촉이 없는 한 민간의 상용화 개발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러한 미국의 베이돌법을 벤치마킹하여 제정한 것이 “기술이전촉진법”이다. 지금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로 법 명칭이 변경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법이 제정되고 지금까지 20회에 걸쳐 운영되면서 7번의 기술사업화 촉진에 관한 국가의 중요한 정책과 제도가 만들어지고 수행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기술사업화는 우리나라 연구개발비의 투자 효율성이 미국이나 이스라엘 등에 비하여 낮다는 데에서 처음에는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는 GDP 대비 약 4% 이상으로 투자하고 있는데 연구개발 결과물을 사업화시키는 즉 효율성 면에서는 미국 등에 비하여 미흡하다. 즉 기술이전이나 창업이 미흡한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시작한 기술사업화는 초기에는 기술사업화를 촉진시키는 제도를 만들고 이러한 제도를 통하여 효율성을 확보하려고 했다. 당시 중소기업청의 이전기술개발지원사업, 산업자원부의 R&BD 지원 사업, 교육부의 기술지주회사 지원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이와 더불이 기술거래시장의 정보 불균형을 완화시켜주고자 정부인증 자격제도인 기술거래사 제도를 만들고 기술평가 시장을 키우고 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기술사업화는 이러한 제도와 함께 창업 쪽에서도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술사업화역량, 기술금융, 기술가치평가 등으로 연구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본 책은 이에 부합하여 내용을 설계하고 구성하였다. 본 책은 크게 2개의 부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1부에는 기술사업화 개념 및 유형, 기업가정신과 창업가정신, 성과확산, 제품아이템 도출전략,기술마케팅 등을 다루고 있다. 제2부에는 기술가치평가, 지식재산권, 스핀오프,최신기술사업화 트렌드, 해외기술사업화정책을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