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인천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이 걸어온 길 130년)

하희정, 장미경 (지은이)
이야기books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인천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이 걸어온 길 130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1434040
· 쪽수 : 586쪽
· 출판일 : 2023-08-31

책 소개

인천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이 걸어온 길은 큰 나무에 비견될만하다. 땅 위로 보이는 나무의 키만큼 땅 밑으로도 그만큼의 뿌리가 단단히 박혀있다. 그리고 한 뼘 성장할 때마다 그 성장통은 선명한 나이테로 기록되었다.

목차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1권 – 1893-1945년

· 일러두기 · 28
· 프롤로그 / 사회적 체온 1℃ 더 높이기 · 30

개항기
제물포 내동(내리) : 기독교 사회선교 1번지


1.‘짠 내’ 품은 개항도시 인천 제물포 · 49

‘설익은’ 근대의 핫 플레이스 · 49
제물포로 들어온 서구인들의 ‘동상이몽’ · 50
파란 눈 선교사들의 입국과 ‘선교의 조건’ · 53

2. 질병은 사람을 가리지 않는다 · 56

영국성공회, ‘성누가병원’을 세우다 · 56
제물포의 현실 기록으로 남은 의료보고서1· 60
제물포의 현실 기록으로 남은 의료보고서2 · 65

3. 교육에 남녀 없다 · 72

미국감리교회, 제물포 남녀학당을 세우다 · 72
새 이름 ‘영화학당’- “메마른 세상에 영원한 생명을” · 78
영화여학당, ‘쇠뿔고개’ 우각리로 · 85

제물포 우각리(창영동) : 감리교 여성사회선교 1번지

4. 감리교 여성들이 세운 베이스캠프 · 95

여성선교센터 ‘갬블관’ 탄생 · 95
개척자 마가렛 벵겔 · 97
“여성이 여성에게” · 103
‘남녀유별’에서 ‘남녀평등’으로 · 107

5. 우각리, 여성들을 위한 공간 · 117

초기 개척자들의 1인 3역 · 117
청년들의 합류 · 123
리더십과 파트너십의 수련장 · 130
대중 속으로 · 144
여선교사들이 사회선교에 뛰어든 이유 · 155

일제강점기
‘자선’을 넘어 ‘사회복지’의 길을 내다


6. 식민지 시대가 마주한 빈민과 빈곤 · 168

자선은 ‘문명국가’의 상징 · 168
빈민구제와 위생행정, ‘돌봄’ 아닌 ‘통제’ · 171
여선교사들의 풀뿌리 위생교육 · 175
“거룩한 전염” · 179
인천 ‘1호’ 영화유치원 탄생 · 193

7. ‘사회사업’의 등장과 기독교 사회관 탄생 · 197

갑자기 열린 ‘사회’ 전성시대 · 197
서울에서 ‘기독교 사회관’ 탄생 · 202
인천의 첫 여성병원 ‘제물포부인병원’ · 211
조선총독부의 기독교 벤치마킹 · 221

8. 아동복지와 공중보건의 출발기지 · 233

첫 유아진료소의 탄생, “먼저 아가들의 생명을 구하자!” · 234
공중보건, “예방보다 나은 치료는 없다” · 245
협력정신, 타들어가는 사막 속의 오아시스 · 262
전시체제, 사회활동의 위축과 ‘후생사업’의 등장 · 266

개항도시에서 쓴 희망일지 2권 – 1946-2003년

해방 그리고 전쟁
기독교사회관으로 새 출발


1. 인천지역 첫 사회관 등장 · 11

선교사들의 귀환 · 13
사회관이 필요해진 이유 · 17
초대 관장 헬렌 보일스 · 20
창영교회 예배당에서 사회관을 시작하다 · 22
머드 고프의 합류 그리고 다시 중단 · 29

2. 전쟁 후 다시 문을 열다 · 33

미군에 징발된 ‘갬블관’ · 35
여성선교센터, 기독교사회관으로 개방하다 · 38
일상이 무너진 아이들 ‘학교 밖의 학교’에서 희망을 찾다 · 44
어린이를 위한 미래 공간 · 57
인천기독병원과 함께 시작한 특수복지와 장미회 · 6

