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인공지능/빅데이터
· ISBN : 979119143637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6-10
책 소개
목차
서문 004
제1장 김영기 | 인공지능 사회의 기술과 지속가능한 경영
1. 들어가며 014
2. 인공지능 사회의 도래 014
3. 인공지능 사회의 기술 변천 016
4. 인공지능 사회의 낮과 밤 022
5.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안전경영 026
6. 인공지능 사회, 안전이 담보되어야 한다 032
제2장 이현수 | AI 안전기술
1. 서론 048
2. 본론 052
3. 결론 / 안전관리협회 설립(안) 062
제3장 오선화 | AI 안전기술과 경영
1. 인공지능 시대, 보안의 재정의 070
2. 오피스 보안 시스템 074
3. 아파트 환경의 보안 필요성 082
4. 일반주택 보안 시스템 087
5. 보안 장비 및 안전 시스템 개요 090
제4장 윤중만 |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안전경영과 예방전략
1. 산업현장의 보이지 않는 위협, 불안전한 행동 104
2. 회색 코뿔소와 산업현장의 안전 109
3. 산업현장의 깨진 유리창: 사소한 방치가 부른 안전의 붕괴 112
제5장 김형준 |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컨설팅
1. 중대재해처벌법(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122
2. 안전보건수준평가(안전보건관리계획서) 컨설팅 128
제6장 이신화 | AI 기반 디지털 마케팅의 안전경영
1. 들어가며 140
2. 디지털 마케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AI 활용 141
3. 브랜드 보호를 위한 AI 안전경영 전략 144
4. AI 마케팅과 법적·윤리적 가이드라인 수립 147
5. AI와 디지털 마케팅의 미래 전망 151
6. ESG 경영 관점에서의 AI 마케팅 책임 154
7. 맺음말 158
제7장 진익성 | AI Edge Computing 발전과 Risk 관리
1. AI 시장 동향 166
2. 생성형 AI와 AI Edge Computing 168
3. 생성형 AI와 AI Edge Computing 데이터 프레임워크 172
4. AI Edge Computing 반도체 178
5. AI Edge Computing의 발전과 Risk 관리 182
제8장 김숙자 | 변화하는 사회, 잊혀지는 시니어
1. 들어가며 190
2. 급변하는 사회, 어디에도 이름 없는 그들 190
3. 디지털 전환이 만든 세대 단절 191
4. 문화 속에서도 지워지는 시니어의 얼굴 191
5. 사회정책에서도 놓치고 있는 ‘존재감’ 192
6. AI 시대, 시니어의 자리를 되찾는 길 193
7. 기억되고 연결되는 시니어 사회를 위하여 193
8. 존경받지 못한 세대, 다시 중심에 서다 194
9. AI와 함께하는 품격 있는 시니어 정책 196
10. AI 기술이 불러올 긍정적 변화 196
11. 국내외 선진 사례 197
12. 기술적 가능성 198
13. 윤리적 고찰 198
14. 정책 실행 제언 199
15. 존경받지 못한 세대, 다시 중심에 서다 199
16. 역사적 맥락 속의 시니어 세대 200
17. 침묵의 세대에서 목소리 내는 세대로 200
18. 존경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시 만들어 가는 것’ 201
19. 중심으로의 귀환, AI와 함께하는 새로운 여정 202
20. 맺음말 202
제9장 박영일 | 인간과 AI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안전 디자인(제조업 중심)
1. 인간 중심 안전 디자인 206
2. AI 기반 안전 디자인 209
3. 물리적 산업안전 디자인 211
4. 중소기업을 위한 안전 디자인 212
5. 결론 223
제10장 신현명 | 인공지능 시대, AI 윤리적 개발과 활용 방안
1. AI 진화 트렌드와 윤리 측면의 이슈사항 228
2. AI S/W 개발방법론 진화 239
3. AI 윤리정책 규제 동향 및 개발·활용 방안 243
제11장 이갑주 | 플랜트산업의 안전경영과 인공지능
1. 플랜트산업의 안전경영 256
2. 인공지능과 안전사고 262
3. 인공지능기반 플랜트산업 안전경영 266
제12장 황낙진 | 지속가능한 안전경영문화: 전략적 리더십과 실행 프레임워크
1. 안전경영문화와 전략적 리더십 274
2. 자기주도형 안전경영문화 구축 280
3. 안전경영문화 실행 프레임워크 284
4. 안전경영문화 구축 지원사업 288
제13장 이광원 | AI 기반 부동산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1. 들어가며 296
2. AI 기반 부동산 시설물 안전 관리의 개념 297
3. 주요 기술 요소와 원리 298
4. AI 기반 안전 관리의 실제 적용 사례 300
5. AI 기반 부동산 시설물 안전 관리의 장점 306
6. 도입 시 극복해야 할 과제와 한계 307
7. 향후 발전 방향 308
제14장 김재엽 | 공공부문의 인공지능 활용과 사이버 안전경영 전략
1. 인공지능 사회 속 공공조직의 기술 수용과 위험의 그림자 314
2. 공공부문 인공지능 활용과 조직 리스크의 이중성 318
3.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의 복합 리스크와 사이버?조직 연계 위협 321
4. AI 기반 공공조직을 위한 안전경영 프레임워크 324
5. 결론: 기술보다 조직이 신뢰를 만든다 328
제15장 오승택 | 디지털 헬스케어의 기술 발전과 안전성
1. 들어가며 336
2. 디지털 헬스케어 구성요소 337
3. 디지털 헬스케어의 역사 337
4. 디지털 헬스케어의 필요성 339
5. 기술의 안전성 개념 340
6. 안전성의 중요성 341
7. 안전성 관련 법규 및 기준 343
8. 디지털 헬스케어의 이점과 위험 344
9. 위험 요소 345
10. 위험 관리 방안 347
11.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348
12. 데이터 보안의 개념 350
13. 개인정보 보호법 351
14.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352
15. 기술의 안전성 평가 354
16. 미래의 디지털 헬스케어 355