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희곡론/비평론
· ISBN : 979119127717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1-07-13
책 소개
목차
제1부
문병란 시 연구
이동순 문병란의 초기 시세계 연구•12
김미미 문병란 시세계에서 제1시집 『문병란시집』의 위상 재고(再考)•31
정민구 문병란의 오월시와 문학적 증언•51
최혜경 문병란 시의 정서 유형과 시어 선택 원리•82
김청우 문병란 제2시집 『정당성』의 위상에 관한 단상(斷想)•132
김민지 『5월의 연가』에 나타난 오월시의 대중성•140
정병필 문병란 시의 고향 모티프•152
정다운 갑술년 개띠 시인이 카랑카랑 늙어가는 법•161
제2부
문병란의 작품 세계
街路樹•176|강의 노래•178|개•180|거리의 사랑가•184|거울•186|겨울 山村•188|고무신•190|고향 소식•193|고향의 들국화•195|고향 참새•197|고희•199|光州•200|굴원과의 對面•202|금요일의 노래•204|깡통•205|나무의 戀歌•207|낫•209|독일에 핀 봉선화•212|똥파리 사냥•214|뚝배기 賦•216|마지막 연인•219|망령의 노래•221|매운 고추를 먹으며•227|무등산•229|無知•231|反祈禱•235|밤 거리 뎃상•238|보리 이야기•240|부활의 노래•242|北向 街路에서•248|不惑의 戀歌•250|뻘 밭•252|頌歌•255|詩人의 양심•265|실패기•267|쑥•269|씀바귀의 노래•271|아르헨티나•273|아버지의 歸路•275|엉머구리의 합창•277|五月•280|5월의 戀歌•282|외손주 자랑•284|우다방•286|우리들의 8월•289|이 봄에•292|이 시대의 견유주의•294|雜草•296|장난감이 없는 아이들•297|장미•300|전라도 노래•302|전라도 뻐꾸기•306|全羅道 소•309|정당성2•312|鳥籠의 새•314|竹筍밭에서•316|죽은 땅•319|직녀에게•321|촛불•323|커피를 들며•325|타오르는 불꽃•327|파리 떼와 더불어•332|韓國地圖•334|호롱불의 역사•336|花•350
제3부
문병란의 비평 세계
나의 시적(詩的) 변호(辯護)•354
나의 시적(詩的) 정당성(正當性)•362
문민 시대와 나의 문학•373
시집 「죽순밭에서」 판금에 대한 항의서•379
시작(詩作) 노트•399
1. 전라도 뻐꾸기•399|2. 고무신•405|3. 엉머구리의 합창•409|4. 땅의 연가•413|5. 겨울 산촌•416|6. 개•419
부록•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