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1434040
· 쪽수 : 586쪽
· 출판일 : 2023-08-31
책 소개
목차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1권 – 1893-1945년
· 일러두기 · 28
· 프롤로그 / 사회적 체온 1℃ 더 높이기 · 30
개항기
제물포 내동(내리) : 기독교 사회선교 1번지
1.‘짠 내’ 품은 개항도시 인천 제물포 · 49
‘설익은’ 근대의 핫 플레이스 · 49
제물포로 들어온 서구인들의 ‘동상이몽’ · 50
파란 눈 선교사들의 입국과 ‘선교의 조건’ · 53
2. 질병은 사람을 가리지 않는다 · 56
영국성공회, ‘성누가병원’을 세우다 · 56
제물포의 현실 기록으로 남은 의료보고서1· 60
제물포의 현실 기록으로 남은 의료보고서2 · 65
3. 교육에 남녀 없다 · 72
미국감리교회, 제물포 남녀학당을 세우다 · 72
새 이름 ‘영화학당’- “메마른 세상에 영원한 생명을” · 78
영화여학당, ‘쇠뿔고개’ 우각리로 · 85
제물포 우각리(창영동) : 감리교 여성사회선교 1번지
4. 감리교 여성들이 세운 베이스캠프 · 95
여성선교센터 ‘갬블관’ 탄생 · 95
개척자 마가렛 벵겔 · 97
“여성이 여성에게” · 103
‘남녀유별’에서 ‘남녀평등’으로 · 107
5. 우각리, 여성들을 위한 공간 · 117
초기 개척자들의 1인 3역 · 117
청년들의 합류 · 123
리더십과 파트너십의 수련장 · 130
대중 속으로 · 144
여선교사들이 사회선교에 뛰어든 이유 · 155
일제강점기
‘자선’을 넘어 ‘사회복지’의 길을 내다
6. 식민지 시대가 마주한 빈민과 빈곤 · 168
자선은 ‘문명국가’의 상징 · 168
빈민구제와 위생행정, ‘돌봄’ 아닌 ‘통제’ · 171
여선교사들의 풀뿌리 위생교육 · 175
“거룩한 전염” · 179
인천 ‘1호’ 영화유치원 탄생 · 193
7. ‘사회사업’의 등장과 기독교 사회관 탄생 · 197
갑자기 열린 ‘사회’ 전성시대 · 197
서울에서 ‘기독교 사회관’ 탄생 · 202
인천의 첫 여성병원 ‘제물포부인병원’ · 211
조선총독부의 기독교 벤치마킹 · 221
8. 아동복지와 공중보건의 출발기지 · 233
첫 유아진료소의 탄생, “먼저 아가들의 생명을 구하자!” · 234
공중보건, “예방보다 나은 치료는 없다” · 245
협력정신, 타들어가는 사막 속의 오아시스 · 262
전시체제, 사회활동의 위축과 ‘후생사업’의 등장 · 266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2권 – 1946-2003년
해방 그리고 전쟁
기독교사회관으로 새 출발
1. 인천지역 첫 사회관 등장 · 11
선교사들의 귀환 · 13
사회관이 필요해진 이유 · 17
초대 관장 헬렌 보일스 · 20
창영교회 예배당에서 사회관을 시작하다 · 22
머드 고프의 합류 그리고 다시 중단 · 29
2. 전쟁 후 다시 문을 열다 · 33
미군에 징발된 ‘갬블관’ · 35
여성선교센터, 기독교사회관으로 개방하다 · 38
일상이 무너진 아이들 ‘학교 밖의 학교’에서 희망을 찾다 · 44
어린이를 위한 미래 공간 · 57
인천기독병원과 함께 시작한 특수복지와 장미회 · 6
3. 리더십의 전환 · 70
선교사 관장에서 한국인 관장으로 · 72
‘홀로서기’를 돕는 맞춤형 활동 · 86
지역주민의 바람, 신관 건축 · 91
지적장애 아동 “그대로 방치할 수 없다” · 99
자립 운영을 준비하다 · 103
산업화와 성장
기독교사회복지관에서
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으로 확장
4. 경제개발 구호 아래에서의 사회복지관 · 109
태화재단 설립과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 · 114
일하는 여성을 위한 안심 보육 · 117
보호종료 청소년을 위한 공간 ‘옥합생활관’ · 125
장애인 자립 공간을 준비하다 · 132
씨실과 날실로 엮어가는 복지 · 138
5. 종합사회복지관으로 성장하다 · 143
장애인 자립 공간을 마련하다 · 145
어린이의 안전할 권리를 위하여 · 152
찾아가는 방문복지의 시작 · 157
6. IMF 경제위기와 사회복지관 이전 · 164
경제위기 속 가정 지키기 · 167
새로운 이웃, 새로운 공간을 찾아서 · 173
감리교 선교 정신을 잇는 두 공간의 탄생 · 177
이전지역 욕구 조사 · 180
유아교육의 역사가 된 영화유치원 · 183
개방과 전문화
‘깊이울’(심곡동)로 터전을 옮긴 인천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
7. 서구지역 첫 사회복지관으로 새롭게 서다 · 188
타이틀의 무게와 기대 · 190
발로 뛰는 현장 복지, 긴급상담 119 · 202
장애인 복지의 틀을 바꾸다 · 205
동행할 지역주민을 찾습니다 · 210
사회복지관과 교회의 콜라보 ‘허브 태화’ · 218
지역의 작은 복지관, 거점 사례관리센터 · 22
8. 기능 다변화와 다양화 · 229
사회복지관의 길을 묻다 · 230
한 사람에 주목하다 · 238
연구센터 개소, 실천 매뉴얼을 만들다 · 243
돌봄 울타리 만들기 “사람이 희망이다” · 245
세대통합 서비스 제공, A~Z까지 · 252
지역은 복지자원의 보고(寶庫)다 · 255
‘예진원’에서 ‘어울림’까지 · 263
9. 코로나19 위기를 넘어 · 269
새로운 시험대, 감염병 · 270
태화재단의 비전과 지역교회 네트워크 구축 · 278
· 에필로그 ·2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