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교육학
· ISBN : 9791191345650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2-12-20
책 소개
목차
INTRO
논술문
제1장 논술문의 이론과 실제 12
PART 1 한국교육사
제1장 삼국시대의 교육 42
01 고구려 42
02 백 제 43
03 신 라 44
04 발 해 52
제2장 고려시대의 교육 54
01 고려시대의 교육 개요 54
02 고려시대의 관학 54
03 고려시대의 사학 60
04 고려시대의 과거제도 62
05 고려의 교육사상가 66
제3장 조선시대의 교육 72
01 조선시대 교육의 개관 72
02 성리학의 전래 73
03 조선의 관학 74
04 조선의 사학 86
05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92
06 성리학과 교육사상가 96
07 실학과 교육사상가 104
제4장 근대의 교육 119
01 개 요 119
02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기점에 대한 4가지 설 119
03 개화기의 학교제도 122
04 개화기의 교육사상 133
05 개화기의 민족교육운동 134
제5장 일제 식민지 교육 135
01 통감부 교육기(1905~1910) 135
02 식민지 교육기(1910~1945) 136
03 일제기의 민족교육운동 143
04 근대의 교육사상가 146
PART 2 서양교육사
제1장 고대 그리스의 교육 152
01 고대 그리스 문화와 교육의 특징 152
02 스파르타(Sparta)의 교육 154
03 아테네(Athenae)의 교육 156
04 교육사상가 158
제2장 로마의 교육 169
01 로마의 문화와 교육의 특성 169
02 공화정 시대의 교육 170
03 제정 시대의 교육 171
04 로마의 교육사상가 173
제3장 중세의 교육 176
01 중세시대의 특징 176
02 기독교 중심의 교육 177
03 스콜라 철학과 교육 180
04 중세 세속 교육 181
제4장 문예부흥과 교육 189
01 문예부흥기의 사회와 문화 189
02 문예부흥기의 인문주의 교육 190
제5장 종교개혁과 교육 193
01 종교개혁기의 사회와 문화 193
02 종교개혁기의 교육 194
03 종교개혁기의 교육사상가 199
제6장 실학주의와 교육 201
01 실학주의의 배경과 의미 201
02 실학주의 교육 201
03 실학주의 교육사상가 203
제7장 18세기 계몽주의와 교육 206
01 계몽주의의 특징 206
02 계몽주의 교육 207
03 루소(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212
04 범애주의(Philanthropinism) 교육사상 215
제8장 19세기 신인문주의 교육 219
01 시대적 특징 219
02 신인문주의 교육의 특징 219
03 신인문주의 교육사상가 220
제9장 국가주의 교육 (공교육제도의 발전) 230
01 개 요 230
02 각국의 공교육제도의 발전 231
03 국가주의 교육사상가 241
PART 3 교육철학
제1장 교육철학의 기초 252
01 교육철학의 개념과 의미 252
02 교육의 어원 253
03 교육의 성립조건 254
04 교육의 목적 264
제2장 전통철학과 교육 265
01 관념론(Idealism)과 교육 265
02 실재론(Realism)과 교육 266
03 자연주의(Naturalism)와 교육 267
04 실용주의(Pragmatism)와 교육 268
제3장 현대철학과 교육 270
01 진보주의 교육철학(Progressivism) 270
02 본질주의 교육철학(Essentialism) 276
03 항존주의 교육철학(Perennialism) 277
04 재건주의 교육철학(Reconstructionism) 279
제5장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281
01 실존주의(existentialism) 281
02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283
03 현상학(phenomenology) 286
04 해석학(hermeneutics) 287
PART 4 교육사회학
제1장 교육사회학 이론 296
01 구조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 296
02 갈등론(Conflict Theory) 302
03 신교육사회학(New Sociology of Education) 308
04 기능론, 갈등론, 신교육사회학의 종합적 비교 314
제2장 사회이동과 교육 318
01 사회이동(Social mobility)의 개념 318
02 사회이동의 유형 318
03 사회이동과 교육체제 319
04 사회이동에 관한 두 관점 321
제3장 교육과 평등 325
01 교육기회균등의 의미 325
02 교육평등관의 유형 326
03 교육격차의 인과론 328
PART 5 교육행정
제1장 교육행정의 기초 340
01 교육행정의 개념 340
02 교육행정의 정의 340
03 교육행정의 성격 343
04 교육행정의 원리와 한계 347
제2장 행정학이론과 교육 352
01 고전이론과 교육행정학(1910~1935) 352
02 인간관계론(1930~1950) 359
03 행동과학론(1950~현재) 365
04 체제론(system theory) 367
제3장 동기이론 376
01 동기의 개념과 동기이론의 분류 376
02 동기의 내용이론(content theory) 376
03 동기의 과정이론(Process Theory) 384
제4장 지도성 이론 390
01 지도성 이론의 개요 390
02 지도성 이론 392
제5장 조직론 412
01 조직의 개념과 특성 412
02 조직의 유형 417
03 조직풍토론 420
04 조직문화론 424
05 학교조직의 특성 427
06 조직과 갈등관리 434
제6장 장학행정 439
01 장학의 개념 439
02 장학의 발달과정 440
03 장학의 유형(장학행위의 주체에 따라) 442
✔ 찾아보기(Index)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