3. 리더십의 전환 · 70

선교사 관장에서 한국인 관장으로 · 72
‘홀로서기’를 돕는 맞춤형 활동 · 86
지역주민의 바람, 신관 건축 · 91
지적장애 아동 “그대로 방치할 수 없다” · 99
자립 운영을 준비하다 · 103

산업화와 성장
기독교사회복지관에서
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으로 확장


4. 경제개발 구호 아래에서의 사회복지관 · 109

태화재단 설립과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 · 114
일하는 여성을 위한 안심 보육 · 117
보호종료 청소년을 위한 공간 ‘옥합생활관’ · 125
장애인 자립 공간을 준비하다 · 132
씨실과 날실로 엮어가는 복지 · 138

5. 종합사회복지관으로 성장하다 · 143

장애인 자립 공간을 마련하다 · 145
어린이의 안전할 권리를 위하여 · 152
찾아가는 방문복지의 시작 · 157

6. IMF 경제위기와 사회복지관 이전 · 164

경제위기 속 가정 지키기 · 167
새로운 이웃, 새로운 공간을 찾아서 · 173
감리교 선교 정신을 잇는 두 공간의 탄생 · 177
이전지역 욕구 조사 · 180
유아교육의 역사가 된 영화유치원 · 183

개방과 전문화
‘깊이울’(심곡동)로 터전을 옮긴 인천기독교종합사회복지관


7. 서구지역 첫 사회복지관으로 새롭게 서다 · 188

타이틀의 무게와 기대 · 190
발로 뛰는 현장 복지, 긴급상담 119 · 202
장애인 복지의 틀을 바꾸다 · 205
동행할 지역주민을 찾습니다 · 210
사회복지관과 교회의 콜라보 ‘허브 태화’ · 218
지역의 작은 복지관, 거점 사례관리센터 · 22

8. 기능 다변화와 다양화 · 229

사회복지관의 길을 묻다 · 230
한 사람에 주목하다 · 238
연구센터 개소, 실천 매뉴얼을 만들다 · 243
돌봄 울타리 만들기 “사람이 희망이다” · 245
세대통합 서비스 제공, A~Z까지 · 252
지역은 복지자원의 보고(寶庫)다 · 255
‘예진원’에서 ‘어울림’까지 · 263

9. 코로나19 위기를 넘어 · 269

새로운 시험대, 감염병 · 270
태화재단의 비전과 지역교회 네트워크 구축 · 278

· 에필로그 ·288

저자소개

하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미국 버클리 Graduate Theological Union에서 미국 종교사와 동아시아 근대 관계 역사로 박사학위(Ph. D)를 받았다. 감리교신학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기독교 여성사, 이단의 역사, 문학으로 역사 읽기 등 다양한 주제로 강의하고, 한국 근현대사에서 배제된 기독교 역사 관련 학술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역사와종교 아카데미’ 대표로 학교 밖 연구자들과 함께 역사 대중화를 위한 프로그램과 공동연구를 실험하고 있다. 주요저서로 《역사에서 사라진 그녀들: 젠더로 읽는 기독교 2000년》, 《이화간호교육의 처음을 연 사람들, 마가렛 에드먼즈와 이정애》(공저), 《그들은 휴머니스트였다: 조선의 역사가 된 이방인》(2018년 세종도서 선정) 등이 있다.
펼치기
장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감리교회 목사.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신학대학원에서 한국교회사를 전공했다. 현재 호서대학교 박사과정 중에 있으며 ‘역사와종교 아카데미’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여 년 부담임 목사로 사역하며 다양한 답사 프로그램을 기획해 ‘현장에서 배우는 역사’를 교회 안에서 실천해왔다. 감리교회에서 발간하는 월간지 <기독교세계>에 ‘우리 역사 순례’를 연재했고, 여선교회전국연합회에서 기획한 ‘지역사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그리스도인들의 잊혀진 역사를 오늘의 삶 한가운데로 소환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공저로 『열정의 백년 감동의 백년: 감리교 여성 역사 이야기』, 『아 하나님의 은혜, 여선교회 안식관 72년의 기록』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